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07/15 23:50:37
Name Altair~★
Subject [온게임넷 스타리그 전적 정리 2] 진출, 성적, 연승, 연패
안녕하십니까? Altair~★ 입니다...(__)

온게임넷 스타리그 전적정리 그 두번째 이야기 입니다.
진출, 성적, 연승, 연패에 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모습을 드러낸 선수는 모두 89명 (2003 2nd 첫 출전 2명 포함) 입니다.
1999 Progamer Korea Open을 시작으로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이하 온게임넷 스타리그 생략),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코카콜라배,
2001 SKY배, NATE 2002,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2003 2nd 순서로 모두 11번의
스타리그가 열렸으니 184명(2000 프리챌배는 24강)의 선수에게 기회가 있었던 셈입니다.
(대회가 시작되지 않은 2003 2nd 스타리그도 시작된 것으로 간주한 Data 입니다.)

이를 출전한 선수 숫자로 환산하면 선수 1명당 평균 스타리그 진출 횟수는 2.06회가 됩니다.


◈통산 스타리그 진출 횟수
1위 - 임요환 (8회 :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코카콜라배, 2001 SKY배, NATE 2002,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2003 2nd)
  - 홍진호 (8회 :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코카콜라배, 2001 SKY배, NATE 2002,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2003 2nd)
3위 - 강도경 (6회 : 2000 하나로통신배, 2000 프리챌배, NATE 2002,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4위 - 김동수 (5회 : 2000 프리챌배, 2001 SKY배, NATE 2002, SKY 2002, Panasonic 2002)
  - 김정민 (5회 : 2000 하나로통신배, 2001 코카콜라배, 2001 SKY배, NATE 2002, SKY 2002)
  - 박정석 (5회 : 2001 코카콜라배, 2001 SKY배, SKY 2002, Panasonic 2002, 2003 2nd)
  - 장진남 (5회 :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코카콜라배, SKY 2002, Panasonic 2002, 2003 2nd)
8위 - 기 욤 (4회 : 2000 하나로통신배, 2000 프리챌배,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SKY배)
  - 변길섭 (4회 : 2001 코카콜라배, NATE 2002, SKY 2002, Panasonic 2002)
  - 베르트랑 (4회 :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2003 2nd)
  - 성학승 (4회 : NATE 2002,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 이운재 (4회 :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코카콜라배, Panasonic 2002, Olympus 2003)
  - 조용호 (4회 :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2003 2nd)
  - 조정현 (4회 : 1999 PKO, 2001 코카콜라배, NATE 2002, SKY 2002)
  - 최인규 (4회 : 2000 하나로통신배, 2000 프리챌배, NATE 2002, SKY 2002)
  - 한웅렬 (4회 : 2001 한빛소프트배, NATE 2002, SKY 2002, Panasonic 2002)
17위 - 국기봉 (3회 : 1999 PKO, 2000 하나로통신배, 2001 한빛소프트배)
  - 김현진 (3회 : Panasonic 2002, Olympus 2003, 2003 2nd)
  - 도진광 (3회 : 2000 하나로통신배, 2000 프리챌배, 2003 2nd)
  - 박경락 (3회 : Panasonic 2002, Olympus 2003, 2003 2nd)
  - 박용욱 (3회 : 2001 한빛소프트배, Olympus 2003, 2003 2nd)
  - 서지훈 (3회 : Panasonic 2002, Olympus 2003, 2003 2nd)
  - 이윤열 (3회 : Panasonic 2002, Olympus 2003, 2003 2nd)
  - 임정호 (3회 : 2000 하나로통신배, NATE 2002, SKY 2002)
  - 전태규 (3회 : 2000 프리챌배, Olympus 2003, 2003 2nd)
26위 - 김대기 外 14명 (2회)
41위 - 강 민 外 48명 (1회)


◈연속 스타리그 진출 횟수
1위 - 임요환 (8연속 진출 : 2001 한빛소프트배 ~ 2003 2nd)
  - 홍진호 (8연속 진출 : 2001 한빛소프트배 ~ 2003 2nd)
3위 - 강도경 (4연속 진출 : NATE 2002 ~ Olympus 2003)
  - 김동수 (4연속 진출 : 2001 SKY배 ~ Panasonic 2002)
  - 김정민 (4연속 진출 : 2001 코카콜라배 ~ SKY 2002)
  - 베르트랑 (4연속 진출 : SKY 2002 ~ 2003 2nd)
  - 성학승 (4연속 진출 : NATE 2002 ~ Olympus 2003)
  - 조용호 (4연속 진출 : SKY 2002 ~ 2003 2nd)
9위 - 기 욤 (3연속 진출 : 2000 하나로통신배 ~ 2001 한빛소프트배)
  - 변길섭 (3연속 진출 : NATE 2002 ~ Panasonic 2002)
  - 한웅렬 (3연속 진출 : NATE 2002 ~ Panasonic 2002)
  - 김현진 (3연속 진출 : Panasonic 2002 ~ 2003 2nd)
  - 박경락 (3연속 진출 : Panasonic 2002 ~ 2003 2nd)
  - 서지훈 (3연속 진출 : Panasonic 2002 ~ 2003 2nd)
  - 이윤열 (3연속 진출 : Panasonic 2002 ~ 2003 2nd)


