::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2/04 00:11
안녕하세요. 3개월 실사용자입니다.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결합할인이 없다 2.핸드폰 보험이 빈약하다 3.대기업 통신사 서비스가 없다 4.귀찮다 알뜰폰에 대해 제대로 된 정보가 없어서 직접 써보고, 조사해서 포스팅을 한 게 있어서 공유드립니다. 알뜰폰요금제 #07 알뜰폰 단점 - 커뮤니티, 유튜브 의견 종합 https://wontae123.tistory.com/118
18/01/10 00:04
지금 1년 좀 넘게 쓰고 있는데 아무 문제없습니다.
약정이 없어서 아주 좋아요. 굳이 최신폰을 쓰지 않으시면 중고폰이나 가격 떨어진 공기계 구매해서 유심만 끼워 쓰시면 됩니다.
18/01/10 00:15
플래그십을 쓰려면 정가를 주고 사야하는점(뭐 일반대리점도 마찬가지지만) 과 나중에 통신사를 다시 3대로 옮기는데 좀 귀찮아지는점
정도가 있습니다.
18/01/10 00:18
알뜰폰
장점 - 가격이 저렴합니다 단점 - 통신사 관련 업무는 어떤거를 보려고 해도 불편합니다 + 기기 구입시 보조금이나 페이백이 거의 없습니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뭐 예를들면 유심이 고장나서 새 유심으로 바꾼다던가..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통신사와 먼가 해야될 이슈가 있을때 불편합니다 - -; 전국에 깔린 대리점부터, 상담사를 비롯한 그 수많은 기반 시스템이 없는 대신.. 그 비용을 통신비 아끼는데 쓴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18/01/10 03:12
대부분의 경우 알뜰폰이 이득이지만
결합할인, 멤버십 포인트등 소비 패턴과 통화 패턴(음성 위주)이 결합될 경우 기존 이통사가 더 좋을때가 가끔 있기도 합니다.
18/01/10 08:48
1. 고객센터 연결이 잘 안되고, 된다고 해도 3대 메이저 통신사에 비해 체계적이지 못합니다.
2. 멤버십이 없고, 가족간 결합(동일 통신사 사용시)이 없습니다. 단, 인터넷과 결합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물론 별정 통신사의 인터넷을 사용해야 합니다. 3. 나중에 합법적이지 않은 루트(페이백 같은)로 3대 통신사로 넘어올 때, 정책 자체가 안 뜨거나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냥 대리점에서 정상적인 절차로 변경하실 때는 전혀 문제되지 않습니다. 4. 질문자님처럼 그냥 왠지 모르게 불안하고 꺼림칙하다. 위 4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4번은 농담이 아니고, 제 주변에도 1~3번 전부 상관없다는 사람 많은데 그냥 못 믿겠어서 안 쓰는 사람들 꽤 많거든요. 그리고 알뜰폰이 싼 이유는 3대 통신사의 통신망의 일정량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싼 값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얘네들이 통신망 유지비용이 드는 것도 아니기에 요금제가 훨씬 싼거죠. 기기 할부금이 많은 이유도 비슷한데, 통신사들도 제조사로부터 출고가를 주고 기기를 가져오고, 할부지원금 만큼을 자기들이 부담하여 결과적으로 할부원금을 소비자가 부담하게 되죠. 그렇기에 할부지원금을 늘릴수록 통신사의 지출은 커지는건데, 알뜰폰들의 경우 앞서 말했듯이 3대 통신사에 비해 제반비용이 적기 때문에 더 낮은 가격에 파는거죠.
18/01/10 08:50
결합할인, 멤버십(통신사 할인)이 없습니다. 그거외에 통화나 데이터,와이파이 쓰는 건 아무 문제 없더군요. 로밍도 되고. 고객 서비스도 점점 좋아지고 있고요. 평소 고객센터 전화할 일이 거의 없긴한데 한두 번 해봤을 땐 잘 받더군요.
18/01/10 14:51
SKT 오래 쓰다가 엘지알뜰폰으로 넘어온지 4달 됐습니다.
통화, 인터넷 품질 이상은 전무합니다. 서비스센터에 몇번 전화했는데 특별히 불편한 적 없었습니다. 멤버십 없어서 편의점이나 영화관 짜잘한 할인 못 받는건 가끔 아쉽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