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4/08/10 22:58:39
Name Altair~★
Subject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12회차 경기결과
★8월 10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12회차 승자조 결승
☞슈마 GO VS SKT T1
#엔트리
슈마 GO - 마재윤, 이재훈, 전상욱, 서지훈, 이주영
SKT T1 - 성학승, 이창훈, 박정길, 김성제, 김현진
1경기 Tucson
성학승(Z) VS 마재윤(Z)......성학승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이재훈(P) VS 성학승(Z)......이재훈 승

3경기 Luna_MBC Game
이재훈(P) VS 이창훈(Z)......이재훈 승

4경기 Detonation F
이재훈(P) VS 박정길(P)......이재훈 승

5경기 Tucson
김성제(P) VS 이재훈(P)......김성제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
김성제(P) VS 전상욱(T)......김성제 승

7경기 Luna_MBC Game
서지훈(T) VS 김성제(P)......서지훈 승

4승 3패 슈마GO 승리→최종 결승 진출


◈중간성적
★팀별 종합성적
슈마 GO - 12승 5패
SKT T1 - 11승 7패
KTF - 12승 11패
한빛 - 10승 9패 (탈락)
플러스 - 8승 11패 (탈락)
SouL - 4승 7패(탈락)
SG 패밀리 - 6승 8패 (탈락)
KOR - 3승 8패 (탈락)

★개인별 성적
6승 1패 - 김성제
5승 - 서지훈
5승 2패- 변은종
4승 1패 - 마재윤
4승 2패 - 김선기, 나도현
4승 3패 - 박성준
3승 1패 - 박정석, 조용호, 이재훈
3승 2패 - 이병민, 박영훈
2승 - 최연성
2승 1패 - 임요환, 한웅렬
2승 2패 - 한동욱, 이윤열, 김민구, 박경락
2승 3패 - 변길섭
1승 1패 - 이재항, 박경수, 박지호
1승 2패 - 전태규, 이학주, 성학승
1승 3패 - 박상익, 오영종
1패 - 박용욱, 김정환, 차재욱, 심소명, 서기수, 강 민, 박신영, 박태민, 조병호, 정영주, 박종수, 홍진호, 김정민, 진영수, 김남기, 유인봉, 조형근, 박정길, 전상욱
2패 - 주진철, 한승엽, 이창훈


◈지난 경기결과
★8월 3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11회차 패자조 준결승
☞한빛 VS KTF
#엔트리
한빛 - 유인봉(선봉), 박경락, 조형근, 나도현, 김선기
KTF - 변길섭(선봉), 한웅렬, 조용호, 강 민, 임현수
1경기 Tucson
변길섭(T) VS 유인봉(T)......변길섭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박경락(Z) VS 변길섭(T)......박경락 승
3경기 Luna_MBC Game
박경락(Z) VS 한웅렬(T)......박경락 승
4경기 Detonation F
조용호(Z) VS 박경락(Z)......조용호 승
5경기 Tucson
조용호(Z) VS 조형근(Z)......조용호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
조용호(Z) VS 나도현(T)......조용호 승
7경기 Luna_MBC Game......취소
4승 2패 KTF 승리

★7월 27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10회차 패자조 4강 2조
☞플러스 VS KTF
#엔트리
플러스 - 박성준(선봉), 오영종, 이학주, 박지호, 박경수
KTF - 김민구(선봉), 박정석, 한웅렬, 임현수, 홍진호
1경기 Tucson
박성준(Z) VS 김민구(Z)......박성준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박정석(P) VS 박성준(Z)......박정석 승
3경기 Luna_MBC Game
박정석(P) VS 오영종(P)......박정석 승
4경기 Detonation F
이학주(T) VS 박정석(P)......이학주 승
5경기 Tucson
한웅렬(T) VS 이학주(T)......한웅렬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
한웅렬(T) VS 박지호(P)......한웅렬 승
7경기 Luna_MBC Game......취소
4승 2패 KTF 승리

★7월 20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9회차 패자전 2라운드 1조
☞한빛 VS SouL
1경기 Tucson
박영훈(Z) VS 진영수(T)......박영훈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박영훈(Z) vs 박상익(Z)......박영훈 승
3경기 Luna_MBCgame
박영훈(Z) vs 김남기(Z)......박영훈 승
4경기 Detonation F
변은종(Z) vs 변은종(Z)......변은종 승
5경기 Tucson
변은종(Z) vs 박경락(Z)......변은종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
김선기(T) vs 변은종(Z)......김선기 승
4승 2패 한빛 승리

★7월 6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8회차 승자조 4강 2조
☞KTF VS 슈마GO
1경기 Tucson
마재윤(Z) VS 홍진호(Z)......마재윤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마재윤(Z) VS 김정민(T)......마재윤 승
3경기 Luna_MBC Game
마재윤(Z) VS 변길섭(T)......마재윤 승
4경기 Detonation F
마재윤(Z) VS 조용호(Z)......마재윤 승
5경기 Tucson......취소
6경기 Into The Darkness......취소
7경기 Luna_MBC Game......취소
4승 슈마GO 승리 (마재윤 All Kill)