◈8강 진출 횟수
1위 - 임요환 (6회 :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코카콜라배, 2001 SKY배,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 홍진호 (6회 :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코카콜라배, 2001 SKY배,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3위 - 강도경 (3회 : 2000 하나로통신배, NATE 2002, Olympus 2003)
  - 기 욤 (3회 : 2000 하나로통신배, 2000 프리챌배, 2001 한빛소프트배)
  - 변길섭 (3회 : 2001 코카콜라배, NATE 2002, SKY 2002)
  - 장진남 (3회 :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코카콜라배, SKY 2002)
  - 국기봉 (3회 : 1999 PKO, 2000 하나로통신배, 2001 한빛소프트배)
  - 조용호 (3회 :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9위 - 김동수 外 13명(2회)
23위 - 이윤열 外 21명


◈연속 8강 진출 횟수
임요환 (3연속 진출 : 2001 한빛소프트배 ~ 2001 SKY배, SKY 2002 ~ Olympus 2003)
홍진호 (3연속 진출 : 2001 한빛소프트배 ~ 2001 SKY배, SKY 2002 ~ Olympus 2003)
기 욤 (3연속 진출 : 2000 하나로통신배 ~ 2001 한빛소프트배)
조용호 (3연속 진출 : SKY 2002 ~ Olympus 2003)


◈4강 진출 횟수
1위 - 임요환 (5회 : 2001 한빛소프트배, 2001코카콜라배, 2001 SKY배, SKY 2002, Olympus 2003)
  - 홍진호 (5회 : 2001 코카콜라배, 2001 SKY배,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3위 - 강도경 (2회 : 2000 하나로통신배, NATE 2002)
  - 기 욤 (2회 : 2000 하나로통신배, 2001 한빛소프트배)
  - 김동수 (2회 : 2000 프리챌배, 2001 SKY배)
  - 최인규 (2회 : 2000 하나로통신배, NATE 2002)
  - 박경락 (2회 : Panasonic 2002, Olympus 2003)


◈연속 4강 진출 횟수
임요환 (3연속 진출 : 2001 한빛소프트배 ~ 2001 SKY배)
홍진호 (3연속 진출 : SKY 2002 ~ Olympus 2003)
홍진호 (2연속 진출 : 2001 코카콜라배, 2001 SKY배)
박경락 (2연속 진출 : Panasonic 2002, Olympus 2003)


◈결승 진출 횟수
1위 - 임요환 (4회 : 2001 한빛소프트배, 2001코카콜라배, 2001 SKY배, SKY 2002)
2위 - 강도경 (2회 : 2000 하나로통신배, NATE 2002)
  - 김동수 (2회 : 2000 프리챌배, 2001 SKY배)
  - 홍진호 (2회 : 2001 코카콜라배, Olympus 2003)


◈연속 결승 진출 횟수
임요환 (3연속 진출 : 2001 한빛소프트배 ~ 2001 SKY배)


※여기서 잠깐
[임요환 선수는 온게임넷 스타리그 사상 유일하게 3연속으로 결승에 진출한 선수]
[김동수 선수는 2번 결승 진출에 성공하였고 2번 모두 우승]
[강도경, 홍진호 선수는 2번 결승 진출에 성공하였으나 2번 모두 준우승]


◈종족별 우승 횟수
테란 - 5회(2001 한빛소프트배, 2001코카콜라배, NATE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플토 - 3회(2000 프리챌배, 2001 SKY배, SKY 2002)
랜덤 - 2회(1999 PKO, 2000 하나로통신배)


※여기서 잠깐
[연속시즌 우승을 일궈낸 유일한 종족은 테란]
[순수하게 자신의 종족으로 우승하지 못한 종족은 저그]


