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10/27 15:25:12
Name 깃털달린뱀
File #1 images_6.jpeg (26.5 KB), Download : 109
File #2 27aa3a38b7aedf6432eb5ca24c356bd4.jpg (101.4 KB), Download : 110
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6689
Subject [기타] 은근 호평 일색에 한국 오면 현기가 긴장해야한다는 고급차 브랜드 (수정됨)




["인지도 낮은데 8000만원?" 국내 딜러사도 말린 中지커 전략]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6689

의 가격이 [8천만원]이라는 찌라시가...
중국 내 가격은 기본 트림 4600만원 정도라고.

인터넷에서 'BYD보단 지커야말로 진짜다!'라는 여론이 많았는데 애초에 중국에서도 비싼 차에 나름 프리미엄 브랜드로 포지셔닝하려는 걸 감안하면 중국 가격만큼 싸게 나올 수가 없긴 합니다. 근데도 왠지 품질은 높고 가격은 쌀거라는 신기한 기대가 많았는데 아니나 다를까...


BYD도 그렇고 지커도 그렇고 한국 '진출' 이상의 의미는 얻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7 15:28
수정 아이콘
한국시장이 살때도 살때지만 유지보수같은 미래가치를 고평가하는 시장이라 르쌍쉐도 수리비비싸고 감가쎄다고 질색을 하는데 중국차가 그이상으로 서비스망 확보하며 한국시장이 머라고 공격적으로 올꺼같진 않으니 그냥 딱 진출 그이상 그이하도 아니죠.. 시장에 영향줄일은 없을거라고 봅니다. 그나마 전기차는 이런점에서 사정이 낫긴한데 그래도 큰거 문제생길까 걱정들은 하니까요.
깃털달린뱀
25/10/27 15:34
수정 아이콘
전 테슬라의 이미지가 진짜 신기합니다. 저도 한때 좋아하긴 했는데 뽕 빠지고 보니 이뭐... 싶더군요.
지금이야 모델Y 상품성이 굉장히 올라왔고 그 가격대 가성비 이미지인데 초창기 조악한 품질일 때도 기이할 정도로 힙한 이미지로 한 두 푼도 아닌 차가 그렇게나 잘 팔렸으니... FSD가 되는 시장도 아닌데.
다크드래곤
25/10/27 16:19
수정 아이콘
테슬라는 근데 실제로 사용하시는 분들보면 상당히 만족하고, 저와 친한 대표 차가 테슬라라 자주 타보는데 솔직히 탐나긴합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패치노트도 볼 수 있더라고요
한방에발할라
25/10/27 17:24
수정 아이콘
그런 분들은 상당수가 테슬라로 처음 전기차를 접한 분들이거나 구형 전기차를 타다가 넘어온 분이라 그렇습니다. 제가 i5를 몰고 아내가 하이랜드를 타는데 막상 콩깍지 좀 벗겨지면 굉장히 냉정한 평가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fsd가 안되는 우리나라 특성상 진짜 테슬라가 지금 다른 전기차 브랜드보다 좋은 점은 딱 어플 연결성, 중앙차선 잘 잡는 오파(차선 잘잡는 거 빼면 전부 다 불편), 빠릿한 터치. 이거 밖에 없고 그냥 나머지는 다 불편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비 많이 올 때 사람 복장 터지게 하는 오토 와이퍼나 어디 놀러가서 지하주차장 건물 들어갈 때 uss도 있던 거 빼버려서 혹시라도 휠 긁지 않을까 조심조심 해야 할 때마다 화가 나서 어지간하면 그냥 무조건 i5 몰고 다닙니다. 게다가 저런 건 bmw가 아니라 요새 현기차만 해도 다 되는 건데 저런 기본적인 게 안되면서 다른 게 첨단이라고 해도 좀...;;;
민방위면제
25/10/27 17:46
수정 아이콘
모델Y 차주로서, 동감합니다.
타고 내릴 때 편한 거, 차선 중앙 딱 꽂힌 듯 가는 거 이거 두 개 말고는 별 게 없습니다.
편한 탈것은 확실하지만 좋은 자동차는 인가? 라는 물음에는 그렇진 않다고 답할 수밖에 없네요.가격이 많이 내려와서 동급 최강 상품성이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좋구먼
25/10/27 18:17
수정 아이콘
테슬라는 오토와이퍼밖에 없나요?
이럼 좀 위험한데..
한방에발할라
25/10/27 19:43
수정 아이콘
아뇨 반대입니다. 레인센서가 없어서 오토가 그냥 쓰레기나 마찬가지라 무조건 수동으로 써야합니다. 그리고 hud도 없고 카플레이도 안돼서 그 광활한 화면을 가지고 있음에도 옆에 폰 거치해두고 폰으로 네비를 켜야 합니다
cruithne
25/10/27 15:30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중국산 저가 이미지 벗어나기 어려운데다 요새 중혐 분위기로는 테슬라 할애비급이 나와도 어렵겠죠.
류지나
25/10/27 15:31
수정 아이콘
기사에도 있지만 당장의 판매량보다는 브랜드 가치를 지키겠다는 건데...... 유의미한 성과를 기대하긴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25/10/27 15:32
수정 아이콘
근데 한국 시장이 매력이 있긴한가보군요 계속 들어오는거 보니
깃털달린뱀
25/10/27 15:38
수정 아이콘
크게 보면
1. 중국 내 과당경쟁, 내수부진의 돌파구
2. 나중에 구조조정할 때 당국에 어필용으로 수출지표 활용
이 두 가지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 시장 자체가 매력적이라기보단 수출국 늘리는 와중에 한국도 포함된 거죠. 진출국 수 늘리기용이라 해야하나.