★7월 6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7회차 승자조 4강 1조
☞SKT T1 VS SouL
1경기 Tucson
김성제(P) VS 박상익(Z)......김성제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김성제(P) VS 변은종(Z)......김성제 승
3경기 Luna_MBC Game
김성제(P) VS 박종수(P)......김성제 승
4경기 Detonation F
김성제(P) VS 한승엽(T)......김성제 승
5경기 Tucson......취소
6경기 Into The Darkness......취소
7경기 Luna_MBC Game......취소
4승 SKT T1 승리 (김성제 All Kill)


★7월 1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6회차 패자조 1회전 2조
☞SG 패밀리 VS 플러스
1경기 Tucson
박성준(Z) VS 정영주(Z)......박성준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이윤열(T) VS 박성준(Z)......이윤열 승
3경기 Luna_MBC Game
오영종(P) VS 이윤열(T)......오영종 승
4경기 Detonation F
이재항(Z) VS 오영종(P)......이재항 승
5경기 Tucson
박경수(T) VS 이재항(Z)......박경수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
이병민(T) VS 박경수(T)......이병민 승
7경기 Luna_MBC Game
박지호(P) VS 이병민(T)......박지호 승
4승 3패 플러스 승리

★6월 29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5회차 패자조 1회전 1조
☞한빛 VS KOR
1경기 Tucson
한동욱(T) VS 김선기(T)......한동욱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나도현(T) VS 한동욱(T)......나도현 승
3경기 Luna_MBC Game
나도현(T) VS 조병호(P)......나도현 승
4경기 Detonation F
나도현(T) VS 주진철(Z)......나도현 승
5경기 Tucson
나도현(T) VS 전태규(P)......나도현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취소
7경기 Luna_MBC Game......취소
4승 1패 한빛 승리 (나도현 All Kill)

★6월 24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4주차 8강 4조
☞슈마GO VS 플러스
1경기 Tucson
박성준(Z) VS 박신영(Z)......박성준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박성준(Z) VS 박태민(Z)......박성준 승
3경기 Luna_MBC Game
서지훈(T) VS 박성준(Z)......서지훈 승
4경기 Detonation F
서지훈(T) VS 이학주(T)......서지훈 승
5경기 Tucson
서지훈(T) VS 성학승(Z)......서지훈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
서지훈(T) VS 오영종(P)......서지훈 승
7경기 Luna_MBC Game......취소
4승 2패 슈마GO 승리 (서지훈 - 사상 최초 2번째 All Kill)

★6월 22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3회차 8강 3조
☞KTF VS SG 패밀리
1경기 Tucson
김민구(Z) VS 심소명(Z)......김민구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김민구(Z) VS 서기수(P)......김민구 승
3경기 Luna_MBC Game
이병민(T) VS 김민구(Z)......이병민 승
4경기 Detonation F
이병민(T) VS 강 민(P)......이병민 승
5경기 Tucson
변길섭(T) VS 이병민(T)......변길섭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
이윤열(T) VS 변길섭(T)......이윤열 승
7경기 Luna_MBC Game
박정석(P) VS 이윤열(T)......박정석 승
4승 3패 KTF 승리

★6월 18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2회차 8강 2조
☞Soul VS KOR
1경기 Tucson
전태규(P) VS 한승엽(T)......전태규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박상익(Z) VS 전태규(P)......박상익 승
3경기 Luna_MBC Game
한동욱(T) VS 박상익(Z)......한동욱 승
4경기 Detonation F
변은종(Z) VS 한동욱(T)......변은종 승
5경기 Tucson
변은종(Z) VS 주진철(Z)......변은종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
변은종(Z) VS 차재욱(T)......변은종 승
4승 2패 SouL 승리

