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4/07/01 14:08:31
Name Altair~★
File #1 2004_상반기.jpg (0 Byte), Download : 14
File #2 2004년_상반기_결산.xls (0 Byte), Download : 34
Subject 2004년 스타리그 상반기 결산


2004년 1월부터 6월까지 온게임넷과 MBC게임을 통해 모두 695경기의 스타리그가 펼쳐졌다.
개인전이 464경기, 단체전이 68경기의 팀플전을 포함 231경기.
상반기에 펼쳐진 스타리그의 전적을 결산한다. 전적 산정에 포함된 경기는 방송국별로 아래와 같다.

◈온게임넷
NHN 한게임 03~04 스타리그
Gillette 2004 스타리그

2003 3rd 듀얼토너먼트

2003 3rd 챌린지리그
G-Voice 2004 1st 챌린지리그

neowiz PmanG Cup 프로리그
SKY 2004 프로리그

메가스튜디오 개관기념

◈MBC게임
하나포스 CEN GAME배 2004 스타리그
SPRIS배 2004 스타리그

2nd 마이너리그
3rd 마이너리그

LG IBM PC배 팀리그
Tucson배 팀리그

개국3주년 특별전

◈기타
KT-KTF 프리미어 리그


상반기 최고의 스타는 "최연성"
45전 32승 13패 승률 71.1%
다승 2위, 승률 1위, 10연승, 2004년 VS저그전 무패, 10-10 클럽(개인전, 단체전 10승이상) 가입
'치터테란' 최연성(SKT)의 2004년 상반기 성적표의 일부이다.
상반기에 거머쥔 우승컵만도 이미 2개. 하나포스 CEN GAME배와 LG IBM PC배를 석권하고 이제 온게임넷 정벌에 나선다.
'천재테란' 이윤열(SG)이 KT-KTF 프리미어리그 통합챔피언 타이틀과 다승왕(35승)으로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는 기세.

'황제' 임요환(SKT)이 최근 10경기에서 8승 2패로 부활하며 다승 9위(20승)에 오르긴 했으나
'폭풍저그' 홍진호(KTF)는 다승 8승에 5할에도 못미치는 승률(44.4%)로 부진의 늪을 헤어나지 못했고
조용호(KTF), 성학승(플러스), 박경락(한빛), 이재훈(슈마GO)도 기대이하의 성적으로 팬들을 안타깝게 했다.
하지만, 강민(KTF), 서지훈(슈마GO), 박용욱(SKT), 김정민(KTF), 박정석(KTF) 등은 제몫을 해내고 있다.

반면에 '완성형 저그' 박성준(POS)은 다승 7위(23승), 승률 4위(67.6%)를 기록하며 저그로는 유일하게
Gillette 스타리그 4강에 오르는 등 팬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고
전상욱(슈마GO)이 다승 11위, 승률 2위, 마재윤(슈마GO)이 승률 5위, 김민구(KTF)가 승률 7위,
차재욱(KOR)이 다승 17위를 기록하는 등 신예 선수들이 놀라운 기세로 선배들에게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저그' 진영의 새로운 희망은?
최연성에 이은 상반기 두번째 이슈는 저그의 몰락(?)이다.
각종 대회 본선의 중요한 경기에서 연달아 패하는 모습을 보이며 '저그 암울론'이니 '패치의 필요성'등의 다양한 목소리가
등장한 가운데 상반기 성적으로 봤을때도 부진이 그대로 반영되었다.
테란이 173승 155패 52.7%의 승률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고, 플토가 122승 122패로 정확히 5할 승률을 기록했다.
저그는 122승 140패 46.7%로 5할이상을 기록하던 예전의 승률보다 4% 포인트 가량 떨어졌다.
하반기에는 '변태준' - 변은종, 박태민, 박성준 - 의 선전과 '조진락' - 홍진호, 조용호, 박경락 - 의 부활,
'신진세력' - 마재윤, 박영훈, 김민구 등 - 의 약진이 어우러져 선전하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상반기 최고의 팀은 "슈마 GO"
231경기의 단체전을 치르면서 가장 많은 승수를 챙긴 팀은 neowiz PmanG Cup 프로리그 패권을 거머쥔 슈마GO가 차지했다.
68전 42승 26패로 가장 많은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2위는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결승에 오른 한빛 Stars로 38승.
슈마 GO는 61.8%로 승률왕에도 오르며 게임단 성적의 다전, 다승, 승률을 모두 휩쓸었다.
승률 2위는 LG IBM PC배 팀리그 우승을 차지한 SK텔레콤 T1으로 60.4%.
한빛 Stars, SouL, SG Family가 50%를 넘는 승률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하지만, 삼성 Khan은 아쉽게도 다전, 다승, 승률 모든 부분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며 안타까움을 더했다.


