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7/02/21 16:43:28
Name homy
Subject [호미질] 사물놀이와 해설
오랜만에 쓰는 글입니다.

작년 12월까지는 개인적인 글을 안쓰기로 스스로 정했습니다
이제 해도 바뀌었고 게시판도 재미 없어고 해서 해금도 스스로 했습니다. ^^

퇴근길에 한 삼일 정도 생각해 본건데 정리는 잘 안되네요.  
사물놀이와 해설진 분들을 연관해서 이분들의 현재 역할과 제가 보기에 아쉬웠던
부분에 대해서 써보려 합니다.



징을 치려면 전반전인 흐름을 알아야합니다.
방관자일수도 있지만 징은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강한 울림을 주어 밀어 세운다고 할까. 추켜 올린다고 할까..
이에 해당하는 해설자로는 엄재경 해설과 임성춘 해설 그리고 김양중 해설입니다.


엄재경 해설 : 이미 독보적인 위치에 올라 있으신 분이죠.
정확한 추임세와 전체 경기를 정리하는 울림 그리고 게임 전체를 관통하는 힘은 듣는이들의 마음을
흥분으로 몰아 넣으시죠.
그런 장점들로 인해 해설자 가운데는 가장 먼저 자리잡으셧고
이분의 해설은 그 힘있는 울림 때문에 관중과 함께 한다는 느낌을 강하게 전달해 주십니다.

다만 아쉬운것은 힘이 떨어지셨는지 근래들어 반박자 늦은 해설이 나오는 경우가 많고
장구 장단을 놓치는 듯한 징소리는 전체적인 완성도를 떨어트리기도 합니다.
징은 이정표 같은 역할을 해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는 최고수라고 할수 있으나
장구의 박자와 잘 어울려야 비로서 좋은 이정표가 될수 있습니다.
조금 더 게임에 집중하셨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봅니다.

임성춘 해설 : 프로게이머 출신들이 주로 게임의 박자나 중요 포인트를 집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에 반해
이분은 특이하게 게임에 울림을 만들어 가는 분입니다.
아직 깊이가 모자라란듯 하지만 여유롭고 무겁지 않은 가벼운 징소리는 보는이들로 하여금
입가에 미소를 짓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장구의 박자를 끊어 내지 않으면서도 울리는 즐거운 징소리.. ^^

아쉬운점은 모름지기 징이란 전체를 정리하는 힘이 있어야 합니다만.
장점인 가벼운 소리가 단점이 되어 정리하고 밀어주는 힘이 부족하여 경기를 보고 나서 정리되는 느낌이 부족한점입니다.
자신의 역할에 대해 조금더 생각해 보시면 좀더 성장한 해설자가 되실듯 합니다.

김양중 해설 : 원래 징의 역할을 기대 하신듯 합니다.
현재 울림이 너무 적고 박자도 놓치시는듯 많은 지적을 받고 있으십니다.
해설로 연주를 계속 하시려면..
한경기에 3번 정도 징이 울려야할 타이밍에 아주 강하고 자신있게 밀어 올리는 연주가 필요합니다.
주주 연주에 들어 가지 마시고 짜여진 타이밍을 노려서 정확하게 하신다면 좀더 나은 해설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장구
장구는 기본 박자 입니다.
끊어질듯 이어지며 빠르게 또 늦게 이끌어 가는 장구는 기본적인 모습을 하나씩을 만들어 갑니다.
이에 해당하는 해설자는 김태형 해설과 김정민 해설 그리고 이승원 해설

김태형 해설 : 초창기 부터 이어온 이분의 역할은 게임의 흐름을 읽어 주고 진행시키는 일입니다.
초기부터 작년 정도 까지 이분의 해설을 별로 좋아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역할을 자꾸 놓치셨다고 생각했거든요.
기본적인 박자를 잡아 주어야 함에도 징소리에 파 묻여서 자신의 소리를 내지 못하고 끌려가는 모습이었습니다.
어찌보면 이분이 낮아짐으로 인해 엄재경 해설이 높아졌고 그로 인해 온겜의 해설진 전체의 완성도가 높아졌으니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했다고 해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 팀플 전문 ? ^^ )

그러다 한동안 비판의 목소리 들도 있었는데 그것이 힘을 준것인지 갑자기 좋아 지셨습니다.
징소리에 놀라던 모습은 어느덧 사라졌고 게임전체를 이끌어 갑니다.
박자를 놓치는 법이 없습니다.
밀고 땅기고 높고 낮음을 자유로이 움직이며 어느덧 징소리를 극복해 버리니
이전 자신을 낮춤으로 인해 생긴 완성도 보다 훨씬 더 좋은 소리를 들려 주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징소리와의 조화가 조금 깨져 버린점 정도랄까

김정민 해설 : 와~ 소리만 나옵니다.
첫무대의 속사 독주에 많은 팬들이 그의 해설에 빠져 버렸습니다.
약간 부정확했던 박자는 지금에 와서는 정확해졌고 그만의 빠른 연주는 확실한 매력을 더해 갔습니다.
특히나 김창선 해설과 같이 조화를 이루었을때는 그의 독주가 더욱 힘을 받습니다.
빠진 부분을 정확하게 매꾸어 주고 채워주니 경기내내 즐겁기만 합니다.