★6월 15일 -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1회차 8강 1조
☞SKT T1 VS 한빛
1경기 Tucson
임요환(T) VS 박영훈(Z)......임요환 승
2경기 Into The Darkness
임요환(T) VS 나도현(T)......임요환 승
3경기 Luna_MBC Game
김선기(T) VS 임요환(T)......김선기 승
4경기 Detonation F
김선기(T) VS 박용욱(P)......김선기 승
5경기 Tucson
김선기(T) VS 이창훈(Z)......김선기 승
6경기 Into The Darkness
최연성(T) VS 김선기(T)......최연성 승
7경기 Luna_MBC Game
최연성(T) VS 김정환(T)......최연성 승
4승 3패 SKT T1 승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8/10 23:00
수정 아이콘
역시 팀리그에서 서지훈선수는...;; 정말 퍼펙트 ;;
물량토스짱
04/08/10 23:02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이재훈선수의활약이 컷군요.
서지훈선수의 괴력은 정말 무시무시하네요.
04/08/10 23:02
수정 아이콘
와 슈마가 이겼군요~! 근데 왜 괴물선수는 엔트리에 없었을까요..;
Slayers jotang
04/08/10 23:04
수정 아이콘
레인보우..정말 잘했는데....ㅠㅠ
아쉽습니다....패자결승에서 올킬하시길...*^^*
04/08/10 23:04
수정 아이콘
마지막 경기 서지훈 선수 물량... 정말 토나옵니다;
김성제 선수도 열심히 하셨는데 마지막에 아쉽게 되었네요.
T1팀 다음 상대는 스타군단 KTF네요.[...]
장준혁
04/08/10 23:07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 물량 전 프로게이머 중에 최연성과 더불어 최강아닐지 --;
별나라보스
04/08/10 23:07
수정 아이콘
김성제 선수 전상욱 선수 이길 때 포스는 장난 아니었는데요...쩝 아쉽군요.
그런데 이창훈 선수는 방송 무대에서 기싸움에 자꾸 밀리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자신감을 좀 가지세요~
04/08/10 23:07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도 슬슬 부활인가..서지훈 선수..최고!!!우승하시길..
댑빵큐티이영
04/08/10 23:13
수정 아이콘
SKT1..목요일날있을 박용욱vs강민전과 토요일날있을최연성vs박성준의결승과 임요환선수의 중국에서피로문제때문에 어쩔수없이 반은포기?했나봅니다..
그래도 김성제선수의 오늘 큰활약정말 눈부셨습니다
일당백같은 그런느낌.. 어쨋든 T1결승갑시다~
P.S 팀리그도 안나오며 연습한 최연성선수 우승하시고 박용욱선수는 결승가세요~
04/08/10 23:14
수정 아이콘
김성제선수 너무 정신없으셨는지 캐려 인터셉터 업글을 못하셨네요. ㅜ.ㅜ 알만꽉찼으면 골리앗 몰아낼 타이밍 있었는데. 저두 그런 실수한 적 몇번있는데 만약 지고나면 너무 아쉬워요.
OnlyBoxeR
04/08/10 23:22
수정 아이콘
SKT1팀 임요환 박용욱 특히 최연성 선수가 없어서 힘들지 않나 햇는데
제 판단이 잘못됬군요.. 아쉽습니다...^^
황제의 귀환
04/08/10 23:23
수정 아이콘
이번의 T1의 패배 정말 아쉽네요... 박정길 선수가 좀더 일찍 투입되었거나 이창훈 선수가 조금만 더 잘해주셨다면 좋았을 텐데... 이창훈 선수는 팀플레이에서는 굉장한 실력(?)이신데 반해 개인전에서는 2% 부족한 모습을 보이는 듯 싶더군요... (이창훈 선수 욕하는 것은 절대 아님!!!)
blueisland
04/08/10 23:26
수정 아이콘
아흑..이재훈선수~~
이게 얼마만의 3연승인가요,,,
막판에 로보틱스에서 셔틀이 아닌 옵저버만 나왔더라면..ㅡ.ㅡ;;
이재훈 쵝오~
젤로스or제로스
04/08/10 23:37
수정 아이콘
오늘 팀리그 보고 느낌점
1.이재훈선수 부활!!(특히 저그전의 다크활용~)
2.김성제선수 너무 잘하십니다.(실력이 부쩍 늘었다는 느낌이;;)
3.서지훈선수 물량 소름끼칩니다-_-;;(7게이트정도 스캔확인후 비슷한 숫자의 팩토리확보 물량전 신호탄;;)
04/08/10 23:41
수정 아이콘
GO팀도 포유니온팀처럼 팀리그 우승해서 빵빵한 스폰서나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여름하늘_
04/08/10 23:50
수정 아이콘
아아.. 김성제선수우~ 엄청 잘하셨는데.. 마지막에 마무리까지 했었으면 훠얼~씬 더 멋졌을것을..ㅠ_ㅠ 그나저나 서지훈선수.. 정말 퍼펙트네요.. 뭐 하나 빠지질 않더군요.. 특히 쏟아지는 그 물량이...; 크.. 다음주도 엄청난 빅경기 !! T1과 KTF... 기대 만땅입니다..^^
FireBlaster
04/08/11 00:18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 오랫만에 보는 엄청난 플래이^^ 예전 기량이 살아 나는듯 했고,, 루나에서의 서지훈선수의 지형적 불리함에있어서도 오히려 멀티를 2개 하면서 장점으로 활용하는 플래이.. 그 후 물량 정말 많았죠... 정말 정찰과 스캔 활용이 서지훈 선수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게 하는 경기였음..
