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6/10/06 23:18:37
Name QM3
File #1 1.jpg (75.7 KB), Download : 24
출처 포모스
Subject [스타1] 프로토스 2인자는 누구?


김택용 다음은 누구일까용??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0/06 23:20
수정 아이콘
당연히 송병구죠. 기간이 압도적이기도 하고, 준우승 2번은 우승이랑 맞먹는다 생각해서.
16/10/06 23:36
수정 아이콘
콩까지마................
16/10/06 23:20
수정 아이콘
나름 불붙는 논쟁인데 개인적인 생각으론 강민 전 선수가 그래도 토스 2위가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OGN 성적이 너무 아쉬운 편이긴 한데 어쨌든 두번 결승 가서 1회 우승 1회 준우승도 했고요
김오월
16/10/06 23:20
수정 아이콘
송광무
다승과 통산 승률도 그렇고, 케스파 랭킹 1위 먹어 본 게이머는 정말 흔치 않죠.
특히 토스는 택뱅 둘 밖에 없을걸요?
거기다 우승이 아니더라도 꾸준한 4강 8강에 WCG 우승도 있으니....
몽정가
16/10/06 23:21
수정 아이콘
몽상가
16/10/06 23:22
수정 아이콘
2회 우승 무시못하고 양대 우승 무시못한다고 봅니다 강민 한표
한걸음
16/10/06 23:24
수정 아이콘
전 강민이요. 토스 유일한 양대 우승이고, 토스 역사에 미친 영향이 작지 않다고 생각해서요.
16/10/06 23:24
수정 아이콘
송병구에 한표
민최강
16/10/06 23:26
수정 아이콘
깊이생각해봤는데 강민같습니다 이유는 여백이 모잘라서..
추신수
16/10/06 23:26
수정 아이콘
이걸 보니 송병구라는 생각이 듭니다
벽빵아 사랑해
16/10/06 23:27
수정 아이콘
강민에 한표 넣겠습니다
16/10/06 23:27
수정 아이콘
2위는 역시 송병구죠
2위는 역시 송병구죠
Agnus Dei
16/10/06 23:27
수정 아이콘
송병구가 우승이 1개만 더 있었다면 논쟁 자체가 안 일어났겠지만...
다른 업적들로 우승 1개는 가볍게 덮을 수 있을 것 같네요. 송병구 한표.
대리종자
16/10/06 23:32
수정 아이콘
다승이 앞도적으로 많으면 승률이 좀 낮아도 보정이 들어가는데 승률, 다승 다 앞서면 답은 정해져있죠
개념테란
16/10/06 23:32
수정 아이콘
저는 준우승의 가치도 꽤나 있다고 봐서 송병구에 한 표요.
GoGoSing
16/10/06 23:32
수정 아이콘
강민 양대리그 우승 하나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윤종신
16/10/06 23:33
수정 아이콘
이게 왜.. 무조건 송병구죠.
Go Lakers
16/10/06 23:34
수정 아이콘
강민
yangjyess
16/10/06 23:34
수정 아이콘
송병구 싫어하는데 이건 송병구네요...
구밀복검
16/10/06 23:34
수정 아이콘
일단 어떤 기준으로 봐도 허영무 > 강민은 될 수가 없을 테고...
1) 뱅>광>허
2) 광>뱅>허
3) 광>허>뱅
셋 중 하나.
전 1번을 지지하네요.
16/10/07 13:38
수정 아이콘
허영무를 좋아하는 기준이라면!
윤아긔여어
16/10/06 23:35
수정 아이콘
강민을 2인자라고 하는게 오히려 폄하하는 느낌이라 2위는 뱅...

테란 임요환 저그 홍진호 프로토스 강민
셋은 논외로 치고 갑니다 크크
Lightsaber
16/10/06 23:35
수정 아이콘
송병구에 한 표 더...
솔로11년차
16/10/06 23:37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b=6&n=44659
이걸 토대로 강민에 한 표 하려했지만, 두 선수 개인리그 점수차는 사실상 없는 수준이고, 프로리그에서 차이가 크니 송병구를 선택하렵니다.
16/10/06 23:37
수정 아이콘
박정석 한표해도되나요
김오월
16/10/06 23:41
수정 아이콘
증슥이형 넣을거면 2인자 같은 거 말고, 시원하게 1인자에 한 표 넣어야죠
우리 가슴으로 붙읍시다 크크
16/10/07 00:18
수정 아이콘
저도 프로토스는 박정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솔로11년차
16/10/07 00:54
수정 아이콘
박정석은 1인자란 이미지보다 역시 '영웅'이나 '혼'같은 이미지가 더 어울리는 것 같아요. '최후의 보루'라거나.
베이비블루
16/10/06 23:38
수정 아이콘
강민의 더블넥서스는 우승 1회 정도로 쳐줘야한다고 봅니다. 김택용과 더불어 프로토스의 아버지...
16/10/06 23:38
수정 아이콘
준우승4회니 어딜봐도 송병구죠
16/10/06 23:38
수정 아이콘
데이터에 토스 2인자는 송병구라고 나와있네요
16/10/06 23:39
수정 아이콘
이런건 커리어 포인트로 봐야 한다고 봅니다. 양대리그만 인정받으니 다른건 전혀 고려가 안되는데 프로리그도 있고 WCG도 있고 겜티비 ITV도 있고 옛날껀 옛날꺼대로 보정해서 점수를 넣어야죠.