문제는 속사다 보니 징과는 잘 조화를 이루지 못하신다는점.
겸손한 모습으로 잘 참아 내며 조화를 꾸려 가시기도 하지만 상대에 따라 느려졌다 빨라지고
낮아졌다 높아지는 디테일 부분에 조금더 신경을 쓰신다면 명해설이 되시리라 기대 합니다.

이승원 해설 : 장구 독주의 일인자시죠.
가장 정확한 가락을 연주해하시는듯 하고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시는 좋은 연주자 입니다.
특히나 낮고 길게 이어지는 독주는 일품이라 할수 있습니다.

문제는 합주에서 긴 독주를 전체적인 조화를 깨버리기 쉽다는점 입니다.
합주 후에도 독주만 기역에 남으면 곤란하겠죠.
또한 높낮이의 조화에도 조금 더 신경을 써주시면 더 좋을듯 합니다.
이미 무당해설로 인정받은 분이기에 여기 까지.



북은 장구의 헐헐한 소리를 채워지는 역할과 기초소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징처럼 한번에 추겨 올리진 않지만 든든하게 받쳐 주면서 모난곳을 깍아내고 빈곳을 채워 넣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해설자로는 김창선 해설과 김동준 해설 그리고 유병준 해설 입니다.
북은 장구의 역할도 보조하고 징의 역할도 보조할수 있는 멀티능력이 좋으신 분들에 적합한듯 합니다.


김동준 해설 : 기초를 잡아 주는 북소리는 정말 든든합니다.
특유의 추임세는 징의 역할조차도 해낼듯 합니다. 장구의 가락을 잘 채워주며 매꿔 주어 팀을
최고의 대열에 올려 놓는 숨은 공로자입니다.
  
하지마 W3 때문이었는지 다른 문제때문이었는지 그 소리가 조금 낮아지고 힘이 빠져 갔습니다.
그때 장구의 독주가 사랑받으면서 더 움추려 들었던듯 합니다.

한동안 많은 지적이 있은 후 다시 돌아(?)왔습니다.
그 전보다 더 힘차게 더 강하게 울리고 있습니다만 아쉽게도 장구와의 조화가 아직도 부족합니다.
서로 잘하려고 하면 쨍하고 듣기 싫은 소리가 숨어 나옵니다.
서로 조금더 조율 하시면 더 높은 완성도를 이루실듯 합니다.


김창선 해설 : 가장 북 역할을 잘하시는 분일듯 합니다.
너무 크지 않은 추임도 좋고 끊임없이 울리는 둥둥 거림도 좋고 해설을 이끌어 나가는 힘도 좋습니다.
다른 소리에 지지않고 자신만의 소리를 끌어 내는 자신감 있는 모습도 매력적입니다.
특히나 속사 장구와 만나게 되면서 최고의 역할 변신 능력을 보여 줍니다.
장구 가락을 해치지 않으면서 같이 잘 이끌어 가시는 좋은 고수 입니다.

문제는 다른 분들과의 조합시에 부조화를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징과 같이라면 강한 소리를 조금 줄이고 박자에 조금더 치우쳐야 하고 장구와 만나면
조금더 강약 조절에 힘쓰셨으면 합니다.


유병준 해설 : 이분은 징에 역할도 잘 하실 분이나 현재는 북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징과 같이 해설하실때 북의 역할을 하시다 보니 그런듯..
  장구와 같이 합주를 할때는 징의 역할을 하시면 더 재미있는 해설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아직 역할을 확정하지 못하셨는지 높낮이와 울림이 작아 아쉽지만 다른 해설진의 아쉬운 곳을
  알아서 채워주는 좋은 능력을 보여 주고 계시네요. 그래서 북.. ^^


쇠 ( 꽹가리 )
쇠는 지휘자라고 할수있고 징은 반주 즉 피아노 반주같은 역할이죠.
노래를 부를때 피아노 반주에 박자를 맞추듯이... 쉬운것같지만 어렵습니다.
소리도 줄일때 높일때 울릴때 튀지않으면서 뒤에서 받혀주는...
그러기 위해선 모든걸 알아야 하며 센스가 있어야 합니다. ( 요거 검색했습니다. ^^ )