불도져γ
04/08/11 00:28
수정 아이콘
재훈님 wcg이후로 엠비씨에서도 좋은모습을... 부활하시는건가요??파이팅입니다!!
utenalove
04/08/11 00:49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등장한 이재훈 선수 플레이 정말 멋졌는데 그에 대한 말은 별로 없고 T1져서 아쉽다는 말이 거의 전부군요-_-..여기 T1팬들이 많은 듯.
황제의재림
04/08/11 00:50
수정 아이콘
임요환 최연성 모두 중국갔다가 오늘 왔죠 피로도 있고 연습량도 못하죠
최연성선수 결승전 역시 포함되었고 박용욱선수 역시 하지만 2선수 영입이 크네요이렇게 비등비등하게 싸울줄이야..대단해요
HeroOfTerraN
04/08/11 01:06
수정 아이콘
성제선수...오늘 정말 멋있었습니다...마지막에 그렇게 잘싸웠건만 신의 왼손에서 뿜어져나오는 물량엔 어쩔수 없었나보군요...점점 전략을 운영하는 묘가 좋아지는거 같아서 넘 기분이 좋습니다...티원선수들...언제는 승자조에서 우승했나요??패자조에서 이겨야 기분이 더 좋은법입니다...멋진 그날 기대하겠습니다....
*세균맨*
04/08/11 01:09
수정 아이콘
임요환, 최연성, 박용욱 선수가 빠진 SKT1.. 처음엔 SKT1팀이 아닌거 같았는데.. 경기 내용, 경기결과를 보니 역시 저력이 있네요...
04/08/11 01:33
수정 아이콘
이재훈 선수의 활약이 눈에 띕니다. 너무 반갑네요. ㅠ.ㅠ
마무리는 약간 아쉬웠지만 오랜만에 좋은 모습 정말 멋집니다.
계속해서 힘내셔서 개인 리그에서도 모습 보여줬으면 합니다.
지금 재방 보고 있네요.^^
04/08/11 01:38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다음엔 꼭.. 박용욱, 최연성, 임요환선수가 있는 T1에서 활약하시길;; 충분히 그럴만한 역량있는 선수라고 생각..ㅠ
04/08/11 01:42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 오늘 필받으셨나봐요. 너무 잘하시든데요.. 언제 부진했었냐는 것처럼, 테란킬러가아니고 저그킬러였었던듯--; 그리고 김성제 선수 너무 멋졌습니다. 솔직히 티원 3대1까지 갔을때 이거 올킬아냐? 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퍼펙트한 서지훈선수에게 지셨지만, 앞으로 더 크게 성장하실수 있으실듯^^
리드비나
04/08/11 02:08
수정 아이콘
최연성, 박용욱, 임요환 선수가 없이도 SKT1 대단하네요
정말 다행인건 다음주에 SKT1 vs KTF의 대결 진짜 재밌게땅
제이디
04/08/11 02:13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의 활약,,,,아~~개인적으로는 t1팀을 응원했지만 이재훈 선수가 올킬하길바랬습니다.
그 후 김성제선수 전상욱선수와의 경기... 올만에 진짜 재미있는경기 봤습니다.
레인보우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었더군요.
오늘 경기를 보면서 t1팀. 팀의 주축선수인 3명을 빼고도 이렇게 선전하는걸 보면서 뿌듯하더군요.
제이디
04/08/11 02:21
수정 아이콘
t1팀은 아쉽겠네여. 아직은 패자조 결승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작년 가을 부터 시작한 mbc게임 결승전은 t1의 독무대 였다고 생각하는데....
최연성 선수의 빈자리가 큰가봅니다.
그러고 보니 mbc게임은 최연성을 위한 무대 같은 생각이 드네요...
TG삼보배 LG IBM 팀리그 센게임배 스프리스배까지...쩝
선풍기저그
04/08/11 04:55
수정 아이콘
김성제.. 역시 최근 페이스 굿이네요.. 하지만 T1 역시 괴물없인 힘든듯..
Missing you..
04/08/11 05:58
수정 아이콘
티원도 연성,요환,용욱선수가 없었지만..슈마도 태민,환중선수가 출전하지 않았습니다..너무 티원팀의 공백만 얘기하시는거 같아 좀 그렇더군요..
04/08/11 06:53
수정 아이콘
아...이재훈 선수의 3킬!!!
근래 방송경기서 이재훈 선수를 볼 수 없어서 너무 아쉬웠는데 어제 좋은 경기들을 보여주시더군요~ 올킬 직전까지 갔던 마지막경기가 살짝 아쉬웠지만; 앞으로 더욱 좋은 모습 보여주시리라 믿습니다..이재훈선수 화이팅!!!!!+_+
코지군
04/08/11 07:05
수정 아이콘
흠... 이재훈선수 3킬당하고 최연성 선수얘기한때 잡힌 주훈감독의 전화하고 있는 모습... "최연성 선수 부르고 있죠!!" 대충 이런내용이었는데 정박 대박!!!!!!!!!!!!!!!!! 김성세선수의 리버보다 더 대박인거 같더군요^^
Shinning_No.1
04/08/11 08:07
수정 아이콘
아 이재훈 선수 올킬하길 바랬건만. 그래도 3킬이 어딥니까 ^_^ 이재훈 선수 결승에서 올킬하시길.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재훈 선수는 영원히 슈마에 있었으면 합니다.
낭만드랍쉽
04/08/11 08:12
수정 아이콘
으하하하... 김성제 선수 정말 앞으로의 성장이 너무 기대됩니다.
6경기 전상욱 선수와의 경기 컨트롤이나 전략 뿐만 아니라 물량도 장난 아니었습니다. 이야.. 정말 기대되네요. 성제선수 화이팅입니다.