당연히 송병구라고 봅니다.

여기서 송병구 점수를 안주면 홍진호는 한 6인자쯤 되나요?
16/10/06 23:39
수정 아이콘
양대리그 우승에 그 다음 세대 프로토스 전략들의 아이디어는 죄다 광에서 나왔다고 봐서 광에 한표 던집니다.
물론 팬심 들어가 있다는걸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
16/10/06 23:39
수정 아이콘
코뱅광등허
16/10/06 23:42
수정 아이콘
코뱅광등허 (2)
16/10/07 14:59
수정 아이콘
한표
16/10/06 23:40
수정 아이콘
08년도 이후 프로리그 연간리그 확대가 이후 활약한 선수들의 다승과 승률에 상당한 인플레를 가져왔다고 생각해요.
송병구 코치가 강민 전 선수에게 크게 밀리진 않고 거의 비슷하다고 생각하지만 두 번째 자리는 확실히 강민 전 선수가 맞다고 봅니다.

단순히 양대리그만 가지고 비교하면
강민 : 92승 60패 승률 60.5%
송병구 : 115승 94패 승률 55%
승률은 오히려 강민 선수가 더 좋은 편이죠
김오월
16/10/06 23:44
수정 아이콘
송병구는 그 프로리그를 소화하며 강민보다 개인리그에서 더 꾸준히 활약했다는 점도 있죠.
하부리그의 머시기 같은 별명이 붙을 틈도 없었으니까요.
그만큼 높은 라운드에서 다전제를 많이 치르기도 했고...
16/10/06 23:47
수정 아이콘
꾸준함이야 송병구 코치가 나이가 훨씬 어렸으니 가능한 거라고 보고요. 강민 선수가 데뷔 때 이미 21세가 넘어서 나이가 많았어요
강민 선수가 마지막으로 4강~8강에 오른게 2007년인데 이때 나이가 26세였죠. 프로리그도 3전제, 5전제 시절이라 항상 에이스들과만 붙어야 했고요.
송병구 선수는 2011년 24세때 이후론 4강 이상의 커리어를 거둔 적이 없고요.
김오월
16/10/06 23:51
수정 아이콘
사실 데뷔가 이른 것도 커리어에서 +가 되는 점이고, 송병구의 꾸준함은 나이를 불문하고 역대로 손에 꼽는 꾸준함이죠.
양대리그 뿐 아니라 WCG에서도 금은은의 성과를 거두었고....
거기다 강민 선수는 전성기에 접어든 후에도 긴 피시방 암흑기를 경험한 적이 있구요.