◈종족별 결승 진출 횟수
저그 - 8회(1999 PKO, 2000 하나로통신배, 2000프리챌배, 2001 한빛소프트배, 2001 코카콜라배, NATE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테란 - 7회(2001 한빛소프트배, 2001코카콜라배, 2001SKY배, NATE 2002, SKY 2002, Panasonic 2002, Olympus 2003)
플토 - 3회(2000 프리챌배, 2001 SKY배, SKY 2002)
랜덤 - 2회(1999 PKO, 2000 하나로통신배)

※여기서 잠깐
[플토는 3번 결승 진출에 우승 3회, 랜덤은 2번 결승 진출에 우승 2회. 우승성공률 100%]
[저그는 8번 결승 진출에 준우승만 8회. 우승성공률 0%]



◈연속경기 승리 순위
1위 - 11연승
김동수 (2000 프리챌배 8강 A조 재경기 2경기 VS변성철 ~ 2001 SKY배 8강 B조 1경기 VS세르게이)

2위 - 9연승
임요환 (SKY 2002 16강 C조 1경기 VS최인규 ~ SKY 2002 4강 B조 3경기 VS베르트랑)

3위 - 8연승
국기봉 (1999 PKO 16강 B조 4경기 VS정재철 ~ 1999 PKO 1, 2위 순위결정전 1경기 VS이기석)

4위 - 7연승
임요환 (2001 한빛소프트배 4강 A조 2경기 VS박용욱 ~ 2001 코카콜라배 16강 A조 4경기 VS성준모)
홍진호 (2001 SKY배 16강 C조 5경기 VS정유석 ~ 2001 SKY배 4강 A조 1경기 VS김동수)
변길섭 (NATE 결승전 2경기 VS강도경 ~ SKY 2002 8강 A조 1경기 VS조용호)

7위 - 6연승
이기석 (1999 PKO 16강 C조 2경기 VS박상규 ~ 1999 PKO 8강 A조 5경기 VS봉준구)
김동준 (2000 프리챌배 24강 F조 4경기 VS봉준구 ~ 2000 프리챌배 8강 A조 1경기 VS김동수)
봉준구 (2000 프리챌배 16강 B조 재경기 3경기 VS김완철 ~ 2000 프리챌배 4강 A조 2경기 VS박찬문)
임요환 (2001 한빛소프트배 16강 B조 1경기 VS정완수 ~ 2001 한빛소프트배 8강 A조 6경기 VS국기봉)
임요환 (2001 코카콜라배 8강 B조 2경기 VS임성춘 ~ 2001 코카콜라배 결승전 1경기 VS홍진호)
강도경 (NATE 2002 16강 B조 1경기 VS한웅렬 ~ NATE 2002 8강 A조 6경기 VS변길섭)
최인규 (NATE 2002 16강 A조 4경기 VS김정민 ~ NATE 2002 4강 B조 1경기 VS변길섭)

14위 - 5연승
최진우 (1999 PKO 8강 B조 6경기 VS박상규 ~ 1999 PKO 2, 3위 플레이오프 2경기 VS이기석)
변성철 (2000 하나로통신배 16강 A조 2경기 VS김동구 ~ 2000 하나로통신배 8강 A조 3경기 VS김대기)
최인규 (2000 하나로통신배 3, 4위전 2경기 VS변성철 ~ 2000 프리챌배 24강 C조 5경기 VS김동수)
변성철 (2000 프리챌배 24강 D조 5경기 VS박찬문 ~ 2000 프리챌배 16강 C조 5경기 VS박현준)
임요환 (2001 SKY배 16강 A조 6경기 VS김재훈 ~ 2001 SKY배 4강 B조 1경기 VS김정민)
홍진호 (SKY 2002 16강 B조 5경기 VS조정현 ~ SKY 2002 8강 B조 4경기 VS김정민)
조용호 (Panasonic 2002 16강 C조 4경기 VS한웅렬 ~ Panasonic 2002 8강 B조 6경기 VS이윤열)
이윤열 (Panasonic 2002 4강 A조 4경기 VS홍진호 ~ Olympus 2003 16강 A조 1경기 VS임요환)
서지훈 (Olympus 2003 8강 B조 4경기 VS강도경 ~ Olympus 2003 4강 A조 3경기 VS임요환)