박정길 선수도 아쉽게 패했지만, 기본기가 뚝뚝 묻어나는 한판이었습니다.

SKT T1의 플토라인 갈수록 단단해지고, 기대하게 만드네요.
04/08/11 08:4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슈마 GO 응원했는데, 기분 좋네요. 이재훈 선수 눈부십니다 @_@;; 확실히 T1이 최연성, 임요환, 박용욱 선수가 없어서 힘들꺼라 예상은 했지만 말입니다. 생각해보니 Missing you..님 말씀처럼 슈마도 박태민, 김환중 선수 빠졌네요.
강민 선수 팬이기도 한 저는 다음주의 팀리그 패자 결승이 아주 기대됩니다.
청보랏빛 영혼
04/08/11 08:55
수정 아이콘
비록 지기는 했지만 어제 T1팀 정말 멋졌습니다. ^^ 참 이상하게도 T1팀 최고의 팀 답게 결승전은 가장 많이 가는 것 같은데 항상 힘들게 결승에 올라가게 되는 군요... 사실 엔트리에 최연성,임요환,박용욱 선수가 없는 걸 보고 '아... 결승 힘들 수도 있겠구나.. ' 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경기를 지켜보면서 괜한 생각이였다는 마음이 들더군요. 어제 최고의 포스를 보여줬던 성제선수 정말 멋졌습니다.
T1팀 모든 선수 한명 한명이 정말 강한 팀입니다. 언제 우리가 쉽게 결승간적 있었던가요? 저번 팀리그도 패자전에서 올라갔고, 프로리그때도 막판 6연승으로 힘들게 올라가지 않았습니까... 이번에도 패자전으로 내려갔지만 꼭 올킬해가지고 결승에 직행하리라고 믿습니다! T1 화이팅!!!
눈물의곡절
04/08/11 09:13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 좋아해서 3킬한건 좋은데 워낙 SKT1팬이라..
그나저나 missing you.. 님.. 최연성,임요환,박용욱선수의공백과
박태민,김환중 선수의공백과 같다보십니까?? 좀당황스럽군요..
개인적인생각으론 오늘 슈마지오졌으면 정말 망신일뻔했습니다..
주훈감독표정에서 우린 에이스다빠지고도 너희 이길수있어!!
이런표정이었구요..암튼 결승전에서 다시만나면 T1의 압승을
기대합니다..
미스서
04/08/11 09:26
수정 아이콘
머가 망신이라는 건지 모르겠군요,,,
눈물의곡절님이 쓰신 글을 보면 임요환,최연성,박용욱이 빠진 T1은
T1도 아닙니까? 망신은 무슨망신입니까,, 마재윤선수가 KTF를 올킬했을때 KTF가 망신당했다고 말한사람은 없었습니다.
눈물의 곡절님은 임요환,박용욱,최연성 선수때문에 T1을 좋아하시는것 같네요,,, 그리고 이런거 잘 안따지지만 최연성vs김환중 1:2 입니다.(pgr전적본것이예요,,틀리다면 죄송)
04/08/11 09:43
수정 아이콘
박태민 선수의 공백은 어제 상황에서 매우 컸다고 보는데요. 어제 선발이 저그였던 GO팀으로서는 후반 엔트리가 사실상 한정적이었죠. 개인적으로 전상욱 선수가 패배했을 때 박태민 선수의 빈 자리가 크게 느껴졌습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마무리는 서지훈 선수가 해줄 것이란 믿음도 없지는 않았지만, 요즘 테란 상대로 강세인 김성제 선수를 본다면 저그인 박태민 선수의 부재는 말 그대로 아쉬운 상황이었습니다.
물론, T1도 최연성, 임요환, 박용욱 선수가 나왔다면 상황이 어떻게 돌아갔을지는 미지수겠죠. 하지만 그렇다면 그 역시 GO팀에게도 어제 양상과는 다르게 돌아갈 여지를 함께 주었겠죠. T1에서 세 선수의 부재가 컸듯이 GO팀으로서도 역시 타 선수의 공백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어쨌거나 팀배틀인 상황에서는 한 경기 한 경기 적절하게 맞상대해 줄 선수가 아쉬운 것이 사실이니까요.