그리고 스1 스타리그가 12년 4월 대회를 마지막으로 셔터를 내렸는데, 11년에 결승을 찍은 송병구에게 그 이후의 성과가 없다 하시면;
16/10/06 23:56
수정 아이콘
2011년에 준우승 이전에 마지막 결승이 2008년이죠.
꾸준하게 8~16강만 갔지 사실 4강 이상도 거의 못왔어요
MSL에선 특히 로스트사가 4강 이후론 16강 진출도 딱 두번 했고요. 예선까지 갔다 왔죠.
토스 유저 입장에서 자꾸 비판글만 쓰려니까 좀 기분이 그렇고 지금도 스2 대회에서 최선 다하시면서 좋은 성적 거두는 송코치님한테 죄송하긴 한데
강민이 OGN에서 우승 이후로 몰락한거 만큼 송병구 코치도 MSL에선 김택용 선수한테 준우승 한거 이외엔 진짜로 한 게 없습니다..
김오월
16/10/07 00:04
수정 아이콘
꾸준하게 8~16강을 간 것 자체가 대단한거죠. 그 와중에 4강도 세 번을 찍었구요.
프로게이머로 활동한 연차가 비슷한데도 개인리그 전적 자체가 한참 많은데, 단순히 나이만 적었다면 비슷하게 롱런 했을거라 하기엔 송병구가 너무 꾸준하지 않았나요?
거기다 송병구가 플레이하던 시절엔 택뱅리쌍을 제외하곤 금방금방 물갈이가 되던 시절이기도 하구요.
16/10/07 00:11
수정 아이콘
솔직히 강민 해설보단 송병구 코치쪽이 조금 더 호감이 있기 때문에 더 논쟁은 안하겠습니다ㅠ
물갈이가 가장 심하게 되던 시기는 06~08년이고 10년 이후로는 오히려 거의 같은 선수들이 계속 있지 않았었나 싶네요
시나브로
16/10/07 00:14
수정 아이콘
닉네임의 주인공 박정길 생각나네요..
16/10/07 00:24
수정 아이콘
기억하는 분이 계시네요 흐흐
16/10/06 23:47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하게 생각하긴 하는데, 그래도 그 누적을 소화해낸 선수의 기록도 인정해주는게 맞다고 봅니다.
손금불산입
16/10/06 23:41
수정 아이콘
뱅이요. 꾸준함이 나머지 둘을 지나치게 압도합니다. 허영무는 커리어를 통틀어보면 낙폭이 너무 컸죠. 광은 그 둘 이상의 의미가 있긴하지만...
에베레스트
16/10/06 23:42
수정 아이콘
송병구에 한표 던집니다.
16/10/06 23:42
수정 아이콘
2인자는 뱅주고 플토민속문화연구소장은 광 줍시다
엠마스톤
16/10/06 23:43
수정 아이콘
강민해설 팬이긴한데 송병구한표요.
토다에
16/10/06 23:46
수정 아이콘
뱅이죠. 그래도 케스파 1위도 해봤는데
16/10/06 23:49
수정 아이콘
어떤 지표로든 광>허에 광과 뱅을 비교해야되는데 프로리그 인플레든 뭐든 뱅이 좀 더 위라고 봅니다. 데뷔부터 끝까지 꾸준했죠.
눈물고기
16/10/06 23:51
수정 아이콘
에이 아무리 그래도 이건 뱅이죠...

괜히 택뱅리쌍으로 묶이는게 아니죠..
16/10/06 23:52
수정 아이콘
강민이죠. 물론 후반기 시스템이 갖쳐진 이후를 상위권에게 버프를 주었는지, 디버프를 주었는지에 따른 의견차이로 좀 바뀔 수는 있다고 봅니다.
음란파괴왕
16/10/06 23:56
수정 아이콘
송병구 선수는 워낙 오래 해먹어서... 예전에 최수범 선수랑, 그 랜덤저그 이현승 선수가 있을때부터 주전출장했던 걸로 기억하네요. 그때부터 스타판 끝날때까지 준수한 성적을 보여줬으니 이정도면 우승 하나 모자라도 인정해 줘야한다고 봅니다.
공실이
16/10/06 23:58
수정 아이콘
아.. 강민은 김택용이랑 비교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지나가던 광빠
엘롯기
16/10/07 00:03
수정 아이콘
광렐루야~!
파랑파랑
16/10/07 00:05
수정 아이콘
김택용 이하는 큰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굳이 2위 정하자면 송병구
16/10/07 00:06
수정 아이콘
표를 보면 +우승 1회 vs +준우승 2회+프로리그 150승+랭킹1위 4개월이네요. 강민을 더 좋아했었지만 객관적으로 송병구 승이라고 봅니다.
시나브로
16/10/07 00:13
수정 아이콘
스덕들 댓글 화력 보소;;

양대 우승, 마지막 스타리그 2회 연속 우승도 대단하지만 그래도 뱅이
이진아
16/10/07 00:14
수정 아이콘
뱅이 아예 우승이 없었으면 모를까....
인크루트 우승해 놔서 다행이네요 아니었으면 2류토스소리 들었겠네...
16/10/07 00:16
수정 아이콘
박정석 생각한 저는 아재인가요 (........)
16/10/07 00:21
수정 아이콘
저도 정석이형.....
사상의 지평선
16/10/07 18:13
수정 아이콘
저도 등짝. 암울하던 플토시절에 혼자 버티던 박정석인데
16/10/07 00:19
수정 아이콘
저는 강민.
네가있던풍경
16/10/07 00:30
수정 아이콘
송병구 별로 안 좋아하고 강민은 마이큐브 당시 팬이었던 제가 보기엔 송병구입니다. 커리어는 셋다 비슷하다고 볼 때 케스파 1위 차이가 결정적이라고 생각되네요. 어찌됐던 잠깐이나마 1등이었단 거니까요. 스1판이 지속되었다면 허영무가 될수도 있었겠지만요.
도들도들
16/10/07 00:31
수정 아이콘
1위는 박정석이고 2위를 정하는거죠?
시나브로
16/10/07 00:38
수정 아이콘
박정석은 0윈데여
고등어3마리
16/10/07 00:38
수정 아이콘
그냥 송병구 선수죠.
꾸준함은 택보다 낫다고 봅니다.
루크레티아
16/10/07 00:40
수정 아이콘
2위는 뱅구가 맞죠. 아무리 양대 먹은 강민이라도 그 꾸준함과 강력함에 있어서는 뱅이 단연 훌륭합니다.
16/10/07 00:49
수정 아이콘
2위는 뱅이죠
16/10/07 00:50
수정 아이콘
참고로 토스 서열 관련해서 갓영호는 허>뱅 정도로 이야기 했습니다.
커리어도 허>뱅, 실력도 허>뱅 이라구요.
송병구 선수는 상대적으로 롱런했다는 점(이와 관련해서도 '롱런'의 기준이 뭐냐면서 살짝 폄하하는 느낌이 없지는 않았습니다) + 최강급 선수들 상대로 의외로 강했다는 점(반대로 약한 선수들에겐 또 약함) 때문에 높게 평가받지만,
개인리그 우승도 허영무가 더 많고, 단기 포스도 허영무가 더 쎘기 때문에 허>뱅이라고 생각한다고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

