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7 17:23
씨라이언7이 꽤나 괜찮은 상품성, 가격에 잘 나온 것도 맞고 판매량도 생각보다는 괜찮게 나오긴 했는데 좀 지켜보긴 해야할 겁니다. 신차 효과 꺼지고 푹 주저 않은 아토3꼴 날 확률이 높아서...
25/10/27 17:33
중국 미국 다음 테슬라 판매 3위 국가가 한국입니다.
테슬라 주식도 한국인이 정말 사랑하고요. 아마 머스크도 한국만 생각하면 눈물이 나지 않을까 싶네요.
25/10/27 17:33
(수정됨) 아토 3도 어떻게든 하체 부식 이슈 막아보겠다고 하체에 코팅 떡칠을 해놓은 모습이던데, 씨라이언도 그런 마감이 있는걸 봐선 거기서 자유롭진 않은듯합니다. 하체 부식 이슈는 현기도 10~15년전쯤까지 겪던거긴 한데...
25/10/27 18:09
인기가 없다고 하기엔 애초에 많이 들고오질 않습니다.
거의 항상 대기가 붙어서 많이 팔질 못해요. 물론 glc가 수요 다 가져간것도 있습니다. 프로모션 다 넣은것 기준 mspt 패키지 넣은 x3에 조금만 더 보태면 glc가 나오는데 후자가 동력성능이 훨씬 좋아요.
25/10/27 17:39
저렇게 팔아주니 앞으로도 테슬라는 한국을 영원한 호구로 생각하겠네요. fsd로 5년간 사기치고 한국 지사장은 임명하지도 않고 배터리 문제는 나몰라라 해도 계속 사주니 콩깍지 다 벗겨진 기존 차주로서는 한숨만 납니다
25/10/27 21:01
실제로 국내 1, 2위 렌터카가 중국계 사모펀드로 넘어가는 중인 것으로..
https://blog.naver.com/inmotion99/223695157976
25/10/27 18:00
테슬라는 국산차 판매량 포함해도 거의 순위권 안에 들겠네요.
차 가격이 싼 것도 아닌데 저렇게까지 많이 팔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만큼 돈 많은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겠죠?
25/10/27 18:17
(수정됨) 전기차=테슬라라는 이미지라서요.실제로 국내 전기차 판매량의 과반 이상이 테슬라일겁니다.
다른 나라들은 초창기에나 그랬지 지금은 브랜드들이 갈수록 다양화되고 점유율이 분산되고 있는데 우리는 아직 그렇죠. 비싼 테슬라 위주의 전기차 시장서 현기도 전기차 가격승부할 생각 없다 보니 전기차 시장 자체도 성장이 느리고요.
25/10/27 19:07
계기판도 없고 HUD도 없고 하이패스 단말기도 없고 카플레이도 없고 어라운드뷰도 없는 자동차임에도 불구하고 갓가성비라면서 칭송받는 건 이미지 때문이라는 걸로밖에 이해가 안되죠.
25/10/27 19:44
그리고 충전속도도 느리고 배터리 열화율도 빠르다는 게 갈수록 뽀록나고 있고 무엇보다 고객센터가 그냥 고객을 호구로 알고 있죠. 솔직히 전 다음에 전기차 사면 테슬라 안살듯 합니다.
25/10/28 09:58
그래서 주니퍼 lfp 모델 대신 뭐 살래? 하면 마땅한 선택지가 없습니다
ncm 들어간 롱레인지 모델은 그래도 폴스타4 같은 경쟁 차가 있긴 한데 lfp 모델은 스펙이랑 금액대를 생각해보면 경쟁차라고 할만한 모델도 마땅치 않고 국내에서는 테슬라 이미지가 독삼사에 맞먹는 수준인데 독삼사 내연차보다 싼 가격에 전기차를 살 수 있으니 사람들이 미친듯이 구매하는거죠
25/10/27 18:38
아토3의 용도별 비율은 자가용이 91.3%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소비자 유형은 개인이 73.1%, 법인차는 26.9%으로 나타났다.
https://v.daum.net/v/HpxIrtCnmV 아토3 기준이긴 한데 대다수는 개인이라고 하긴 합니다?
25/10/27 18:51
정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토3가 의외로 개인들에게 많이 팔렸군요. 찾아보니 전세계에세 가장 싸게 팔리는 국가가 한국이네요. BYD가 한국에 진심인 모양이네요. 다시 한번 댓글 감사드립니다.
25/10/27 18:44
국내 렌터카업체들이 다 중국으로 넘어간 이상 byd 판매량은 앞으로도 잘나올거같아요. 또 렌트로 타보신 분들 중 최향이 맞으시는 분들도 조금씩 사기시작하면, 장기적으로 판매량도 나쁘지 않을거 같고요. 가랑비에 옷 적시고, 가성비 앞에 장사없다고.
25/10/27 19:59
솔직히 차는 하차감???도 무시못하는데 디젤 게이트 터진이후 아우디는 판매량은 말할것도 없고
이미지도 그렇고 독3에서 내려온지 꽤 된거 같아요.
25/10/27 21:38
전 차를 잘 모르지만...유튜브나 그런데 댓글만 보면 벤츠 나락갔다 어쩐다 하더니... 오히려 bmw보다 훨씬 잘팔고있었군요? ;;;
25/10/28 09:08
아 그런거군요 ㅡㅡ;
근데 그래도 가격정책같은게 반영되면 저정도 순위가 나올정도인가보네요... 나락까진 아닌... 그냥 비엠 우위정도의 느낌인걸까요??
25/10/28 08:40
예전에도 인터넷 상에서는 현기차가 절대악이고 쉐보레는 최고였던 것처럼 지금은그 대상이 현기에서 벤츠 중국차로 넘어간 것 뿐이죠. 물론 예전만큼 배짱 장사는 안되는 상황이라 벤츠도 프로모션에 목숨 걸어서 똥꼬쇼한 결과가 저것인 것도 현실이지만..
25/10/28 08:39
그나마 아토 처럼 구형 모델이 들어온게 아니긴 한데 그래도 byd 구매는 좀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언제 헝다처럼 날라갈지도 모르는 리스크도 있고, 지금처럼 자금위기가 계속 되면 신뢰성 있는 부품의 지속적 수급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봐요
25/10/28 11:36
(수정됨) 헝다는 내수 기업인데다 중국의 구조조정 대상인 부동산이라 쉽게 날린거지 BYD급 국제적 위상(전세계 전기차 1위,배터리 2위)을 가진 기업을 정치적으로 날릴 가능성은 없습니다. 오히려 전기차는 중국이 키워주려고 힘 세게 주는 분야인데요.
자금 문제도 BYD가 망할 정도면 모든 중국자동차 기업이 망할 수준일거라 의미있는 걱정은 아니고요. 중국 자동차 기업 중 판매량이나 시가총액 독보적 1위인데 그건 그만큼 자금력이 가장 좋다는 거라... 그럼에도 망할 위기 오면 당연히 중국 공산당이 가만있지 않습니다. 어차피 중국은 이대로면 전기차 기업들 다수가 망하거나 통합될거라 이 시기 지나고 나면 수익성 개선되게 되어 있고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