p.s.
어제 이재훈 선수 올킬하시길 바랐는데, 조금은 아쉬웠습니다. 혹여 3킬한 활약이 바래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염려도 조금 들었는데, 그렇게 되지 않아서 다행이네요.
그러고 보면 어젠 플토의 포스가 상당히 강한 날이었던 듯싶군요. 듀얼의 안기효 선수는 조 2위지만 스타리그에 올라갔고, 이재훈 선수의 3킬에 김성제 선수의 활약까지. 벌써 가을이 시작되나요?^^;;
그리고 박태민 선수 스타리그에 올라간 거 축하드립니다.(재욱 선수 이긴 건 마음이 조금 아프지만...ㅜ.ㅜ) 3연속 스타리그 진출이라... 이번에는 8강을 꼭 넘어설 수 있기를 바랍니다.^^
04/08/11 09:49
수정 아이콘
어제 경기에서 Go에 비해 T1 선수의 공백이 컸다는건 명백한 사실일건데, 뭘 그렇게 아니라고 열 올리는지 이해가 안되는군요. 지금은 Go의 공백이 T1의 공백과 비슷했다고 말하는 분들이 억지같습니다만..
04/08/11 09:50
수정 아이콘
박태민선수의 부재도 상당히 크다고 느꼈는데요 --;;; 저그대 저그 최강자... 플토한테 조용호선수만큼 쎈 그가 없었죠...
지존게이머
04/08/11 10:20
수정 아이콘
테란봵님// 무엇을 근거로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다른 선수가 다 나왔어도 T1팀이 졌을꺼라니 정말 이해가 안 가는군요. 이런 거 끼어들어 논쟁하기 정말 싫어하지만 어이없어서 로그 인 했습니다.
04/08/11 10:26
수정 아이콘
저도 어제 t1의 에이스 급 주자들이 모드 빠져서 좀 아쉬웠습니다. 어제 t1에 공백이 더 크다고 느껴지는 건 박용욱,임요환,최연성 이 세 선수가 t1팀에서의 역할 뿐만이 아니라 개개인 그들의 파워가 크기때문이기도 하겠지요. 그런데 슈마는 강력한 파워를 뿜는 듯 보이는 선수가 언뜻 서지훈, 박태민 선수...그리고 그들마저 어쩌면 t1팀의 에이스급 선수들에겐 조금 밀리는 느낌이 들지모르나 GO팀은 전 멤버가 골고루 나름의 힘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T1이 결승에 올라간다는 전제하에 다음 번에 다시 이 두팀이 붙는다면 결승전이 될테니 공백없는 두 팀간에 대결에서 슈마의 압승을 기대해봅니다.
04/08/11 10:47
수정 아이콘
저는 빠진 선수가 없을 경우 티원이 이길것 같습니다~
04/08/11 10:55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T1의 최연성 선수가 2승 밖에 없다는게 좀 의아하군요. 에이스라면 단연 최연성 선수일텐데, 에이스가 부재하고도 승자 결승까지 갈 수 있었던 건, T1의 저력이 그만큼 뛰어났다는 걸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테란뷁!
04/08/11 10:59
수정 아이콘
지존게이머님// 기분 나쁘시다면 죄송합니다. 자삭하겠습니다. 어제 내기가 걸려있어서 T1을 응원하고 있었는데 슈마팀 분위기가 왠지 지지않을것 같은 느낌이라서 그랬습니다.
물량토스짱
04/08/11 11:58
수정 아이콘
어제가 슈마go팀이 졋다면 망신이라니..황당할 따름입니다.
22raptor
04/08/11 11:58
수정 아이콘
거참..

엔트리가 어떻고 어떤 선수가 출전했고 안했고를 떠나서..
T1은 졌고 GO는 이겼습니다.
그걸로 된거 아닙니까?
진팀에겐 다음 승리를 기약하고.. 이긴팀에겐 축하를 해주는게 마땅한 것일진데..
어째서 서로의 기분을 상하게 할 말씀들만 하고계신지..

어느 게시판에서든 이번 경기에 관한 분란의 시작은
SK T1팀 일부 팬들이 배려없이 던지는 아쉬운 한마디에서 시작하는군요.
"임요환, 최연성, 박용욱이 있었으면 이겼을텐데.."