좀 오래되서 확실한지는 않은데, 어떤 시청자가 '허영무를 어떻게 평가하느냐' 라고 물었을 때
이영호 왈 "택용이형과 병구형 사이" 이런 뉘앙스의 워딩으로 종결을 지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16/10/07 01:53
수정 아이콘
제가 기억하기로는 뱅이 저그전이 많이 약한게 큰 이유였던걸로 언급했던 기억이 나네요.
16/10/07 10:11
수정 아이콘
갓영호가 그랬나요?;
김택용빼고는 뱅보다 저그전 잘하는 선수도 없는데...
김오월
16/10/07 02:14
수정 아이콘
처음엔 토스는 택뱅이고 허영무의 전성기가 지나치게 짧았다며 도재욱 정도로 이야기 했었는데...
언젠가 한 번 송병구의 롱런에 대해 히스테릭한 반응을 보이더니 그런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워낙 에고가 센 선수라 자신의 영역이 침범 당했다고 생각했는지 상당히 히스테릭하게 나와서 놀랐습니다 크크
짱짱걸제시카
16/10/07 16:52
수정 아이콘
자신의 영역침범<<< 이게 정확히 무슨 의미죠? 순수하게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그리고 이영호 방송 봤는대 안기효+강민+다른비제랑 3:1 생컨 붙는대 세네판 연속으로 바르더군요. 거기다 저 셋은 방플까지 하는대.. 강민,안기효는 방플하지않고 다른비제이 하나가 방플하면서 토크온으로 생중계 크크
카바라스
16/10/07 01:09
수정 아이콘
광>허>뱅이라 생각합니다 스타1 끝나기 1년전만 하더라도 광뱅허였지만 저한테는 스타리그 2연우승 임팩트가 너무 컸네요
16/10/07 01:15
수정 아이콘
택>광=허>뱅
애초에 많은 팬들이 개인리그>>>프로리그 라는 인식을 갖고 있어서 뱅이 고평가 받지만, 정작 프로리그에 큰 비중을 두며 활동하던 당시 선수들+관계자들 이야기 종합해보면 뱅은 2위가 되기 힘들다고 봅니다. 전프로 중에 실력적으로 송병구를 토스2위로 얘기하는 전프로를 본 적이 없어요. 오히려 허영무를 더 고평가하는 전프로들이 많죠.
그리고 개인리그 꾸준함으로 고평가 받는 송병구도 정작 우승횟수는 1회에 불과하구요 ㅠㅠ
김오월
16/10/07 02:15
수정 아이콘
오히려 프로리그 성적은 택 다음이 뱅이죠. 특히 허영무는 프로리그 성적으론 승률이 10% 이상 뒤져서 비교가 어려울 정도입니다.
그리고 선수들끼리의 평가는 연습에서의 포스가 꽤 크더라구요.
송병구의 연습 경기력은 클래스에 비해 떨어지기로 유명했고, 역시 무대에서 더 강했던 전략가 김윤환 같은 선수도 상당히 폄하당하는 분위기가 있습니다.
16/10/07 02:28
수정 아이콘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프로리그 다승과 승률에서 송병구가 나머지 둘을 압도합니다. 그리고 게이머에 대한 평가는 관계자들의 발언보다는 객관적인 결과와 데이터를 가지고 따지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16/10/07 13:14
수정 아이콘
제가 표도 제대로 안보고 뻘소리를 했군요. ㅠㅠ
뱅구 선수 프로리그 성적이 엄청 좋았었네요.
살다보니별일이
16/10/07 01:17
수정 아이콘
커리어가 다일순 없지만, 개인 커리어로 줄세워도 앵간한 선수들 라인은 잡히는것 같아요.