23위 - 4연승
강도경 (2000 하나로통신배 8강 A조 2경기 VS김대기 ~ 2000 하나로통신배 4강 A조 1경기 VS최인규)
김동수 (2000 프리챌배 24강 C조 재경기 1경기 VS오삼택 ~ 2000 프리챌배 16강 D조 4경기 VS신성철)
봉준구 (2000 프리챌배 16강 진출전 4경기 VS최수범 ~ 2000 프리챌배 16강 B조 3경기 VS박효민)
기 욤 (2001 한빛소프트배 16강 A조 3경기 VS한웅렬 ~ 2001 한빛소프트배 8강 B조 4경기 VS박용욱)
임성춘 (2001 코카콜라배 16강 D조 3경기 VS박경태 ~ 2001 코카콜라배 16강 D조 재경기 2경기 VS정유석)
홍진호 (2001 코카콜라배 8강 B조 재경기 1경기 VS임성춘 ~ 2001 코카콜라배 4강 A조 2경기 VS조정현)
홍진호 (SKY 2002 3, 4위전 1경기 VS베르트랑 ~ Panasonic 2002 16강 C조 3경기 VS김현진)
베르트랑 (Panasonic 2002 16강 A조 4경기 VS강도경 ~ Panasonic 2002 16강 A조 재경기 3경기 VS이윤열)
박경락 (Panasonic 2002 16강 D조 6경기 VS성학승 ~ Panasonic 2002 16강 D조 재경기 3경기 VS변길섭)
서지훈 (Panasonic 2002 8강 B조 5경기 VS이운재 ~ Olympus 2003 16강 B조 6경기 VS조용호)
홍진호 (Panasonic 2002 3, 4위전 3경기 VS박경락 ~ Olympus 2003 16강 C조 4경기 VS김현진)
박경락 (Olympus 2003 16강 A조 5경기 VS이윤열 ~ Olympus 2003 8강 B조 5경기 VS강도경)
홍진호 (Olympus 2003 4강 B조 1경기 VS박경락 ~ Olympus 2003 결승전 1경기 VS서지훈)


※여기서 잠깐
[연승 기록을 2번 이상 저지한 선수는 변길섭 선수의 8연승과 임요환 선수의 10연승을 저지한 박정석 선수,
국기봉 선수의 9연승과 최진우 선수의 6연승을 저지한 이기석 선수. 단 2명]



◈연속경기 패배 순위
1위 - 7연패
임정호 (2000 하나로통신배 16강 A조 1경기 VS최진우 ~ SKY 2002 16강 A조 1경기 VS변길섭)
박용욱 (2001 한빛소프트배 4강 A조 2경기 VS임요환 ~ Olympus 2003 16강 D조 6경기) - 진행중
성학승 (SKY 2002 16강 C조 6경기 VS임요환 ~ Olympus 2003 16강 B조 3경기 VS조용호)

4위 - 6연패
장경호 (1999 PKO 16강 D조 2경기 VS최지명 ~ 2000 프리챌배 24강 F조 6경기 VS김동준) - 진행중[은퇴]
김대기 (2000 하나로통신배 8강 A조 2경기 VS강도경 ~ 2000 프리챌배 24강 A조 5경기 VS박효민) - 진행중[은퇴]
김동수 (NATE 2002 16강 B조 3경기 VS한웅렬 ~ Panasonic 2002 16강 B조 2경기 VS임요환)
정재호 (NATE 2002 8강 B조 1경기 VS한웅렬 ~ SKY 2002 16강 A조 5경기 VS변길섭) - 진행중
베르트랑 (SKY 2002 4강 B조 1경기 VS임요환 ~ Panasonic 2002 16강 A조 2경기 VS이윤열)
이운재 (Panasonic 2002 8강 B조 2경기 VS이윤열 ~ Olympus 2003 16강 B조 5경기 VS성학승) - 진행중

10위 - 5연패
임요환 (2001 SKY배 결승전 4경기 VS김동수 ~ NATE 2002 16강 C조 5경기 VS나경보)
장진남 (SKY 2002 8강 B조 1경기 VS홍진호 ~ Panasonic 2002 16강 B조 3경기 VS임요환)
김현진 (Panasonic 2002 16강 C조 3경기 VS홍진호 ~ Olympus 2003 16강 C조 6경기 VS전태규) - 진행중
박경락 (Olympus 2003 4강 B조 1경기 VS홍진호 ~ Olympus 2003 3, 4위전 3경기 VS임요환)

