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9/17 10:24:28
Name EnergyFlow
File #1 u67vr0zbtiaf1.png (67.2 KB), Download : 690
출처 https://www.reddit.com/r/europe/comments/1lq6f3x/data_on_births_and_the_total_fertility_rate_tfr/?utm_source=chatgpt.com
Subject [유머] 레딧에서 공유된 전세계 저출산 통계 (수정됨)


https://www.reddit.com/r/europe/comments/1lq6f3x/data_on_births_and_the_total_fertility_rate_tfr/?utm_source=chatgpt.com

YmirsErinnerung
터키 정말 흥미롭네.
앞으로 35년 안에 터키가 디아스포라(국외에 나가있는 자국 민족)에게 돌아오라고 부를 거라는데 1만유로 건다.
단 인플레이션 포함된 가격임

└Desudayo86
하지만 그 사람들은 돌아오지 않을껄


dreamrpg
이 표 정렬 방식이 진짜 전쟁 범죄급이네.


ImpressionConscious
몰도바랑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거야?

└Plastic_Exercise_695
내가 몰도바 출신인데, 그냥 몰도바 사람들은 좀 더 보수적이고, 여성들이 첫 아이를 비교적 일찍 낳는 편이야 (평균이 26살쯤?).
아이를 안 낳겠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은 주변에서 본 적 없어. 다만 전체 인구는 급격히 줄고 있지.
10년 전에 한 인구조사에서는 340만 명이었는데, 올해 인구조사에서는 240만 명이 나왔을거야.
그럼 그 사람들은 어디로 갔을까? 이민 갔지. 나도 마찬가지고

└Agitated-Airline6760
몰도바는 잘 모르겠는데 한국은 그냥 작은 일시적 변동 같네. 0.75에서 0.81로 올랐지만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임.
다시 0.77 정도로 내려갈 수도 있고, 설령 +7.7% 계속 오른다고 해도 내년에 0.87밖에 안 되네.
여전히 세계 최저권이고, 인구 유지에 필요한 2.1의 절반도 안 되는군.


Deadandlivin
후기 단계 자본주의 + 디지털화. 세계 어디서나 벌어지고 있는 일입니다.
사회적 고립, 생활비 위기, 허무주의, 삶의 모든 부분이 거래로 바뀌어 버린 과도한 상품화. 연애, 관계, 섹스까지 다 상품처럼 팔리고,
사람과 그들의 개성마저 광고용 제품으로 재포장되고 있어요.
이게 현대 세계의 새로운 현실입니다. 그리고 이건 서구나 부유한 나라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에요.
개발도상국에서도 일어나고 있고, 산업화·현대화가 진행되면 가난한 나라들도 결국 같은 길을 갈 거예요.
특히 서구식 신자유주의 정책과 금융시장 개방을 받아들이면 더더욱 그렇죠.


NoSemikolon24
죽음. 아주 느리지만 사실상 피할 수 없는 죽음.


The-Nihilist-Marmot
포르투갈은 불과 15~20년 전까지만 해도 유럽에서 출산율 최악이었는데,
지금은 유럽 평균과 비교하면 훨씬 나은 위치에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상황이 좋은 건 아니지만).
브라질이 사실상 포르투갈의 인구 배터리 역할을 한다고 볼 수도 있어요.
우리가 인구가 많을 땐 사람을 브라질로 보내고, 부족할 땐 브라질에서 사람을 데려오는 식이죠.
스페인과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데이터는 정말 미쳤어요. 개발도상국에나 있을 법한 수치입니다.
이 표에 이스라엘 정치가 왜 이 모양인지에 대한 근본 원인들이 전부 담겨 있어요.

└Xeroque_Holmes
많은 포르투갈 사람들이 브라질에서 오는 이민자들에 대해 불평하지만,
대안은 인구 시한폭탄을 그냥 받아들이거나 브라질과 거의 아무런 문화적 공통점이 없는 나라들에서 이민자를 받아들이는 거지.
다른 방법이 없어. 전세계적으로 이런 추세를 실제로 되돌린 나라는 한 곳도 없으니까.

