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11/12 21:00:12
Name rainbow
Subject 11월 6일 itv 스타크래프트 6차 랭킹 결정전(5회전)
* 랭킹결정전 역대 챔피언
1차리그 - 봉준구 Skelton
2차리그 - 최인규 ChRh
3차리그 - 이윤열 [ReD]NaDa
4차리그 - 이윤열 [ReD]NaDa
5차리그 - 홍진호 Yellow

* 랭킹전 6차리그 최종성적(1R-3R)
14승 조용호(14연승)
7승 김정민
6승 기욤패트리
5승 이현승
3승 김성제
2승 이재훈, 성학승
1승 임요환, 홍진호, 임성춘, 변길섭, 최수범
0승 서지훈, 최인규, 장진남, 김현진

* 홍진호, 서지훈 선수는 개인사정으로 랭킹결정전 불참.


◈제 1경기  
이현승(6시 저그) vs 김성제(12시 프로토스) 맵 : 로스트템플
-이현승 선수 승
-저그는 앞마당 더블 해처리를 가고 프로토스는 투게이트 빠른 가스로 진행. 김성제 선수 템테크를 올리며 뛰어난 프루브 컨트롤로 저그의 본진에 들어가 노레어 히드라덴을 보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입구쪽에 병력을 모아두고 캐넌을 소환하는 타이밍에 저글링 빈집을 허용하여 막 생산된 하이템플러 2기를 모두 잃어 버리고.. 템플러의 부재로 저글링-히드라 러시에 입구 방어라인이 뚫리고 앞마당을 가져가는데 실패하고 만다. 늦은 앞마당 이후 저그의 뮤탈리스크와 러커에 휘둘리며 결국은 GG.



◈제 2경기
이현승(12시 저그) vs 김성제(2시 프로토스) 맵 : 에볼루션 프레데터
-김성제 선수 승
-저그는 원해처리 저글링 생산후 멀티, 프로토스는 포지 더블넥을 한다. 김성제 선수는 멀티를 바탕으로 투스타를 가동, 스플래쉬 프로토스를 사용하고 이현승 선수는 해처리를 늘리며 히드라 테크를 탄다. 이후 김성제 선수 성급히 공격하지 않고 멀티를 늘리며 캐넌과 리버로 안전하게 방어한다. 저그의 히드라 물량과 프로토스의 커세어-리버가 맞드랍을 하는등 교전을 벌이지만 김성제 선수 특유의 힘있는 스플래쉬 프로토스 운영으로 차츰 승기를 잡아나가며 캐리어를 생산, 커세어-캐리어-리버로 경기 마무리.



◈제 3경기
이현승(9시 프로토스) vs 김성제(3시 프로토스) 맵 : 에볼루션 자이언트 스텝
-이현승 선수 승 -> 이현승 선수 2승 1패로 랭킹 결정전 6회전(vs 기욤패트리) 진출
-김성제 선수 패스트 4질럿 드랍을 준비하고 이현승 선수는 더블 넥서스. 본진 4질럿 드랍이 드라군 1기만 파괴한체 실패로 돌아가고 김성제 선수는 이현승 선수의 본진에 연이어 계속적인 질럿-리버 드랍을 시도하지만 프루브에 타격을 주지 못하고 셔틀마저 터져 상대에게 한숨 돌릴 시간을 허용한다. 이후 이현승 선수 압도적인 자원의 우위를 바탕으로 리버드랍을 하며 다수의 캐리어를 모아 경기를 마무리, 김성제 선수 GG 선언.