한국 자동차 시장 규모랑 특성 생각하면 사실 그만큼 힘 쏟을 시장이 아니기도 하고요.
VictoryFood
25/10/27 15:47
수정 아이콘
우리는 계속 내수가 작다 말하지만, 1인당 3만달러의 인구 5천만 시장이 절대 작은 건 아니죠.
크레토스
25/10/27 17:05
수정 아이콘
한국 전기차시장은 작은 거 맞습니다. 중국이 한국보다 전기차시장 거의 100배 커요
바알키리
25/10/27 19:47
수정 아이콘
세계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보다 인구 많고 경제력 되는 나라가 몇 안될텐데요.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정도외엔 떠오르는 나라가 없긴하네요.
25/10/27 15:56
수정 아이콘
벤비랑 포람페 테슬라 팔려나가는거 보면 한국이 고급차 시장에선 체급대비 이런말 떼도 큰손입니다.
바카스
25/10/27 16:00
수정 아이콘
이제 아우디는ㅜㅜ
25/10/27 15:57
수정 아이콘
관세 장벽을 크게 세운것도 아니고 바로 옆동네니 물량 밀어내기도 좋구요. 무엇보다 한국에서 잘팔리는 차라고 본토에서 홍보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크크
25/10/27 16:31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도 팔리는 차, 일본에서도 팔리는 차, 유럽에도 팔리는 차라는 타이틀이 중요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5/10/27 18:03
수정 아이콘
한놈만 걸려라 하는...?
카레맛똥
25/10/27 15:35
수정 아이콘
하차감에 목숨거는 나라인데 중국 브랜드는 동급 현기차 반값은 되어야 고려대상에 들어가지 않을까요..
25/10/27 15:37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 전기차 몇번 타봤는데 가성비가 미치긴 했습니다.
25/10/27 15:38
수정 아이콘
지커가 나름 프리미엄 브랜드를 지향하는 만큼 BYD 수준의 가격정책을 펼칠 수 없을 거라는건 어느정도 예상되었던 바이긴 한데 그걸 감안해도 비싸게 책정하네요. 아무리 본토에서 프리미엄이라고 한들 현기차보다 비싼 중국차를 한국 소비자들이 살리가..
낫띵남편
25/10/27 15:40
수정 아이콘
저 가격이면 그냥 모델Y 가죠 누가 저걸 크크
아엠포유
25/10/27 15:41
수정 아이콘
르쌍쉐도 안 먹히는데... 가격, 브랜드 파워 두 개 중에 현기보다 비교우위 없으면 힘들죠
25/10/27 15:42
수정 아이콘
물건이 안팔리는데 브랜드 가치를 지키는게 무슨 의미가 있고
과연 브랜드의 가치 자체가 생길지도 의문
카미트리아
25/10/27 15:42
수정 아이콘
현차랑 비교는 둘째 치더라도
저돈이면 테슬라를 사지않을까요?
사랑의하츄핑
25/10/27 15:43
수정 아이콘
샤오미 핸드폰과 비슷한 느낌이네요. 다른 나라면 모를까, 한국 에서는 너무 메리트가 없음.
Liberalist
25/10/27 15:53
수정 아이콘
저 가격이면 진짜 테슬라나 현기 전기차 하이엔드급 옵션으로 가고 말죠. 굳이 가격이 싸지도 않고, 유지관리도 어려운 마데인차이나를 갈 이유가...
25/10/27 15:53
수정 아이콘
이거 탈 바에 제네시스를...
전기쥐
25/10/27 15:59
수정 아이콘
굳이 중국차를?
법돌법돌
25/10/27 15:59
수정 아이콘
폴스타 같이 스웨덴 향을 좀 묻히면서 들여오지 않는 한 그 가격으로는 크크
폴스타 잘 팔리는거 보고 어라? 8천만원도 킹만한데? 이러는 것 같은데
벌점받는사람바보
25/10/27 16:0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사치품 시장 잘되는거보면
차라리 저게 나을지도
OcularImplants
25/10/27 16:09
수정 아이콘
로청은 비싸도 중국이 좋다 하는데 
왜 차는 안 될까요 저도 감정적으론 이해가는데 논리적으로 언어화가 어렵군뇨
25/10/27 16:33
수정 아이콘
샤오미도 저렴이는 다들 좋다고 하는데.
플레그쉽쪽은 거의 전멸인거랑 비슷하지 않을까요?
샤오미 2~30만원 폰이랑 100만원 폰은 구매자 입장에서 좀 차이가 있는거 같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10/27 16:33
수정 아이콘
일단 압도적으로 비싸다보니...로청처럼 일단 사서 써보고 느껴보면서 입소문같은걸로 이미지 개선하기엔...시간이 오래걸릴 수밖에요...
거기에 로청은 어지간해선 죽기야하겠습니다만...차는 심각하면 사람 몇명 같이 보내죠...
덴드로븀
25/10/27 16:33
수정 아이콘
<로청>
- 아무리 비싸봐야 2백만원
- 집에 두고 쓰는 수많은 가전중 하나
- 경쟁상대 : 삼성엘지 로청이 상당히 별로

