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4/12/31 18:17:35
Name 반전
Subject [후기] 2004.12.31, Premier 리그 챔피언쉽, 박태민 vs 홍진호.
2004 Primier 2차 리그 챔피언쉽, 박태민 vs 홍진호 1경기, in Nostalgia.
기세에 밀렸다.


어제 MSL 경기 결과까지 보고 난 다음에, 지금 최강자가 누구냐, 가장 상대하기 껄끄러운 선수가 누구냐를 꼽는다면 역시 박태민과 이윤열을 꼽을 것이다. 그리고 홍진호 역시 다른 생각을 할 수는 없었던 것 같다. '박태민을 이기려면 더 많은 개스를 채취하는 게 좋을 것 같아.' 라는 생각으로 오늘홍진호 선수는 노스텔지아에서 고전적인 전술인, 그래서 쉽게 기억해내긴 힘들었을 몰래 개스 멀티 전략을 들고 나왔다.

그 한 수는 최적화를 뛰어넘는 과감수이긴 했지만, 2해처리 저글링 스커지와 2해처리 저글링 무탈로 갈라졌을 때, 스커지 쪽이 오히려 앞마당이 늦는다면 몰래해처리라는 것이 공식처럼 나오는 저그대 저그전에서, 다소 행운이 따르기를 바랬던 것은 무리가 아니었을까.

스커지를 간 쪽이 오히려 앞마당 타이밍이 늦다는 건 반드시 숨겨 지은 해처리가 있다는 걸 의미한다. 박태민은 그것을 찾아내어 최적의 병력으로 공격을 했고, 그래서 홍진호는 빈집털이도 포기한채 개스를 더 채취한 대신 병력 생산 기지인 해처리를 하나 내 줄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순간 그 개스를 돌릴 수 있는 것은 공중병력. 정확한 개스 채취량까지는 알 수 없었기에 '비긴 것이 아닐까' 싶었지만, 순간 홍진호 선수의 무탈이 박태민 선수의 앞마당을 덮쳐 우위를 점할 때, 사실 나는 홍진호 선수의 승리를 생각했었다

그러나 본진 라바에서 기막힌 타이밍에 튀어나온 스커지가 결국 잔여 무탈을 모두 제거하며 홍진호 선수의 러쉬는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엔 해처리가 많은 박태민 선수에게 저글링 수에서도 밀리고,  특성상 다수가 모이기 전엔 스커지에 약한 무탈 또한 더 이상 제공권을 노려볼 수 없었다.  그리고 곧
홍진호 선수의 GG 선언으로 1경기는 마무리된다.




2004 Primier 2차 리그 챔피언쉽, 박태민 vs 홍진호 1경기, in Nostalgia,
이해할 수 없는 홍진호 선수의 선택.


1경기를 관람한 후, 홍진호 선수는 같은 맵을 쓰는 3경기에선 가장 안정적인 선택을 가져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 생각했다. 물론 2경기는 준비했던 전략을 그대로 내놓을 것이다. 그리고 홍진호 선수는 개스를 선호하는 빌드를 가져갔다.

하지만 레퀴엠은 역언덕이다. 즉, 가장 중요한 것은 당연히 저글링으로 입구를 내주지 않는 것이다. 사실상 12시 3시라는 가까운 위치, 미네랄 중시와 개스 중시의 초반 빌드의 갈림을 보고, 나는 박태민 선수가 저글링으로 입구를 뚫어 이길 것이라 내다보았고, 그것은 허무할 정도로 완벽히 맞아들어갔다.

스타팅 포인트가 멀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까?  홍진호 선수가 스타팅을 고려한 전략을 세웠다면 9시에 오버로드를 날리며 3시 드론 정찰을 가거나 혹은 6시에 빠른 정찰을 빨리 보내 확인을 했었을 것이다. 하지만 홍진호 선수는 그런 액션을 보이지 않았고, 나는 이 전략 자체에 다소 의문을 가진다.