광에 한표.
스타바보
16/10/07 01:19
수정 아이콘
송병구!
가루맨
16/10/07 01:35
수정 아이콘
표를 보니 더 확신을 가지게 됩니다.
송병구!
장무기
16/10/07 01:36
수정 아이콘
강민 팬으로서 주관적으로 강민이 랭킹 1위라 생각합니다.
1. 강민은 양대리그 우승자이며
2. 그 당시가 스타 인기 최절정 시기였으니까요
파랑파랑
16/10/07 01:56
수정 아이콘
리플들 읽어보니, 허영무 선수의 2연속 우승이 떠오르네요.
그 압도적으로 강했던 테란들 때려잡고 우승했던 단기포스는 정말 .. 뭐라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였지요.
아까 송병구선수를 2위로 꼽았지만, 허영무 선수 2위로 정정합니다. 크크
그대의품에Dive
16/10/07 01:57
수정 아이콘
전 최후의 우승자 프리미엄때문에 허정무...아니 허영무요
하리잔
16/10/07 01:59
수정 아이콘
저도 박정석! 박정석을 빼고 프로토스를 논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프로토스 1위든 콩이든!
드랍쉽도 잡는 질럿
16/10/07 02:00
수정 아이콘
테란이나 저그는 이영호, 이제동이라는 부동의 1위가 있는데,
토스는 그렇지 않은 편이죠. 그래서 따질 것이 많아지고 의견이 엇갈리는데...
개인적으로는 송병구 선수를 1위라고 생각합니다(그리고 따지기 에매하니 토스는 택뱅 -_-;). 커리어, 기간, 초기부터 끝까지 지켜온 토스의 전통(?), 커리어 말기에도 끝없는 도전을 꾀했고... 다방면으로 보여준 것이 많다고 느껴져서 말입니다. 스타리그에서 테란이 상대고, 맵도 토스 맵이고, 기세도 좋았던 때에 우승을 추가하고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Locked_In
16/10/07 03:03
수정 아이콘
1위는 김택용이요....
무무무무무무
16/10/07 08:01
수정 아이콘
1위는 김택용입니다.
설탕가루인형
16/10/07 10:24
수정 아이콘
토스도 부동의 택탑이라고 생각합니다
애패는 엄마
16/10/07 12:59
수정 아이콘
토스야말로 부동이 더 일찍 정해졌습니다
16/10/07 13:28
수정 아이콘
지금 여기서 2위를 논하는 이유가 1위는 그냥 택이라는 암묵적인 합의가 있어서 그런거 아닌가요?
쿠키루키
16/10/07 02:18
수정 아이콘
강민.
16/10/07 02:22
수정 아이콘
전직 뱅리건이지만 광뱅허 로 보는 입장인데 전프로 관계자들이 실력인정을 안하니마니는 정말 의미없네요.
그냥 프로는 성적으로 보여주는거죠. 개인리그를 높게치는 사람에겐 광허뱅일것이고 프로리그나 전체판을 높게치는 사람에겐 뱅허광인거지 전프로들 입터는게 뭔 상관인지

송병구가 적이 많은 이유는 잘 알고있습니다. 적을 만드는 언행에 보기 싫은 핑계화법 거기에 특별할거 없어보이는 느린손에 실제로 누굴 만나도 엄대엄 같은 느낌이있으니 인정하기 싫겠죠. 그래도 택리쌍 상대로 마지막까지 상대전적 비등하게 (특히 택에겐 좀 앞설겁니다) 마무리했고 마지막까지 개인리그에 꾸준히 모습을 보였고 프로리그에서 거의 10여년간 팀을 이끌어온 선수고 그게 성적으로 지표화되어있는데 포스드립치면서 깎아내리는거 보면 참 웃겨요.
16/10/07 03:14
수정 아이콘
꾸준함의 송병구..
16/10/07 03:22
수정 아이콘
강민 선수도 송병구 선수도 둘다 좋아하는 입장에서 계보에서는 삼대토스(강민,박정석,박용욱) -> 신삼대 -> 택뱅으로 이을수 있겠지만
프로토스에 순위를 매긴다면 1위는 김택용 선수고 2위는 송병구 선수라고 봅니다.

펠레가 축구의 신이라 불리는것은 그가 이전까지 하던 축구의 패러다임을 바꿨다가 아니라 그냥 그가 위대했고
월드컵을 세번 우승했고 리그를 지배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남는건 커리업니다.