14위 - 4연패
봉준구 (1999 PKO 16강 A조 6경기 VS김성기 ~ 1999 PKO 8강 A조 5경기 VS이기석)
김정민 (2000 하나로통신배 16강 B조 3경기 VS기 욤 ~ 2001 코카콜라배 16강 B조 3경기 VS박정석)
도진광 (2000 하나로통신배 16강 C조 5경기 VS김슬기 ~ 2000 프리챌배 24강 E조 6경기 VS최수범)
최수범 (2000 프리챌배 24강 E조 재경기 1경기 VS김완철 ~ 2000 프리챌배 16강 진출전 4경기 VS봉준구)
최인규 (2000 프리챌배 16강 A조 1경기 VS김동준 ~ NATE 2002 16강 A조 2경기 VS안형모)
김동준 (2000 프리챌배 8강 A조 3경기 VS봉준구 ~ 2000 프리챌배 8강 A조 재경기 3경기 VS김동수)
김상훈 (2000 프리챌배 4강 B조 1경기 VS김동수 ~ 2000 프리챌배 3, 4위전 2경기 VS박찬문)
국기봉 (2001 한빛소프트배 16강 C조 6경기 VS홍진호 ~ 2001 한빛소프트배 8강 A조 6경기 VS임요환)
장진남 (2001 한빛소프트배 결승전 1경기 VS임요환 ~ 2001 코카콜라배 16강 C조 2경기 VS변길섭)
이창훈 (2001 코카콜라배 16강 C조 4경기 VS장진남 ~ 2001 코카콜라배 16강 C조 재경기 2경기 VS이운재)
정유석 (2001 코카콜라배 16강 D조 5경기 VS임성춘 ~ 2001 SKY배 16강 C조 1경기 VS세르게이)
장진남 (2001 코카콜라배 8강 A조 5경기 VS성준모 ~ SKY 2002 16강 D조 1경기 VS베르트랑)
이근택 (2001 코카콜라배 4강 B조 1경기 VS임요환 ~ 2001 코카콜라배 3, 4위전 2경기 VS조정현)
홍진호 (2001 코카콜라배 결승전 4경기 VS임요환 ~ 2001 SKY배 16강 C조 4경기 VS세르게이)
조형근 (2001 SKY배 16강 C조 3경기 VS정유석 ~ 2001 SKY배 16강 C조 재경기 3경기 VS홍진호)
홍진호 (2001 SKY배 4강 A조 2경기 VS김동수 ~ 2001 SKY배 3, 4위전 2경기 VS김정민)
손승완 (NATE 2002 16강 D조 5경기 VS손승완 ~ SKY 2002 16강 C조 2경기 VS조용호)
안형모 (NATE 2002 16강 A조 6경기 VS김정민 ~ NATE 2002 8강 A조 5경기 VS손승완) - 진행중
조정현 (NATE 2002 16강 D조 재경기 3경기 VS손승완 ~ SKY 2002 16강 B조 5경기 VS홍진호) - 진행중
한웅렬 (SKY 2002 16강 D조 4경기 VS장진남 ~ Panasonic 2002 16강 C조 4경기 VS조용호)


※여기서 잠깐
[연패 기록을 2번 이상 끊어준 고마운(?) 선수는 홍진호 선수의 5연패와 최인규 선수의 5연패를 막아준 김정민 선수,
김동수 선수의 7연패와 성학승 선수의 8연패를 막아준 이운재 선수,
임요환 선수의 6연패와 성학승 선수의 5연패를 막아준 최인규 선수. 이렇게 3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세이시로
03/07/15 23:58
수정 아이콘
역시 임요환, 홍진호의 무서움은...^^;
세이시로
03/07/16 00:02
수정 아이콘
저도 개인적으로 이런 통계를 내보려고 한적이 있었는데요...(아주 예전에)...챌린지 리그 시작되기 전에 생각해 본건데 예선통과를 가장 많이 한 선수는 김정민이 아니었나 싶었어요~^^; (하나로통신배, 코카콜라배, 2001스카이배, NATE배)
03/07/16 00:16
수정 아이콘
음...첼린지리그나 듀얼토너먼트를 제외한 성적이라서 약간 헷갈렸습니다ㅡ.ㅡ;
카오스
03/07/16 00:17
수정 아이콘
Altair님 한가지만 확인좀.. 연승기록은 임요환선수의 10연승 기록이 아닌가요? 엄재경님도 그렇게 말씀하셨던거 같고 제가 잘못알고 있었는지..확인 부탁드립니다.
Altair~★
03/07/16 00:19
수정 아이콘
카오스 님 / 전적 정리 1번 글에 언급했는데 2번글에 별다른 언급이 없어서 오해하신 모양이네요...^^
이 글은 순수하게 온게임넷 스타리그"만"의 전적입니다.
10연승은 본선경기 연승기록이고 위에 언급된 연승, 연패는 순수하게 스타리그 만의
전적을 토대로 집계된 데이터 입니다...^^
카오스
03/07/16 00:25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 답변감사드려요. 앞으로도 정확한 집계 부탁드립니다. 스타리그를 놓치면 꼭 Altair님의 경기결과를 확인하거든요. ^^;;
'N9'Eagle
03/07/16 00:40
수정 아이콘
딴지... 기욤 선수는 2001 스카이배에도 본선 진출 하셨었죠.^^; 수정 바랍니다~
희미렴
03/07/16 00:55
수정 아이콘
김동수 선수는 16강만 통과하면 무조건 우승이었고, 저그의 무려 여덟차례에 걸친 준우승이라... ㅡㅡ; (강도경, 홍진호, 장진남, 조용호, 또 누구지...?)
낭만드랍쉽
03/07/16 00:58
수정 아이콘
음.. 임요환 선수 9연승 한번, 7연승 한번, 6연승 두번, 5연승 한번-_-;;