<자동차>
- 아무리 싸도 2~3천만원 이상
- 보통 주택 다음으로 비싼 상품
- 외부 시선에 무조건 노출
- 경쟁상대 : 현기차의 가성비&상품성이 매우매우 훌륭
25/10/27 17:02
수정 아이콘
현기차의 전기차가 국내에서 더 좋긴 한데, 이제는 가성비랑 상품성이 매우 차이나는 수준은 아닙니다.. 특히 이번에 나온 EV5랑 BYD 씨라이언 비교하면 가격도 byd가 더 싸고 스펙상 제원은 Byd가 더 낫다는 말도 있어서.. 이젠 정말 국내 as 센터망만 잘 정비하고 이미지만 좀 개선하면 큰일 날 수도 있을 거 같아요
크레토스
25/10/27 17:08
수정 아이콘
EV5랑 씨라이언7 비교하는 건 그냥 말이 안되는 수준입니다. 동급이라 하기엔 차이가 너무 많이 나서요.
씨라이언7을 4490에 파는데 국산차였으면 최소 5500 이상에 팔았을걸요.
이미지야 지금처럼 차 계속 내주고 계획대로 센터 계속 늘리면 2년만 지나도 확 달라질 거 같더군요.
25/10/27 17:13
수정 아이콘
넵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다만 국내에서 bmw, 벤츠가 잘나가는게 하차감도 있어서.. 메인카보단 세컨카로는 더 매력적일 거라고 보입니더.
한방에발할라
25/10/27 17:13
수정 아이콘
인터넷에서 스펙만 그렇지 막상 유럽 리뷰어들 평가 보면 byd 차들은 그냥 싼맛에 타는 차지 절대 그 이상 평을 하지 않습니다. 그냥 스펙 시트에 적힌 것만 보는 커뮤에서나 막상 띄워주고요. 씨라이언도 유렵 전문 리뷰어들 보면 바로 속도 좀 밟으면 불안하다고 한결같이 지적합니다. 이해가 안될 정도로 국내 전기차 심하게 내려치기하고 중국차 올려치기 하는 게 국내 커뮤랑 유튜브죠. byd 씰도 국내에서 이 가격에 제로백이 이렇게나 빠르고 뭐 잘 나간다 했는데 실상 선출인 강병휘가 트랙에서 좀 밟아보니 제대로 돌지도 못하고 출력 제한 걸려버렸죠. 핸드폰도 대놓고 두께 사기 치다가 걸리는 것도 그렇고 중국 전기차 상당수가 겉으로 보이는 수치만 번지르르하게 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25/10/27 17:26
수정 아이콘
주행에서는 부족한 부분이 말씀하신대로 현기 대비 부족하지만, 100km 이하에서 주행 성능 및 시내 승차감은 떨어지지 않는다는 리뷰도 있습니다.