물론 레퀴엠은 중반 이후 섬맵의 양상을 가진다. 하지만 동시에 홍진호 선수가 수비 이후 넉넉한 공중군 체제를 생각했던 맵이, 또한 역언덕형이라는 특성을 가지는 레퀴엠이었다는 점은 아무래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따 다음 경기 보고 마저 붙여 쓰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원팩더블
04/12/31 18:25
수정 아이콘
맨윗줄에 최연성은 왜빠졋을까요 -0-
04/12/31 19:29
수정 아이콘
승패를 떠나 지극히 개인적으로
박태민 對 이윤열이면 참 재밌겠구나, 생각했는데^^;
결승에서도 박태민선수 하고싶은 플레이 모두 하면서
승리가져가셨으면 좋겠네요.
완성형폭풍저
04/12/31 20:02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 요즘 포스는....
확실히 박태민선수나 윤열선수보다 아래인듯...;;;;;;
패배의 모습을 너무 많이 보여주었죠....
특히나 프리미엄리그에서...;;;;;
05/01/01 16:53
수정 아이콘
2004 Primier 2차 리그 챔피언쉽, 박태민 vs 홍진호 1경기, in Nostalgia,
이해할 수 없는 홍진호 선수의 선택.

이 부분은 2경기 in Requiem이겠지요^^? (프리미어도 스펠링이 저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41 2월 7일 월요일 워3리그 프리뷰 [3] The Siria1778 05/02/06 1778
3540 ♣ 2월 7일 월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29] 아이엠포유5857 05/02/06 5857
3537 ♣ 2월 6일 일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61] 아이엠포유7461 05/02/05 7461
3530 2월 5일 토요일 워3리그 프리뷰 [5] The Siria1027 05/02/04 1027
3526 ♣ 2월 4일 금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21] 아이엠포유6052 05/02/03 6052
3503 프리미어+MSL+OSL 후기 - 세 야수의 혈투 [8] 세이시로4323 05/01/29 4323
3491 1월 26일 수요일 워3리그 프리뷰 [4] The Siria1276 05/01/25 1276
3488 ♣ 1월 25일 화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36] 아이엠포유6753 05/01/24 6753
3476 ♣ 1월 22일 토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33] 아이엠포유5636 05/01/21 5636
3473 ♣ 1월 21일 금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48] 아이엠포유8109 05/01/20 8109
3470 ♣ 1월 20일 목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35] 아이엠포유6226 05/01/19 6226
3464 1월 19일 수요일 워3리그 프리뷰 [5] The Siria1094 05/01/18 1094
3459 ♣ 1월 18일 화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18] 아이엠포유5543 05/01/17 5543
3453 1월 17일 월요일 워3리그 프리뷰 [7] The Siria1980 05/01/16 1980
3418 [경기분석] 침착한 대응이 승리의 요인이다 - 폭풍저그의 반격 [16] 글곰4068 05/01/08 4068
3416 OSL 관전일기 - 박서 메이 크라이 [31] sylent6075 05/01/08 6075
3413 MSL 관전일기 - 테란민국 쿠데타 [17] sylent7012 05/01/07 7012
3412 ♣ 1월 7일 금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66] 아이엠포유7845 05/01/06 7845
3409 OPL 관전일기 - '8배럭‘이 사는 법, [17] sylent6038 05/01/06 6038
3393 ♣ 1월 3일 월요일 오늘의 게임리그 일정 [15] 아이엠포유6569 05/01/02 6569
3388 OSL 관전일기 - '징크스‘는 못말려. [25] sylent5699 05/01/01 5699
3376 [후기] 2004.12.31, Premier 리그 챔피언쉽, 박태민 vs 홍진호. [4] 반전3147 04/12/31 3147
3375 MSL 관전일기 - 新저그 블루스 [21] sylent3781 04/12/31 37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