제발 서로들 배려좀 합시다..
22raptor
04/08/11 12:05
수정 아이콘
어제 슈마go팀이 졌다면 망신이라니..
T1팀에서 '임요환 최연성 박용욱'을 제외한 나머지 게이머들이
그렇게 만만해 보이십니까?
어제 출전했던 T1팀의 선수들이 겨우 그런 이야기를 들을정도의 실력이던가요?
T1팀에서 '임요환 최연성 박용욱' 3인방의 비중이 큰 것은 사실입니다만..
T1 팀이 명실상부한 최강팀이 된 것은 단지 그 3인방만의 힘이 아닙니다.
일급살인
04/08/11 12:25
수정 아이콘
역시나 오늘도 pgr답군요
FireBlaster
04/08/11 12:27
수정 아이콘
T1의 일부 팬분들이 난장판을 만들어 놨군요...
그 말들도 참 어이가 없습니다..
04/08/11 13:00
수정 아이콘
pgr은 다 좋은데....어떤분이 말실수 하나 한거 같고 자꾸 말트집 잡는것은 정말 나쁘다고 생각합니다..그냥 살짝 넘어가도 됄것을...
달려라 울질럿
04/08/11 13:02
수정 아이콘
역시 pgr에서 T1을 건드리는 것은 금기와도 같군요 ㅡㅡ;
T1건드리면 다굴 모드.
fastball
04/08/11 13:06
수정 아이콘
졌으면 깨끗이 인정할줄아는게 진정한 강자입니다..
끝나고 나서 뭐라고 떠들어대는 팬들이 더우습군요...
박모군
04/08/11 13:16
수정 아이콘
환중 선수는 다른거 때문에 빠진게 아니고 엔트리 경쟁에서 밀려서 빠진거죠. 두 팀 모두 잘했습니다. -End-
휴지통
04/08/11 13:39
수정 아이콘
T1의 세선수 빠져서 지오가 이길수 있었다는 말이 뭐가 그리 잘못됐는지 이해할수가 없네요. 사실 맞는 말이죠. 듣기 싫어도 사실은 사실인걸요. 지오가 이긴거 칭찬 받고 싶었나 본데 역시 pgr에서 go를 건드리면 다굴모드. 민감한 일부 go팬분들이 난장판을 만들어 놨군요.
04/08/11 13:57
수정 아이콘
이해가 안 되네요. 어째서 일부 T1팬들을 자꾸 거론해서 싸잡아 비난하시나요? T1팬이 아니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그리고 이래서 pgr이다란 소리 안 듣게끔 비꼬는 것좀 그만하실수 없나요? 참, 듣기 거북스럽습니다. 다수의 분들께서 언급하신 일부 T1팬들처럼 행동해서야 되겠습니까?
테란뷁!
04/08/11 14:06
수정 아이콘
그 일부때문에 다수가 욕먹는거죠.
봄냥♡;
04/08/11 14:15
수정 아이콘
슈마지오가 졌으면 망신이라... 말이 좀 너무 심하다고 생각합니다. T1세선수들이 빠졌지만 주훈감독님께서 충분히 나머지 선수들을 믿고 내보낸건데 말이 좀 그렇군요. 그리고 이긴선수든 진 선수든 충분히 칭찬을 들을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열심히 했으면 칭찬을 듣고 싶은건 당연한거 아님니까? 두팀 모두 혈전을 거쳤는데 이런 말이 나오니까 기분이 상하네요.
오노액션
04/08/11 14:23
수정 아이콘
비록졌지만 티원은 요번시즌만큼은 최연성의 팀이 아닌 김성제의 팀이군요....최연성의 팀이다라는 소리를 벗을수 있어서 좋은것같습니다..
김성제 선수 아쉽군요..서지훈선수만 잡으면 7승..제대로 활약하는건데..
fastball
04/08/11 14:27
수정 아이콘
참우습네요...세선수가 빠져서 지오가 이길수 있었다는 휴지통님의
말씀이..
그런 3선수가 다 활약한 프로리그에서는 왜 우승못했죠?
그것도 전력이 떨어진다는 한빛에게?
님의 논리야 말로 정말 재미있네요..
DeGenerationX
04/08/11 14:30
수정 아이콘
개학 언제지?
SkyintheSea
04/08/11 14:36
수정 아이콘
모두들 pgr여러분들 답지 않습니다
너무들 감정적으로 하시는것 같은데
결과론적인 얘기를 너무 하지 마시고
위에 어느분 말씀대로 이긴팀은 이긴팀 축하해주고
진팀에게는 위로를 해주는게 올바른길 아닐까요
서로 인정할 부분은 인정해주고 말이죠
최강프로!
04/08/11 14:38
수정 아이콘
사실 T1의 주력들이 빠진상태니깐 GO의 완전한 승리라고 하긴 어렵겠죠..그래도 T1의 주력들이 다 있었다 하더라도 누가 이길지는 장담
못할듯 하네요...다만 결승전에서 두팀이 다시 만나서 제대로 한판
붙었음 하는 바램입니다..

P.S 그래도 PGR은 논쟁이 붙어도 각기 예의를 지키면서 존칭을 써주고
욕설을 하지 않아 보기 좋아보입니다..이번에 파이터포럼인가 거긴
욕설이 엄청 난무해서 보기 좀 그렇던대..
지존게이머
04/08/11 14:50
수정 아이콘
최강프로님의 말씀이 맞다고 생각되네여. 다시 결승에서 만나 두팀 모두 최상의 전력으로 맞붙었으면 합니다.
KILL THE FEAR
04/08/11 16:04
수정 아이콘
이미 다 끝난 경기입니다. '최연성선수가 안나와서 아쉽다, 주력선수들이 안나와서 아쉽다'라는 말정도는 괜찮지만 'xx선수가 나왔더라면 xx팀이 이겼을거다' 이런식의 추측은 정말 난감합니다-_- 마음먹고 나오려고 했다면 나올수도 있었는데 그렇게 하지 않은건 T1감독님이 생각이 있으셔서 그런거겠죠. 승자조 결승이었기 때문에 패자조처럼 기회가 없는것도 아니었구요. '추측'을 일반화 시키지 말아주세요-_-;;
희상이아빠
04/08/11 16:36
수정 아이콘
DeGenerationX님 ㅠㅠb (털썩~)
04/08/11 16:54
수정 아이콘
DeGenerationX님 푸웁... 엄지 손가락이 절로 세워지는 리플이었습니다. 임뱅록을 기대하는건 저뿐인가요? 아님 슴뱅록...
슬기로운생활
04/08/11 16:56
수정 아이콘
박용욱선수 엠겜 팀리그 전적 1승 6패입니다.
박용욱, 최연성 선수 나오고, 박태민, 김환중 선수가 나왔다거나, 서지훈선수를 이재훈 선수의 3킬 후에 내보냈다면 어제의 팀리그는 어땠을까요.
선풍기저그
04/08/11 18:12
수정 아이콘
T1팬분들.. 이곳에서의 멘트를보니 상당히 실망스럽군요...
분명 저력은 있지만 최근 1-2년간 부진했던 이재훈선수에게 3킬당하고도 창피스러움을 면하고자 누구누구가 없어서.. 라는 핑계라니...
그들은 단지 괴물-임요환의 팬이었던가......
blueisland
04/08/11 18:39
수정 아이콘
진게 억울하면...최연성 선수한테 전화해서 나오라고 하지 그러셨어요...ㅡ.ㅡ;;
관리자
04/08/11 19:41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관리자 아이디입니다.