양 방송사의 캐스터들은 그런면에서 최고 입니다.
높일때와 빠질때 낮출때와 들어갈때를 잘 알고 있으신듯 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해설자로는 김철민 캐스터와 전용준 캐스터 입니다.
두분에 대해서는 스스로의 역할에 대해 너무 잘 아시고 계시고
스스로를 낮출때와 이끌때를 아시는 분들이라 뭐라 하기 힘드네요.
그래서 패스
  
정일훈 캐스터 :  쇠, 북 두개를 모두 연주하시는 지금은 특이한 스타일입니다.
초창기에는 해설진들의 역할 분담이 확실치 않아 이분의 스타일이 최고로 생각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합주 기술은 상당히 발전하여 두개를 혼자 연주하는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다른 해설진이 너무 약해서 어쩔수 없는 면이 있습니다.
어찌보면 슈파 해설진은 99,2000년에서 넘어 오지 못하고 그 수준에 있지 않나 합니다.

훌륭한 쇠연주가이시니 북은 이제 내려 놓으시고 조금더 다른 연주자들을 붙돋아 주는 역할에
힘을 쓰시는게 어떨까 하고 감히 말해 봅니다.



팀을 이루게 되며 누구나 자신의 역할이 있습니다.
너무 튀게 되면 조화가 깨지고 너무 죽으면 존재할 필요가 없어 집니다.
어떤 부조화가 나타난다면 서로가 자신의 역할에 충실했는지. 남의 역할을 방해하거나
조화를 깨지 않았는지를 살펴보신다면 더 좋은 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현재 방송사의 해설진들은 어떻게 조합을 하던 캐스터들의 지휘에 맞추어 잘 조합되고 있습니다.
많은 수고를 해주셔서 저희가 즐거운 관전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추신 : 음. 약속한것도 아닌데 아래 항즐이님이 클래식을...  
우리것이 좋은겁니다 라고 위안하면서  역시 항즐이님의 글 솜씨는 뛰어 나시네요. ^^  

* 관리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2-22 01:16)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2/21 17:01
수정 아이콘
오랫만에 homy님 글 읽으니 반갑네요.

12월까지라고 하셨는데 작년 12월 말씀하시는거겠죠?
스스로 하신 약속을 깨시면서 다시 말씀하시는 걸 보니 그동안 정말 글 쓰지 않는게 심심하셨나 봅니다.
약속을 깨는 바람에 좋은 글 읽었습니다.
근데 제가 알기론 "역활"은 "역할"로 써야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제가 맞다면 오타가 아니라 잘못 알고 계신 걸꺼고 제가 틀렸다면 공부 더해야 겠습니다. --;
암튼 오랜만에 쓰신 글 반갑습니다.~~~~
드라군
07/02/21 17:02
수정 아이콘
항즐이님글과
호미님글... 두분다 너무 글이아름다워요...!
추게원츄!!!
라이디스
07/02/21 17:06
수정 아이콘
멋진글입니다^^
우리나라 전통의 사물놀이에 각 해설위원과 캐스터분들을 잘 대입해주셔서 머리에 잘 들어오는군요.
쭈욱 보면서 꽹가리에 전용준 캐스터와 김철민 캐스터를 생각하며
기대하며 글을 읽었는데 패스하시니;;;;;;
07/02/21 17:11
수정 아이콘
분수님의 지적대로 수정 하였습니다.
너무 많아 한참 수정했습니다.
라이디스 님 // 두분 캐스터도 생각했는데 너무 길어져서.. ^^
찡하니
07/02/21 17:12
수정 아이콘
멋진 글입니다. 급로그인해서 댓글 답니다.
푸른기억
07/02/21 17:20
수정 아이콘
멋진글 감사합니다~
자이너
07/02/21 17:24
수정 아이콘
항즐이님 글은 클래식이 들리는 듯 했는데 호미님 글은 사물놀이 소리가 들리는 듯 하네요. 추게원츄입니다.

저도 꽹가리는 전용준 캐스터와 김철민 캐스터 얘기를 기대했는데...없어서 약간 섭섭.^^;;
07/02/21 17:54
수정 아이콘
이야 이렇게도 비유가 가능하네요
근데 팍팍 와닿는것이 묘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멋진 글입니다^^
김연우
07/02/21 19:35
수정 아이콘
아아, 정말 잘쓰시네요. 내공이 보입니다.
랜덤좋아
07/02/21 19:44
수정 아이콘
이런 비유를 하려면 도대체 얼마나 생각하고 정리해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가끔 글을 쓸 때 막히는 부분이 있을 경우 뚫기가 쉽지않은데 말이죠.비유의 옳고 그름을 떠나 참 멋진 표현이십니다.
07/02/21 20:02
수정 아이콘
글쓰기로 연우님의 칭찬을 듣다니.. 만족스런 하루의 마감이네요. ^^
XoltCounteR
07/02/21 22:45
수정 아이콘
오...멋진글이네요
붉은낙타
07/02/22 00:07
수정 아이콘
정말 멋진 글입니다. 사물놀이와 해설진의 비유라뇨 ;;