-VOD 보는곳 --> www.itv.co.kr -> 화면 왼쪽 상단의 TV 클릭 -> 왼쪽 프로그램 리스트 중 게임스페셜, 게임월드 중 아무거나 클릭 -> 해당 날짜의 TV 모양 아이콘 클릭!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3/11/13 00:50
수정 아이콘
랭킹전이 예전 만큼의 권위를 잃은거 같아서 안타깝네요..
많은 선수들이 개인 사정으로 빠졌죠...
ITV가 스타리그에 대해 투자를 해도 자신들에게 이익일텐데..
아쉽네요...
The Siria
03/11/13 10:47
수정 아이콘
itv 랭킹전은 조금 변해도 되지 않을까요. 신인들의 등용문으로서의 기능을 하면 그 나름대로의 의미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뭐, 각 팀의 신예나 연습생 선수들이 자신의 기량을 오랫동안 펼칠 수 있는 그런 장소로서의 기능은 충분하다고 봅니다.
오크히어로
03/11/13 19:10
수정 아이콘
고수를 이겨라는 정말 신인의 등용문같은 요소죠..(지금도 있나요? 못본지 꽤되서리..)
카나타
03/11/13 20:38
수정 아이콘
고수를 이겨라 지금도 합니다.
수요일에 라이벌전과 같이 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16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1R 6주차 경기결과 [16] Altair~★5319 03/11/15 5319
1615 다음 시즌 스타리거 및 챌린지 리거(예상) 출전횟수 및 출전대회 [14] 김효경3512 03/11/15 3512
1614 2003 온게임넷 2nd 듀얼토너먼트 F조 경기결과 [31] Altair~★6826 03/11/14 6826
1611 TG 삼보배 2003 MBC Game 마이너리그 8강 2회차 경기결과 [21] 카나타4801 03/11/13 4801
1610 11월 6일 itv 스타크래프트 6차 랭킹 결정전(5회전) [4] rainbow5271 03/11/12 5271
1609 ※온게임넷 스타리그 종족별 대결 부문별 승률순위(2003.11.11) [5] 랜덤테란2325 03/11/12 2325
1607 ※온게임넷 최다 상대전적(2003.11.12) [8] 랜덤테란3047 03/11/12 3047
1604 2003 온게임넷 2nd 듀얼토너먼트 E조 경기결과 [28] Altair~★5497 03/11/11 5497
1603 ※MBC game 스타리그 종족별 대결 부문별 승률순위(2003.11.10) [10] 랜덤테란1881 03/11/11 1881
1601 TG 삼보배 2003 MBC Game 마이너리그 8강 1회차 경기결과 [20] 카나타4148 03/11/10 4148
1600 Weekly Starcraft Summary - 2003년 11월 9일 [10] Altair~★2106 03/11/10 2106
1598 KTF Bigi 프리미어 리그 6주차 경기결과 [5] 박정석테란김5228 03/11/09 5228
1597 KT Megapass Nespot 프리미어 리그 6주차 경기결과 [16] Altair~★6815 03/11/08 6815
1596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1R 5주차 경기결과 [11] Altair~★5430 03/11/08 5430
1593 TG 삼보배 MBC GAME 스타리그 결승전 맵 [13] 박정석테란김3159 03/11/07 3159
1588 TG 삼보배 2003 MBC Game 스타리그 10주차 경기결과 (패자조 결승) [13] Altair~★5426 03/11/06 5426
1586 1999년부터 현재까지 각 방송사 대회 및 주요 대회의 결승전 전적 [21] Legend2992 03/11/05 2992
1579 Weekly Starcraft Summary - 2003년 11월 2일 [5] Altair~★2266 03/11/02 2266
1578 KTF Bigi 프리미어 리그 5주차 경기결과 [19] Altair~★6120 03/11/02 6120
1575 KT Megapass Nespot 프리미어 리그 5주차 경기결과 [15] Altair~★6186 03/11/01 6186
1572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1R 4주차 경기결과 [14] Altair~★4859 03/11/01 4859
1571 [통계]2003년 부문별 Top20, vs 종족별 Top10. [3] brecht10052130 03/11/01 2130
1570 [통계]2003년 3개 방송사 경기 기준 개인종합 성적. [2] brecht10051543 03/11/01 15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