물론 프로토스의 역사에서 가장 영향이 큰 선수를 꼽는다면 첫번째로 강민을 꼽아야죠. 이전 프로토스의 이론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정리하고
그 이후 프로토스의 패러다임은 강민이 만든 토대에서 나왔기 때문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정석에 특화된 선수가 강민이었다는 사실도...
(3대 토스의 상성식은 보통 그렇게 이해합니다. 정석에서 앞서는 강민. 그것을 변칙으로 찌르는 박용욱. 거기에 찔리지 않는 박정석..)
김택용은 그중 더블넥과 커세어로 대변되는 화력의 유동성으로 비수류를 개창했고, 송병구는 정석적인 기본기에 주목, 특화하여 단단한 운영을
기반으로 여러가지 변칙을 섞었습니다. 실제로도 저그전 원게이트라던지 옵드라-리버에서 캐리어로 넘어가는 테란전은 강민의 주무기기도 했죠.

위대한 선수와 넘버1의 선수는 다를 수 있으니까요.
bemanner
16/10/07 03:33
수정 아이콘
"스포츠 세계에서 2등은 꼴지하고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스타 극후반처럼 대회가 없어서 우승을 못하는 경우, 혹은 스타 초반부에 각종 대회가 난립했고 거기서 우승했는데 정규리그로 인정을 못받은 경우를 제외하면 우승횟수로 나열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우승 횟수가 같으면 그 때 다른 지표를 얘기하면 되고.. 팀 게임도 아니고 개인전에서 우승 못하는 건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래서 결론은 박정석 기욤 김동수 허영무는 if의 영역으로 미뤄놓고 김택용-강민-송병구 순으로 봅니다.
16/10/07 09:03
수정 아이콘
?: "야 2등도 잘한거야"
손금불산입
16/10/07 10:30
수정 아이콘
이러면 박지수>이재호죠...
16/10/07 13:43
수정 아이콘
홍진호 : ?
성동구
16/10/07 03:44
수정 아이콘
송병구가 우승이 없고 준우승 5회여도 토스 2인자는 뱅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
Flash7vision
16/10/07 07:27
수정 아이콘
송병구 준우승 4회입니다. 5회 준우승은 황신 만이 가지신 유일한 기록...
16/10/07 10:08
수정 아이콘
우승1회가 준우승으로 옮겨가도 2위로 꼽는다는 말이죠.
16/10/07 06:45
수정 아이콘
택뱅광허등굠녹벨림춘 하면 10대 토스 가능할까요?
Flash7vision
16/10/07 07:32
수정 아이콘
(김택용)>송병구>=허영무=강민으로 봅니다.

예전에는 허>뱅으로 봤는데 송병구의 꾸준함과 비공식전 대회 - 특히 wcg - 커리어를 높게 쳐야 할 것 같아서 뱅이 토스 2위인 것 같아요.

송병구가 1회 우승 4회 준우승 wcg 1 우승 2 준우승이고
허영무가 2회 우승 2회 준우승 곰클 1 준우승이니 소거해보면

2회 준우승 + wcg 1회 우승 1회 준우승 vs 1회 우승인데
개인적으로는 1회 우승 = 3회 준우승이라 보고 wcg나 곰클 같은 중요한 비공식전 대회 1회 우승은 개인리그 1회 준우승이라 봐서
근소한 차이로 송병구가 위라고 보네요.
16/10/07 07:42
수정 아이콘
뱅이죠
예니치카
16/10/07 07:44
수정 아이콘
가슴이 말하는 박정석!
Exposure
16/10/07 07:47
수정 아이콘
1인자는 박정석!
방구석에 인어아가씨
16/10/07 08:05
수정 아이콘
커리어상 뱅이 맞다고 보나 강민은 토스의 종족 기본 운영 자첼 뜯어고쳤기 때문에 애정이 가는건 어쩔 수 없네요 흐흐
ChojjAReacH
16/10/07 08:10
수정 아이콘
곳곳에 보이는 등빠들이!
온니테란
16/10/07 08:20
수정 아이콘
갑자기생각났는데 김동수 선수는 어느정도일까요?
16/10/07 11:34
수정 아이콘
탑10 내에는 무조건 들어갑니다. 탑5는 좀 손색이 있어보이죠. 7위권 정도?
WhenyouRome....
16/10/07 12:17
수정 아이콘
택뱅허전에는 농사꾼 등짝 광 녹차죠. 줄세우면 택뱅광허등녹농 에서 팬에따라 육칠위 왔다갔다 할듯요.
안프로
16/10/07 08:29
수정 아이콘
저는 병구에게 한표 던집니다
양대결승에서 테저프 1위를 맞다이하고 전사하신 숭고한 희생정신
그리고 번외 커리어일지 모르겠지만
마지막까지도 프로무대 떠나지 않고 외길걷는 모습이
과연 송병구다...
선동가
16/10/07 08:49
수정 아이콘
저도 박정석... 프로토스하면 박정석..
지니팅커벨여행
16/10/07 09:02
수정 아이콘
준우승 횟수 보고 2인자는 당연히 송병구라 생각했는데 랭킹 1위를 한 적이 있네요.
이건 콩에 대한 예의가 아니...
16/10/07 09:08
수정 아이콘
박용욱 선수도 결승전 몇번 갔던거 같던데
태연남편
16/10/07 09:09
수정 아이콘
커리어 통산으로는 병구인데.. 토스 유일 양대리그 우승에 대 저그전 기틀을 마련한 상징성 때문에 강민쪽으로 좀 기우네요 전...
근데 참 보면서 드는 생각이 뱅구가 4번 준우승중에 한번만 자기것으로 만들었어도 깔끔했을꺼 같은데ㅠㅠ
본인이 우승못한걸 누굴 탓할수도 없는거지만..
리콜한방
16/10/07 09:15
수정 아이콘
강민
애기찌와
16/10/07 09:24
수정 아이콘
임성춘 선수 아닙니꽈!!
아니 이선수는 1인자인가...
16/10/07 09:26
수정 아이콘
악성 광빠인데, 커리어만 놓고 따지면 뱅이라고 생각합니다.
srwmania
16/10/07 09:26
수정 아이콘
플토하면 머리는 택뱅을 이야기하지만 가슴은 박정석과 강민을 이야기하는 사람입니다.
장동민
16/10/07 09:37
수정 아이콘
1등을 제일 많이 해본선수 : 통산 1위
2등을 제일 많이 해본선수 : 통산 2위

