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1 16:22
있는 자원이 아니라 병력 감소를 군무원으로 대체하는 중이죠.
2017년 군무원 정원 2.7만명 2025년 군무원 정원 4.7만명
25/10/21 17:38
(수정됨) 아 댓글을 저렇게 다시니 이광섭이가 징계당했다는 줄...쟤는 징계 안 받은게 맞군요
근데 갑질해서 쫓겨난 놈 대리로 온 놈도 갑질 하는게 있는 자원에서 최대한 써보려는 발버둥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저게 최대한의 발버둥이먼 국방부의 인적구성도 처참하네요. 안타깝습니다.
25/10/21 16:20
https://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2884
[갑질 논란 수도군단장 분리파견…17사단장 직무대리] 2025.05.12 기존 육군 수도군단장 : 부적절한 사안을 확인해 직무정지 및 분리파견 조치 직무대리 : 이광섭 17사단장을 지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2/0002410802?sid=102 ["민간인인데"…머리 기른 수도군단 군무원, '두발 불량' 감봉 2개월 받았다] 2025.10.21. 이광섭 제17사단장이 수도군단장 직무대리자로 보임한 뒤부터 그의 두발 상태는 문제 대상이 됐다. 이 직무대리는 "군 기강 확립을 위한 군인 기본 자체 준수 강조" 등 규정에 맞는 두발 상태를 준수하라는 지시를 문서로 여러 차례 하달 똥차가 떠나고 벤츠가 아니라 분뇨차가 온건가... 대단하네요.
25/10/21 16:27
개개인 지휘관들의 문제도 있겠지만 더 큰 틀에서는
병사 급여를 한번에 늘림 → 늘린건 좋은데 부사관, 장교와 밸런스를 안 맞춰 둠 → 장교, 부사관 수급 붕괴 → 있는 인원에서 최대한 몸 비틀기 로 알고 있습니다.
25/10/21 19:33
한정된 예산에서 병사만 급여를 올린게 문제죠
예산상 나머지는 올릴 수 없으니까요 그럼 예산에서 허락되는 만큼 간부와 병을 동등하게 올렸어야 되는데 그냥 병사만 올렸으니 멍청한 보여주기식 행정의 전형이죠
25/10/21 23:57
지금 간부 수급 문제가 병사수급 늘린 걸로 기인하니깐요. 간부 급여 올리는 게 그만큼 쉬웠으면 병사 올릴 때 같이 올렸겠죠. 하지만 예산상 그러지 못한 상황에서 진짜 윤석열 정부 아니랄까봐 알빠노하고 올리고 국민들도 아몰랑하고 내비둔 결과가 간부수급 붕괴죠. 이쯤되면 좀 실수였다고 인정할만도 한데 아직도 우틀않하는 사람들 보면 참 인간의 인지부조화는 대단합니다
25/10/22 03:20
'지금 간부 수급 문제가 병사수급 늘린 걸로 기인하니깐요'라고, 그걸 상식적으로 당연한 사실인마냥 간단히 언급하셨는데, 제가 그걸 당연한 사실이 아니라고 생각하니 '정부의 전체 예산, 국방부에 할당된 전체 예산 중 굳이 병사 급여만 문제삼아야할 합당한 이유가 무엇인지 이해되지 않습니다.'라고 댓글을 쓴 것 아니겠습니까?
25/10/22 03:35
아 그걸 부인하시는 군요? 그냥 초급간부 지원율만 보면 되는 간단한 사실조차 부인하시는 사람과 괜히 말을 섞었네요. 네 그렇게 세상을 이해 못 한체로 살아가세요. 뇌빼고 살면 세상 편하긴 하죠
25/10/22 03:18
(수정됨) '부사관, 장교의 급여가 너무 낮아서 문제다'라고만 하면 되고 병사 급여 인상에 대해서 언급할 필요가 없었다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부사관, 장교의 잠재 지원자는 부사관, 장교의 급여와 그들이 취업을 노려볼만한 사회 내의 다른 직업의 급여를 비교하여 직업 선택을 고민하지 부사관, 장교의 급여가 병사 급여하고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가 부사관, 장교 지원에 끼치는 영향은 희박하다 생각합니다.
25/10/21 23:17
뻔히 예상되는 거였는데 최저 시급도 못 받는다, 갇혀 있는데 인권침해다 등 무적의 논리로 옹호하는 여론이 꽤 많았죠.
국방 예산은 한정되어 있어서 부사관 장교까지 올릴 수 없는 상황이었고, 병력 자원은 줄어들고 군 복무는 단축되고... 근데 그 와중에 병장 월급을 소대장이랑 비슷하게 올리고 하사보다 높여 버리면 자기 보다 돈 못 받는 간부들을 간부로 안 볼 게 뻔하고, 간부 지원자 급감해서 군 체계 붕괴되는 건 순식간이었던 거죠.
25/10/21 17:06
현역때 여러모로 잘 챙겨주신 군무원 사모님이 생각나네요. 같은부서 전역자한테 케익에 옷선물까지 매번 챙겨주시는 좋은 분이셨는데
25/10/21 17:39
듣기로 공무원 시험 붙을때까지 그냥 다닌다고 들었습니다..(호봉도 쌓이니까요) 일반 행정직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의 대부분도 그냥 공무원 시험이랑 걸어두고 시험친다고.. 그래서 면직률도 높다네요.
25/10/21 23:20
올린 게 실책 맞죠.
너무 급격하게 너무 가파르게 준비도 안 하고 그냥 올렸으니 큰 실책이죠. 국방비 한정되어 있고 병력 자원은 병사뿐만 아니라 초급 간부들도 한정되어 있잖아요.
25/10/21 19:41
군가산점제 폐지에 따른 스노우볼이 굴러가는거죠.
솔직히 정치인들 본인들 치적쌓기나 관심있지 거시적인 미래에 대한 관심은 하나도 없는거 같아요.
25/10/21 21:17
그냥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이 있는거죠.
병사 월급 안올렸다고 군무원이나 간부 대우가 올라갔을거란 소리는 자기들도 안 믿을겁니다.
25/10/21 23:59
모든 대우는 상대적인 거고 병사 월급 급격히 오르면 당연히 초급간부 들어갈 유인이 0으로 수렴하는 게 당연한데 아직도 우틀않 거리고 있네요 크크
저도 지금 수준이면 장교말고 그냥 병으로 가고 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