국내 커뮤가 바이럴이든 뭐든 좀 올려치기 하는 것도 좀 있긴 한데, 그만큼 생각보다는 잘 나와서 그런 부분도 있다고 봅니다. 안 좋게 나왔으면 아토3 처럼 욕 먹었을 걸요..

반대로 현기차는 가장 최신 모델에 중국 배터리 쓰고 가격은 올리니 욕 먹는거죠. Ev5가 잘만 나왔어도 씨라이언7 올려치긴 없었을 겁니다..
한방에발할라
25/10/27 17: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기차 시대 이후로 얼마나 기존 리뷰어들이 지식이 떨어지는지 갈수록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선출들이나 트랙 전문적으로 도는 리뷰어들 평가는 대다수가 다 공통돼서 나옵니다. 실제로 이미 byd차는 유럽에서 팔고 있고 예전부터 쭉 리뷰도 됐었고 유럽 올해의 차에서 후보로 거론된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인데 거기서 한 술 더떠서 그냥 뭐 올해의 차급으로 띄워주는 사람들이 종종 나오죠. 아토3도 나오고 나서 시간이 좀 지나니까 뽀록 난 거지 처음에는 ev3보다 좋다는 어처구니없는 말들이 꽤 많이 돌아다녔습니다. 물론 ev5는 기아가 정줄 놓고 내보낸 건 100번 동의합니다. ev3 잘 팔리니까 오만해졌는지 뭔지는 몰라도 기아는 욕 좀 먹을 필요가 있습니다.
설탕물
25/10/27 17:47
수정 아이콘
요즘엔 많이 줄어서 찾아보기 힘들지만 한때 현기차 흉기차라고 하고 맹비난이 많았는데, 균형맞는 비판이라기 보단 억까가 대부분이었떤걸로 기억합니다. 그런 사람들이 비슷한 주장을 하는거 같기도 하고.. 일부 네티즌 특징이기도 한데 한 번 꽂히면 거기에서 절대 벗어나질 않더라구요
날아라조슈아
25/10/27 17:02
수정 아이콘
내가 작동하는 제품이냐 아니냐의 차이가 아닐까 합니다.
밥과글
25/10/27 17:15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 전기차는 성능차가 안나서
카오루
25/10/27 17:16
수정 아이콘
아직 비싸고 좋은차가 한국에 안들어왔으니까요.
byd는 중국에서도 저가브랜드고, 들어온 모델들도 중국내에서 조차 구형모델들을 들고왔으니..(씨라이언제외)
거기다가 e2e자율주행에 있어서도 byd는 딱히 좋은 브랜드도 아니고, 한국에서 e2e아직 차가 돌아다니지도 않고 있고요

지커부터가 비싸고 좋은 중국차가 될텐데 (사실 그랑콜레오스랑 폴스타만 해도..)
지커가 어떻게 자리잡는지를 봐야 비싸고 좋은차가 어떻게 되냐고 봐야할텐데
그것도 지커 e2e자율주행이 한국에서 제대로 작동할때 판단할 일이겠죠.
25/10/27 16:21
수정 아이콘
돈이 썩어나도 굳이..
그냥적어봄
25/10/27 17:03
수정 아이콘
소비자시장에서 중국차는 어떻게해도 비주류일듯..그나마 변수가 있다면 자율주행 정도려나요? 저쪽 본토에선 꽤 활성화 되었다는데..
한방에발할라
25/10/27 17:14
수정 아이콘
지커는 근데 중국에서도 자율주행 구진 걸로 악평이 있습니다.
유부남
25/10/27 17:31
수정 아이콘
개인용은 전무할거같고 업무용으로 고려하는 회사가 과연 있을지 모르겠네요.
이정재
25/10/27 18:00
수정 아이콘
저거 사느니 폴스타사죠... 가격도 더 싸네
25/10/27 18:28
수정 아이콘
단가가 5/6 이상으로 가면 고려할게 많은데 (곧죽어도 전기차 아니면 6으로 가면 G80사는게...)
브랜드 가치가 떨어지는거겠죠 뭐. 테슬라 외에 전기차 시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차가 없다면 (뱃지빼고)
AS망, 서비스 등이 전부 아닐까요. 지금 당장도 독3차 정식 AS받으려면 힘든 판국에...
탑클라우드
25/10/27 18:31
수정 아이콘
8천이요?
nlcml357
25/10/27 18:59
수정 아이콘
햐... 5999 맞춰야 할텐데
성야무인
25/10/27 20:18
수정 아이콘
테스라는 참 의외이긴 헌데