전 상상도 못할 정도의 글인데, 이렇게 멋지게 비유 해주시니..
스타리그나 MSL를 볼때도 참고 해서 보면 더 재밌을 거 같습니다 ^^
07/02/22 01:33
수정 아이콘
멋진 비유글이었습니다.
근데 박상현 캐스터는 어디로 갔나요 ㅠ_ㅠ
07/02/22 01:45
수정 아이콘
아 놔 !! (이런 의성어 써도 되나요^^) - 넘 좋거등요
오늘 추게글들 정말 굿이네요^^
좋은 글들이 많아서 PGR은 정말 끊기 어려운 사랑스런 공간입니다.
LowTemplar
07/02/22 03:16
수정 아이콘
정소림 캐스터는 사물 대신 태평소...?
오크히어로(변
07/02/22 07: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몇년동안 사물놀이에서 상쇠를 했었는데

이야 이렇게 해설진과 사물놀이를 비교하시다니 대단하십니다!!!

어찌 상쇠를 했던 저에게 저런 생각을 하늘은 내려주지 않았던가 후후
해리콧털;;;;
07/02/22 08:11
수정 아이콘
좋은글이네요, 멋진 비유 글이네요

징 특징을 제대로 짚어주셧군요 ㅠㅠ 징 쳣던사람으로 사람들이 무시할때 얼마나 서러웟던지 ㅠㅠㅠ
07/02/22 15:46
수정 아이콘
이 글 역시 멋진 글^^
sway with me
07/02/22 16:0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미소를 지으며 읽었고, 사물놀이에 대해서도 조금 배우게 되었네요^^
Peppermint
07/02/22 17:31
수정 아이콘
뒤늦게 좋은 글 읽었습니다. 역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91 추억 [25] 공룡6837 12/07/24 6837
1722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포기하지 마세요! [19] Xyrosity6897 12/02/11 6897
1713 [아듀 MBC 게임] 11년의 역사를 뒤로 한 채 MBC 게임이 오늘부로 폐지됩니다.. [81] k`7586 12/01/31 7586
1712 오늘, 헤어지는 날...입니다. [42] My StarLeague8162 12/01/31 8162
1705 MSL 10년을 말한다. - 2부 : 기억해야 할 MSL의 한 단면 [17] Alan_Baxter4887 12/01/26 4887
1411 이제 bye bye 엠겜의 Top10 명장면들.. [21] 은하수군단7260 11/09/10 7260
1290 '비르투오조' 전용준, '마에스트로' 김철민 [138] legend20125 09/01/21 20125
1249 해설진들의 十人十色 [25] 김연우12300 08/05/28 12300
1139 MSL 4차 곰티비 서바이버 박지호vs이성은 해설에 오류가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135] 밀가리19683 07/12/05 19683
1121 [명맵,명경기] 그 날의 감동을 다시 한번… #.5 롱기누스2 : 임요환vs조민준 [10] 점쟁이7295 07/11/15 7295
1087 그는 왜.....[마재윤 vs 이영호 뒷북 후기] [22] The Greatest Hits10705 07/10/03 10705
934 [호미질] 사물놀이와 해설 [21] homy6354 07/02/21 6354
842 함께 쓰는 E-Sports사(7) - C&C 제너럴리그 본기. [20] The Siria6830 06/10/07 6830
583 [호기심] 개띠 프로게이머들의 활약을 06년도에 기대해보자!!! [23] 워크초짜7436 06/01/27 7436
550 [본격 알콜섭취 유도글 1탄] 니들이 진(gin)을 알어? [62] Arata9323 10/02/22 9323
459 존중의 자세 ( 온게임넷 옵저빙에 관하여 ) [66] 종합백과17395 06/06/21 17395
387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2) - Shoo, 추승호. [22] The Siria19931 05/08/27 19931
369 MBC게임의 판소리꾼-김철민 이승원 김동준. [110] 토성21587 05/05/11 21587
344 중계진을 보면 떠오르는 음식들 [71] 공룡20272 04/12/20 20272
333 사인과 이야기 두 번째! [33] 공룡9313 04/09/09 9313
247 사인과 이야기 [75] 공룡19192 04/01/17 19192
126 [연재] 판타스틱 파이널 판타지(무림편) - 설정집 - [9] 공룡7125 02/09/18 71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