그러므로 송병구선수가 2..
프로토스 너마저
16/10/07 09:58
수정 아이콘
박정석은 추억보정 정도고 실질적으론 녹차님과 함께있어야 할 것 같구요
투니버스부터 티빙까지 본 입장으로는 택뱅광허 여기까지 봅니다.
하쿠나마타타
16/10/07 10:02
수정 아이콘
오오 광렐루야
비트쪼개기
16/10/07 10:43
수정 아이콘
머리로는 송병구, 가슴으론 강민
16/10/07 10:45
수정 아이콘
강민 양대우승은 사실상 온게임넷이 떠먹여준거나
다름없죠.
그것도 대놓고...
고평가하기엔 이게 너무 큽니다.
16/10/07 11:10
수정 아이콘
송병구 통산 승률이 저리 높다는 게 좀 놀랍네요.
허영무는 허필패 시절 깎아먹은 게 좀 큰 듯.
wish buRn
16/10/07 11:10
수정 아이콘
커리어론 송병구 > 허영무로 봐도 무방한데..
둘간 상대전적이 허영무 5전 전승입니다.
MSL 4강에서 셧아웃시켰던 경험도 있구요.애매한데요.
작은기린
16/10/07 11:16
수정 아이콘
뱅이 2등인거같은데 광허인지 허광인지 까리까리하네요 2인자 토스들중 다 우승한번씩만 더 했어도 1탑 노려볼만했네요 기회는 다들 있었는데...
16/10/07 11:26
수정 아이콘
속도의 송병구죠
애패는 엄마
16/10/07 13:00
수정 아이콘
뱅구죠 이건
16/10/07 13:30
수정 아이콘
경기에 대한 재미등을 봤을 땐 강민에게 더 맘이 가도 객관적으론 송병구라고 보고..
개인적으로 송병구는 김탱용과 동급으로 봐도 큰 무리는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관계자들의 이야기가 정말 의미가 없는 게,
이 이전시대에 관계자들이 정말 입을 모아 칭찬했던 선수가 이재훈 선수였고 개인적으로도 정말 팬이었습니다만..
솔직히 그들의 칭찬과 선수의 성적은 정말 동떨어져 있죠.