몰아치기에 황제;;-_-;
Starry night
03/07/16 01:08
수정 아이콘
희미렴님// 국기봉 선수와 봉준구 선수입니다...^^;;
(국기봉, 강도경, 봉준구, 장진남, 홍진호, 강도경, 조용호, 홍진호 순서로 결승전에서 패했군요...-_-;;)
Starry night
03/07/16 01:14
수정 아이콘
작은 딴지이지만 우승확률...이라기 보다는 '우승성공률'쪽이 더 맞지 않나 싶습니다...^^;;
김연우
03/07/16 01:26
수정 아이콘
종족별 결승 진출 횟수에서 테란 SKY 2002 빠졌습니다.
Altair~★
03/07/16 02:21
수정 아이콘
'N9'Eagle 님 / 횟수 옆 괄호안을 틀렸네요...수정했습니다...

김연우 님 / 졸다가 썼을까요? 역시 수정했습니다...

오류 지적 감사드립니다...자료는 틀린게 없었을텐데......
아마 그 부분은 다른 생각 하면서 썼나 봅니다...*^^*

Starry night 님 / 자연스러움으로는 우승성공률이 나아보이긴 하네요...고쳐보죠 뭐...훨씬 보기 좋군요...감사합니다...^^
랜덤테란
03/07/16 09:17
수정 아이콘
1위 - 10연승
김동수 (2000 프리챌배 8강 A조 재경기 2경기 VS변성철 ~ 2001 SKY배 8강 B조 1경기 VS세르게이)

윗글에 김동수 선수 연승이 11연승 아닌가요?프리챌배 8강재경기 김동준,변성철선수 상대 승리,4강(vs김상훈) 2연승,결승 3연승(vs봉준구),스카이2001 16강 전승 8강 첫경기 승리.
따라서 2+2+3+3+1=11
그래서 11연승이죠.
다시쓰면
김동준,변성철,김상훈,김상훈,봉준구,봉준구,봉준구,김정민,김신덕,김승엽,세르게이.
저도 이렇게 쓰긴했지만 써보니 대단하네요.김동수 가을시즌의 사나이.
2002년에는 망했지만...
랜덤테란
03/07/16 09:17
수정 아이콘
※여기서 잠깐
[연승 기록을 2번 이상 저지한 선수는 변길섭 선수의 8연승과 임요환 선수의 7연승을 저지한 박정석 선수,
국기봉 선수의 9연승과 최진우 선수의 6연승을 저지한 이기석 선수. 단 2명]