한국시장에서 아무리 좋은차라고 하더라도

AS망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

말짱 황입니다.

북미의 경우 자가 수리에 대한게 잘되어 있어

타이어쯤은 자신이 직접 갈기도 하거든요.

근데 한국은 아니니

중국차가 서비스 센터를 왕창 늘려서

공격적으로 하지 않는 한

힘들겁니다.
DogSound-_-*
25/10/28 00:36
수정 아이콘
저거 v2l은 되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20490 [스포츠] 악기가 되어버린 이글스티비 Lz187 25/10/28 187
520489 [유머] 피아노 1타 강사의 리듬교육 방법 [1] VictoryFood294 25/10/28 294
520488 [게임] 오늘도 평화로운 카제나챈 [18] 깃털달린뱀1298 25/10/28 1298
520487 [기타] ??: 하 중국인이네 던져야지 신정상화1387 25/10/28 1387
520486 [LOL] 어쩌면..G2보다..더 유쾌한건가...(BLG 광고) [4] Janzisuka1413 25/10/28 1413
520485 [게임] 주년 맞이한 비주류 모바일겜들 [4] STEAM1436 25/10/27 1436
520484 [기타] 전세계 정권교체, 혁명의 상징이 된 원피스 [5] Leeka1972 25/10/27 1972
520483 [서브컬쳐] 자기는 보브컷 잘 어울릴것 같아! 해봐! 인민 프로듀서1198 25/10/27 1198
520482 [유머] (아래글 이어서) 식당 관련 의견을 말하세요 [2] jjohny=쿠마1398 25/10/27 1398
520481 [유머] 식당 운영 관련 의견을 말하세요 [10] 길갈2720 25/10/27 2720
520480 [유머] 존재해선 안되는 식품 [16] roqur4773 25/10/27 4773
520479 [기타] 전세 사기 당한 사람의 선택. [21] This-Plus5468 25/10/27 5468
520478 [유머] KBO 리그의 은근히 놀라운 사실. [33] 캬라6181 25/10/27 6181
520477 [음식] 한국인이 좋아하는 국밥 순위.jpg [65] 전기쥐5159 25/10/27 5159
520476 [유머] 컴포즈커피, 김조한과 함께한 신메뉴 출시 [15] Myoi Mina 4864 25/10/27 4864
520475 [기타] 국내 9월 수입차 판매순위 [43] 크레토스4420 25/10/27 4420
520474 [유머] 미션 임파서블 영화장면과 실제촬영 비교 [17] 인간흑인대머리남캐4281 25/10/27 4281
520473 [게임] 역대급 캐릭터인 줄 알았던 명조 유노 매출 근황 [10] 묻고 더블로 가!3367 25/10/27 3367
520472 [유머] 늑대인간에게 효과적이라는 은탄 [26] 인간흑인대머리남캐3978 25/10/27 3978
520470 [유머] 영국에서 만들었다는 기울어진 변기.jpg [22] 캬라4613 25/10/27 4613
520469 [유머] 일본에서 이착륙한 유일무이 대한민국 전투기 편대 [3] 김삼관3536 25/10/27 3536
520468 [유머] 반야심경...그런데 AI를 곁들인 [5] 적막2489 25/10/27 2489
520467 [기타] 은근 호평 일색에 한국 오면 현기가 긴장해야한다는 고급차 브랜드 [56] 깃털달린뱀5852 25/10/27 58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