반대의 케이스를 꼽는다면 강도경 선수가 있고요.
관계자들 말을 들어보면 16강도 못갈 거 같은 선수였는데 결승진출을 꽤나 했었죠.
이어배팅
16/10/07 13:38
수정 아이콘
1인자가 강민일수도 양대우승은 해야죠
몽필담
16/10/07 14:11
수정 아이콘
pko99때부터 스1판 마지막까지 본 목격자 중 한명으로서 평가를 해본다면...광은 뱅이랑 비교될 것이 아니라 택과 거의 비슷한 위치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미세하게나마 택이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만...그 이유는 간단해요. 광은 임-이-최-마 라인을 모두 겪으면서 임을 압도하고 이의 독주시대를 종결시킨 토스의 희망이었습니다. 뒤이은 최연성과 마주작의 숨막히는 통치 속에서도 토스 진영에서 꺼내놓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카드였다고 보고요, 실제로 그 롤을 묵묵히 수행해냈습니다. 타 종족 역대급 본좌 4명의 시대를 살면서 양대리그 우승과 OSL 2연속 결승진출은 그 어떤 토스도 하지 못한 위대한 업적이었고 최연성의 등장이 반년만 늦었거나 박용욱한테 결승에서 불의의 일격만 맞지 않았더면 임-이-광-최-마가 됐을겁니다. 스타판이 프로리그 중심으로 재편되기 이전의 시대이기때문에 누적 전적이 달리는 건 사실이지만 스타판 전체의 서사에서 봤을때 광은 프로토스 진영에서 절대 빠지면 안되는 1인입니다. 각 시대를 거치면서 이끌었던 패러다임의 선구자 역할은 보너스와 같구요.
그에 비해 뱅은 엄청난 기간의 꾸준함으로 큰 점수를 따고 있긴 하지만, 스타판 전체의 서사에 끼친 영향이 택이나 광에 비해 너무 미미합니다. 뱅이 프로토스 진영에 끼친 패러다임 변화도 거의 없었다고 보고요. 종족대표성 측면에서도 광과 택 사이에서 두드러진 적이 없었고 기회는 있었으나 번번히 좌절됐습니다. 그나마 어필할 수 있는 건 WCG 우승이나 프로리그 성적 정도라고 보는데 이 정도로 뱅이 광을 앞선다고 보기엔 좀 무리가 있다고 보는 편입니다. 축구로 따지면 디 스테파뇨나 펠레가 요즘 같은 챔스무대나 유럽의 메이저 프로리그 시스템의 혜택을 못 받았다고 하더라도 엄청난 누적기록을 쌓고 있는 현세대의 호날두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받지 않는 것처럼 광 역시 누적기록이라는 절대적인 평가잣대로 뱅과 비교되선 안된다고 봅니다. 광과 뱅은 살아온 시대가 겹치긴 해도, 광은 개인리그 중심의 시대를, 뱅은 프로리그 중심의 시대를 살아온 사람입니다. 결국 시대의 지대자, 트렌드 세터 역할의 기준으로 봤을땐 광=택>뱅이 맞다고 봅니다. 허는 아쉬운게 전성기가 오자마자 스타판이 끝났어요. 그래서 애매한 부분이 많아 평가에서 제외합니다.
짱짱걸제시카
16/10/07 17:17
수정 아이콘
이윤열과 라이벌이었다는거 빼곤 잘 모르겠습니다. 임을 탈탈 터는건 박정석도 보여줬고, 마와의 대결에 기대감이 드는건 사실 느낌적인 느낌뿐이었지 실스코어는 압도적, 최연성이랑은 천적관계..
미카엘
16/10/07 14:35
수정 아이콘
택빠인데 2인자는 뱅이라고 생각합니다.
16/10/07 15:54
수정 아이콘
꾸준함의 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88266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30820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33211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18955
501168 [유머] 불가능한 문제를 풀어낸 인물 [2] 주말535 24/06/08 535
501167 [기타] 1 대 2 격투기 매치 결과... [24] 우주전쟁1870 24/06/08 1870
501166 [게임] 바퀴 굴려서 올리는 게임 [4] Croove1677 24/06/08 1677
501165 [게임] 격겜회사 별로 보물 하나씩 들고오세요~ [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723 24/06/08 1723
501164 [유머] 군대에서 전역 사흘 미루라고 제안한다면?.jpg [27] 北海道2620 24/06/08 2620
501163 [기타] (AI 노래) 떠나가는 푸바오 [1] SNOW_FFFF922 24/06/08 922
501162 [유머] 운전 베테랑도 식은땀 흘리는 곳 [19] 길갈2901 24/06/08 2901
501161 [게임] 유출된 스파6 베가 트레일러 [9] Skyfall1197 24/06/08 1197
501160 [유머] 사도세자가 천수 누리는 대체역사 시나리오.jpg [29] 北海道2721 24/06/08 2721
501159 [유머] 삼국지 유선이 이방원 맏아들이었다면?.jpg [18] 北海道2392 24/06/08 2392
501158 [게임] 철권유저가 본 스파6 상황 [3] STEAM2027 24/06/08 2027
501157 [게임] T1에서 젠지로 간 선수와의 채팅 [9] 김삼관3250 24/06/08 3250
501156 [유머] 다 지어놓은 아파트 해체한 일본건설사 [26] Myoi Mina 5462 24/06/08 5462
501155 [게임] 스파6 내년 추가캐릭터 공개 [18] roqur2297 24/06/08 2297
501154 [유머] 열차내 잡상인 물건 사지말라는데요 [16] 명탐정코난5151 24/06/08 5151
501153 [기타] 강남괴담...공포의 이빨수집가 [13] Lord Be Goja4930 24/06/08 4930
501152 [게임] 팬텀 블레이드 제로 트레일러 [3] STEAM2233 24/06/08 2233
501151 [기타] 보기 힘든 후방 추돌 사고 [5] 서귀포스포츠클럽4217 24/06/08 4217
501150 [유머] 그놈의 K 저쩌고 [15] 짱구5194 24/06/08 51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