윗글에 문제가 있죠.임요환선수의 7연승이 아니라 10연승(본선기록만)이죠.그리고 추가로 베르트랑 선수의 9연승도 저지 했었죠.
모두 2002 스카이배 였습니다.
무려 세번이나 연승저지.
랜덤테란
03/07/16 09:19
수정 아이콘
이제보니 베르트랑의 8연승은 챌린지리그,듀얼,스타리그에 걸친연승이었군요.그건 제외합니다.
스타매니아
03/07/16 10:17
수정 아이콘
듀얼및 왕중왕전을 빼니까
김동수 10연승, 임요환 9연승으로 연승기록 1위가 바뀌네요 ^^
다전,다승 정리글에서도 본선경기만을 계산해서 온게임넷 방송에서 보여주는 기록과 다르군요
랜덤테란
03/07/16 10:17
수정 아이콘
저기 저 임정호 선수의 연패기록은 7연패입니다.SKY배 첫경기(개막전)에서 변길섭선에게 졌지요.기존 6연패+첫경기 패배 7연패.
랜덤테란
03/07/16 10:21
수정 아이콘
혹시 이기록들 노가다로 수작업으로 계산하신 건가요?
그렇다면 대단하시군요.
그리고 연속경기 패배기록은 삭제하심이 좋을 듯.
pgr21.com팬들은 연패기록,저 승률기록 등은 좋아하시지 않거든요.
예전에 누구든가요?저승률기록 썼다가 집중공격 당했었는데요.
Altair~★
03/07/16 11:08
수정 아이콘
스타매니아 님 / 김동수 선수 11연승 입니다...계산 잘 해놓고서는 본문을 틀리는 오류를 범했네요...^^
스타매니아아
03/07/16 11:33
수정 아이콘
쓰신분도 놀랍지만 오류를 지적해주시는 분들이 더 무섭네요 -_-;; 와 진짜 매니아시다..
03/07/16 12:36
수정 아이콘
랜덤테란님. 연패 역시 기록입니다. 좋은 성적을 기록하는 선수가 패도 많습니다. 마치 홈런왕이 삼진왕이듯. pgr21.com 누적 기록에서 "최다 패"를 기록한 선수가 누굴까요? 전적을 보지 말고 맞춰보세요.
uglyDuckling
03/07/16 12:41
수정 아이콘
임요환 홍진호 네이트 동반 삽질이 돋보이는-_- 무튼 월드컵의 위력이란 -_-;; 네이트배는 기억이 하나도 안난다는 ㅋ
항즐이
03/07/16 13:10
수정 아이콘
역시 알테어님!! 원츄 +0+
03/07/16 13:26
수정 아이콘
연패 기록도 데이터 나열인데 누가 뭐라고 하겠습니까? 저승률 기록 때문에 문제가 된 적은 없던 것 같은데요. 승률이 낮은 게이머들을 최악의 게이머라고 하는 바람에 난리 난 적이 있었죠.
Altair~★
03/07/16 13:33
수정 아이콘
듀얼토너먼트와 챌린지리그도 별도로 전적정리를 할까 고민중입니다...ㅇ.ㅇ
누적 데이터가 얼마되지 않아 의미가 없을 것 같기도 하고....쓸모있을 것 같기도 하고...
조만간 KPGA본선(MSL 포함) 자료도 정리해서 올릴 생각입니다...
03/07/16 13:42
수정 아이콘
Altair~★ 님 정말 대단!
근데 알테어가 아니라 알타이르라고 읽는게 맞죠? 별이름이라고 알고 있는데...그래서 뒤에 별도 하나 달고 계신거 아닌가요?^^
Hewddink
03/07/16 13:55
수정 아이콘
strawb님// 충고 감사드립니다. 제가 원래 머리를 폼으로 달고 다니는 지라 그런 별이 있는 줄 몰랐네요 ^^;;;
알타이르님// 제가 큰 실례를 범했군요. 사과 말씀 드리며 댓글 수정하겠습니다. ( _ _ );;
"항즐이님 말씀에 한 표 !!! 알타이르님 원츄 !!! ㅇ0ㅇ)=b"
Altair~★
03/07/16 14:03
수정 아이콘
strawb님, Hewddink님 / 알테어로 발음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글을 참고하시면......*^^*
Altair[ǽltε, -tai, -|æltέ, -] n. 【천문】 견우성, 독수리자리의 α별[주성(主星)]