[덧붙임]
6월 Monthly Starcraft Summary는 상반기 결산으로 쉽니다...^^
작업한 순위표를 그림파일과 Excel 파일로 첨부합니다.
혹시 필요하신 분들은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바다저그
04/07/01 14:15
수정 아이콘
이런 머신,머슴 같으니라고..^^
최연성선수가 생각보다 승률이 낮군요..^^ 그리고 역시 나다...
윤영환
04/07/01 14:30
수정 아이콘
승률 TOP10에 슈마GO선수가 4명이나 -0-;;;
바이폴..
04/07/01 14:46
수정 아이콘
승률 순위에서 전체 선수들 게임수가 잘못나왔네요^^
다승순위를 복사 해버리신듯??
04/07/01 14:47
수정 아이콘
이런 팀 성적 (다승,승률)에선 거의 슈마지오가 1위를 지키는군요;;
Altair~★
04/07/01 14:52
수정 아이콘
비이폴.. 님 / 그러네요...^^ 수정완료
04/07/01 15:13
수정 아이콘
역시 최연성, 이윤열 선수라는 말이 나옵니다. 하반기에는 두 선수가 조금 더 자주 만나서 명경기를 연출하기를. nada fighting.
상어이빨
04/07/01 18:17
수정 아이콘
크하핫..역시 슈마GO~!! 최고 ^^b
CoolLuck
04/07/01 18:28
수정 아이콘
전성욱선수의 선전이 눈에 띄네요. 얼른 메이져리그에서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ilove--v
04/07/01 19:39
수정 아이콘
최연성선수 저렇게 많이 졌었나요 ;;
창자룡
04/07/01 20:02
수정 아이콘
ktf의 팀성적이 너무 기대이하군요.... 뭔가 조치(?)가 있어야할 듯......(논란성 발언이 안됐음 싶네요.....^^;)
04/07/01 21:08
수정 아이콘
상반기결산이라,,, 원래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pgr에서 처음보는 글같은데 특히 슈마go성적이 생각보다 좋아서 좋네요,,,^^
각종전적 잘보고 있고요. 수고하셨습니다...^^
김선도
04/07/01 21:13
수정 아이콘
itv 꺼는 빠져있네요. 그거까지하면 최연성선수 다승 승률 장난아니게 오를듯.
밀레이유부케
04/07/01 22:29
수정 아이콘
역시 T1의 원투펀치의 승률은 무시무시하군요.. 이제 황제께서도 서서히 부활하야 쓰리펀치의 시대가 오기를...
04/07/01 23:16
수정 아이콘
하반기 결산엔 폭풍의 완벽한 부활로 최고의 스타는 홍진호선수가 되었음 좋겠네요
장준혁
04/07/01 23:43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님 팀에 있을땐 팀 성적으로 쳐야죠. 말도안돼는 말씀 하지마세요
고맙습니다
04/07/01 23:44
수정 아이콘
윤영환 님//댓글보고 '슈마GO 선수 5명민데..'했다가 앗차 !싶었습니다.
.
.
글을 지우려고 하다가 다시 생각해보니 강민선수 슈마GO소속일때 승수가 아니었다면 저기 있을수가 없겠더군요.
슈마GO도 강민선수가 없었다면 저기 있지 않을지도 모르구요~^^
Trick_kkk
04/07/02 02:02
수정 아이콘
이거 질레트스타리그 프리매치 전적도 포함시킨 건가요..?
제가 기록하고 있는 최연성 선수의 2004년 전적(iTV, 프리매치 제외)은 11패로 돼있어서용(한웅렬,이병민,전상욱,변길섭,이재훈,이병민,
김정민,이윤열,이윤열,나도현,전태규 패)
제 나름대로 용쓰며 기록하고 있는 최선수의 전적이라 잘못된 부분은 고치고 싶으니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거룩한황제
04/07/02 09:21
수정 아이콘
조진락, 변태준에 이은 신진 저그세력...마영구...ㅡㅡ; 쿨럭...
어찌되었건 조진락 꼭 부활을 하시길...
변태준...이대로 계속 이어지시길...
마영구...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하겠습니다...
4tim@Pure
04/07/02 11:21
수정 아이콘