지나친 추측성 발언은 좋지 않습니다.. 또 그로인해 감정싸움을 하는것도 나쁘구요..

조금씩 여유있게.. 패배를 인정하고 승리를 축하하고 상대의 상황을 이해해주기도하는 모습을 보입시다
Hunter Blues
04/08/11 23:55
수정 아이콘
늘 보아오던 모습이라서..이젠 덤덤합니다...
이윤열 선수가 최연성 선수에게 패했을때도, 강민 선수가 최연성 선수에게 패했을때도, 박정석 선수가 박성준 선수에게 패했을때도...
늘...똑같은 모습의 반복이네요...
여름하늘_
04/08/12 02:40
수정 아이콘
참.. 이런 모습 안볼날이 없군요. 서로 니탓이니 내탓이니 하는것도 그렇지만, 한번 문제성 댓글이 올라오면 멈추지 않고 말로 상처를 내는거, 욕만 안하는거지 기분 나쁘기는 마찬가집니다. 아무생각없이 조용히 댓글 읽다가 불쾌해할 다른 T1팬분들이나 슈마GO 팬분들이 계실것을 생각 좀 하시고 댓글다셨으면 좋겠네요. 서로 나쁜감정만 키우지 마시구요.
Missing you..
04/08/12 12:36
수정 아이콘
눈물의 곡절님 오히려 제가 당황스럽습니다..더이상 답변할 가치를 못느껴 더이상 말하진 않겠습니다..
BoxeR'fan'
04/08/12 12:56
수정 아이콘
요즘 스타 관련 게시판들을 어딜가나 이상하게 시비꺼리를 만드는 분들과...거기에 또 발끈해서..도매금으로 싸잡아 넣으면서 일을 크게 만드는 분들의 싸움의 반복을 보는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729 SKY 프로리그 2004 2Round Mercury리그 1회차 경기결과 [16] Altair~★6531 04/08/11 6531
2727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중간성적[표] [5] Altair~★3111 04/08/11 3111
2724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12회차 경기결과 [76] Altair~★8908 04/08/10 8908
2723 EVER 2004 온게임넷 1st 듀얼토너먼트 F조 경기결과 [42] Altair~★7892 04/08/10 7892
2716 Weekly Starcraft Summary - 2004년 8월 8일 [11] Altair~★2146 04/08/08 2146
2714 WEG 한-중 국가대항전 경기결과 [25] Altair~★9741 04/08/08 9741
2712 SPRIS배 2004 MBC게임 스타리그 중간성적[표] [12] Altair~★4582 04/08/06 4582
2710 2004 WCG 시드결정전 2차예선 경기결과 [9] Altair~★7168 04/08/06 7168
2706 SPRIS배 2004 MBC게임 스타리그 9주차 경기결과 [22] Altair~★8612 04/08/05 8612
2705 2004 WCG 시드결정전 1차예선 경기결과 및 종족별 전적 [6] Altair~★4182 04/08/05 4182
2704 2004 WCG 시드결정전 2차예선 대진표 [11] Altair~★4524 04/08/05 4524
2703 2004 WCG 시드결정전 1차예선 경기결과 [29] Altair~★8100 04/08/05 8100
2701 2004년 4월 ~ 프로게임단 종합전적 [9] Altair~★3729 04/08/04 3729
2700 2004년 8월 4일 - 온게임넷 본선 종합 순위 [16] Altair~★4102 04/08/04 4102
2698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중간성적[표] [1] Altair~★2455 04/08/04 2455
2697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11회차 경기결과 [18] Altair~★7547 04/08/03 7547
2695 EVER 2004 온게임넷 1st 듀얼토너먼트 E조 경기결과 [15] Altair~★8075 04/08/03 8075
2691 Monthly Starcraft Summary - 2004년 7월 [5] Altair~★2089 04/08/02 2089
2690 2004년 8월 KeSPA 공식랭킹 [56] Altair~★5758 04/08/02 5758
2686 Weekly Starcraft Summary - 2004년 8월 1일 Altair~★1218 04/08/02 1218
2682 Gillette 2004 스타리그 결승전 경기결과 [42] Altair~★6538 04/08/01 6538
2671 iTV 랭킹전 7th 랭킹결정전 2라운드 3주차 경기결과 [5] Altair~★4689 04/07/30 4689
2670 SPRIS배 2004 MBC게임 스타리그 중간성적[표] [2] Altair~★2516 04/07/30 25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