약자 α Aql이다.
유명한 칠석날의 견우성(牽牛星)으로, 광도는 0.9등성, 스펙트럼형 A7의 주계열성(主系列星)이다.
지구에서의 거리는 16광년. 위치는 적경 19h 50m, 적위 8°52', 흰색의 휘성(輝星)으로 은하수의 서쪽에 위치한다.
남중은 8월 하순경 오후 9시이다. 점성술에서는 재난을 일으키는 별이라고 하고, 또 중국에서는 같은 별자리의 β별 ·별과 함께 하고(河鼓)라 부르기도 한다.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직녀성(거문고자리 α: Vega)과 마주보고 있는데, 매년 음력 7월 7일 은하수를 건너서 직녀와 견우가 상봉한다는 전설의 별이다.
견우성 ·직녀성 ·데네브(백조자리 α)가 이루는 삼각형을 여름의 대삼각형이라 부르며, 여름철 별자리를 찾는 데 기준으로 이용한다.
03/07/16 14:20
수정 아이콘
헤, Hewddink님 충고라니요.. 그냥 그런거 아닌가 하고 물어본건데요.^^;;; 뭐 영어식으로 읽으면 그렇겠지만...고유어, 학명이란 하나로 정해서 읽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쓰잘데기 없이 말 붙인건데요.^^;; 하여간 중요한 건 그게 아니고 Altair~★ 님 너무 멋져욧!
TheInferno [FAS]
03/07/16 20:06
수정 아이콘
역시 대단하십니다 gg
(ㅡ0ㅡ)=b
김평수
03/07/17 09:56
수정 아이콘
아 그럼 온게임넷 연승기록 1위는 김동수선수의 11연승!
희미렴
03/07/17 10:57
수정 아이콘
아이디도 한글로 쓰면 좋겠는데... 이놈의 혀가 너무 아파해요~! ^^;
03/07/17 12:56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하시다는 말씀 외에는 드릴 말씀이없네요...
우선, 이렇게 훌륭한 데이타에 감사드립니다.
이 데이타를 보니 그냥 예전에 이름을 날리던 선수들 생각이 나서 혼자
가슴이 뜨뜻해 지는군요....머랄까....참으로 말로 형언하기 힘든 느낌입니다....
여하간, 감사합니다..
xxxxVIPERxxxx
03/07/17 20:45
수정 아이콘
임요환,홍진호선수...거의 같은 행적을 보이고 있군요...ㅡ,ㅡ;;
짜고 해도 이렇게는 어려울텐데....서로간에 시너지효과가 있는건지....
ΤΣΓΓΛΠ(TErrAn)
03/07/17 23:47
수정 아이콘
챌린지리그나 듀얼경기도 공식경기로 보고 통계를 내주셨으면 하네요..
설탕가루인형
03/07/18 16:08
수정 아이콘
언제나 임요환 홍진호 선수의 온게임넷전적은 장난이 아니군요.
한편 순수자력진출만 5회인 김정민선수도 정말 대단하다는 말밖에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3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2R 7주차 경기결과 및 중간성적 [12] Altair~★2627 03/07/19 2627
1220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2라운드 7주차 경기 결과 hiljus1126 03/07/19 1126
1215 ※온게임넷 종족별 대결 부문별 승률순위 5걸 [36] 랜덤테란3071 03/07/18 3071
1210 리플레이 해설.. 서지훈 선수와 임재덕 선수의 로템에서 한판 승부 [20] choboChicken3164 03/07/16 3164
1209 [온게임넷 스타리그 전적 정리 2] 진출, 성적, 연승, 연패 [37] Altair~★2937 03/07/15 2937
1208 [온게임넷 스타리그 전적 정리 1] 다전, 다승, 승률 순위 [17] Altair~★2465 03/07/15 2465
1206 [총정리]Olympus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 [5] Altair~★2495 03/07/15 2495
1205 7월 13일 itv 스타크래프트 랭킹전 [7] rainbow3138 03/07/14 3138
1204 2003년 Starcraft 1st Season 소식 - 15호 (2003. 7. 14) [10] Altair~★2061 03/07/14 2061
1201 2003년 7월 13일 - 온게임넷 스타리그 종합 순위 Altair~★908 03/07/13 908
1200 2003년 7월 13일 - 2003년 3개 방송국 스타리그 종합 순위 Altair~★985 03/07/13 985
1199 Olympus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 결승전 경기결과 [19] Altair~★2770 03/07/13 2770
1198 온게임넷 스타리그 총정리 [7] Altair~★2378 03/07/13 2378
1197 MBC Game 역대 스타리그 본선진출선수 모든명단 & etc [18] TheInferno [FAS]2599 03/07/12 2599
1196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2R 6주차 경기결과 및 중간성적 [7] Altair~★1909 03/07/12 1909
1192 온게임넷 역대 스타리그 본선진출선수 모든명단 & etc [18] TheInferno [FAS]3636 03/07/11 3636
1186 리플레이 해설.. 임요환 선수와 블랙맨 선수의 WCG 2002 승자조 결승 [16] choboChicken4436 03/07/07 4436
1185 Olympus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 결승전 관련 전적분석 [23] Altair~★3595 03/07/06 3595
1184 2003년 Starcraft 1st Season 소식 - 14호 (2003. 7. 6) [2] Altair~★1235 03/07/06 1235
1181 2003년 7월 6일 - 온게임넷 스타리그 종합 순위 Altair~★802 03/07/06 802
1180 2003년 7월 6일 - 2003년 3개 방송국 스타리그 종합 순위 Altair~★955 03/07/06 955
1178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2R 5주차 경기결과 및 중간성적 [3] Altair~★2173 03/07/05 2173
1176 핫브레이크 2003 온게임넷 1st 듀얼토너먼트 F조 경기결과 및 최종성적 [13] 카나타3452 03/07/04 34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