프리매치포함하면 13패죠
Trick_kkk
04/07/02 14:55
수정 아이콘
그렇군용. ^..^
04/07/02 15:07
수정 아이콘
김민구선수 비록 하위리그에 있긴 하지만 대단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08 MBC게임 3rd 마이너리그 메이저진출전(11~12주차) 경기일정 [11] Altair~★3259 04/07/12 3259
2603 Weekly Starcraft Summary - 2004년 7월 11일 [7] Altair~★2139 04/07/11 2139
2590 SPRIS배 2004 MBC게임 스타리그 중간성적[표] [5] Altair~★4149 04/07/08 4149
2588 SPRIS배 2004 MBC게임 스타리그 5주차 경기결과 [36] Altair~★7716 04/07/08 7716
2585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중간성적[표] [14] Altair~★5653 04/07/06 5653
2584 G-Voice 2004 온게임넷 1st 챌린지리그 1위결정전 경기일정 [16] Altair~★7381 04/07/06 7381
2583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7회차 경기결과 [32] Altair~★8313 04/07/06 8313
2581 G-Voice 2004 온게임넷 1st 챌린지리그 순위결정전 3주차 경기결과 [16] Altair~★6629 04/07/06 6629
2579 MBC게임 3rd 마이너리그 9주차 경기결과 [23] Altair~★6707 04/07/05 6707
2577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결승전 경기일정 [34] Altair~★5730 04/07/05 5730
2576 Weekly Starcraft Summary - 2004년 7월 4일 [15] Altair~★2192 04/07/05 2192
2570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최종결과 [18] Altair~★10393 04/07/03 10393
2566 Gillette 2004 스타리그 4강 A조 경기결과 [75] Altair~★9872 04/07/02 9872
2561 iTV 랭킹전 7th 랭킹결정전 1라운드 중간성적[표] Altair~★2965 04/07/02 2965
2559 iTV 랭킹전 7th 랭킹결정전 1라운드 2~5위전 경기결과 [29] Altair~★6062 04/07/02 6062
2558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중간성적[표] [2] Altair~★2682 04/07/02 2682
2554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6회차 경기결과 [33] Altair~★6474 04/07/01 6474
2553 2004년 스타리그 상반기 결산 [21] Altair~★5005 04/07/01 5005
2551 2004년 7월 KeSPA 공식랭킹 [35] Altair~★6190 04/06/30 6190
2550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중간성적[표] [7] Altair~★3062 04/06/30 3062
2549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21회차 경기결과 [66] Altair~★13155 04/06/30 13155
2547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중간성적[표] [2] Altair~★2189 04/06/29 2189
2546 Tucson배 MBC게임 팀리그 5회차 경기결과 [22] Altair~★7374 04/06/29 737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