└Mysterious_Health229
이스라엘의 경우, 아랍 인구와 유대인 인구의 격차도 살펴봐야 할 것 같아요.
두 집단은 전혀 비슷하지 않고, 아마 아랍계 이스라엘인들이 이스라엘 전체 인구 성장률을 끌어올리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The-Nihilist-Marmot
위 친구 말이 맞지만, 그게 사실이라면 상황은 더 심각했을 겁니다.
근본주의 유대인 공동체 중에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부부당 5~7명의 자녀를 두는 경우가 있었어요. 엄청난 수치죠.
충격적인 건, 인구학적 균형이 그렇게 바뀌어서 이스라엘 전체 평균 출산율이 거의 3이 되어버렸다는 거예요.
이게 전부 근본주의자들이 끌어올린 수치죠.
그래서 이스라엘 극우가 어디서 지지를 얻는지, 네타냐후가 표를 어디서 얻는지만 보려면 이 표를 보면 돼요.
근본주의자들은 현재도 중요한 유권자 집단이지만 미래엔 다수파가 될 겁니다.

└Mindzilla
못 들었어? 우리나라가 외부인에게 대체되고 있다니까!(비꼼)


mixererek
폴란드랑 리투아니아 출산율 1 근처까지 내려갔네. 젠장, 제발 마지막에 나가는 사람은 불이라도 꺼라.


mountainslav
이런 표 볼 때마다 나라마다 데이터가 엄청 다르게 나오네.


WillingRich2745
매우 심각한 문제이고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사안이야.

└JayManty
위에 있는 사람들이(정부, 정책 결정자들이) 비숙련 노동자들의 임금으로도 대가족을 부양할 수 있게 만들지 않는 한, 이 현상은 계속될 겁니다.
지난 40년 동안 평균 노동자의 생산성은 두 배 이상 올랐습니다.
그런데 근로 시간이 줄었나요? 아니오.
임금이 거기에 비례해서 올랐나요? 그것도 아니오.
부자는 더 부자가 되었고, 가난한 사람은 더 가난해졌습니다. 우리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를 탓해야 합니다.
국가 경제에 개입하지 않고 자유롭게 굴리자는 경제 자유의 꿈은,
중산층의 부가 엘리트들에게 빨려 들어가는 데 최적의 환경을 마련해 줬습니다.
이렇게 점점 보통 사람들은 더 살기 어려워지고, 극소수만 혜택을 보는 환경에서 다자녀를 낳을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우리는 시간도 없고 돈도 없으니까요.

└Mindzilla
하지만 이 친구야, CEO들은 어쩌라고? 그 사람들 네 번째 요트가 필요하다고!

└sfortop
지난 200년간 근로 환경은 훨씬 나아졌지.
하지만 문제는 인간의 욕망이 인간의 능력을 앞지른다는 거다.
그리고 사람들은 “애를 아예 안 낳는 게 답이야 너무 비싸거든” 이라는 결론을 내리는거지

└Deadandlivin
마르크스가 결국 옳았다. (농담이지만 사실 꽤 맞는 말이다.)
우리가 지금 사회에서 보고 있는 현상, 이런 흐름들은 좌파들이 오래전부터 경고해 왔던 “자본주의의 내재적 모순”이 그대로 드러난 결과다.
그렇다고 해서 사회주의나 공산주의가 무조건 정답이라는 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좌파들이 제시한 체제 비판, 특히 경제 문제에 대한 비판은 꽤 정확한 경우가 많다.


IWillDevourYourToes
20% 인플레이션이 사람을 어떻게 만드는지 보도록 해


Shevek99
마카오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거야?

└The-Nihilist-Marmot
마카오에 사는 사람등 중에는 본인이 거기서 태어나 산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없고,
거기에 평생 머물 생각을 하는 사람도 없어.


Impossible_Text_1991
타이완 남바완


Lopsided_Cry_5275
대만 최근 3년 출산율: 0.86, 0.88, 0.78
주식시장 용어로 이런걸 '데드캣 바운스'라고 하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특별수사대
25/09/17 10:26
수정 아이콘
진짜 표 정렬이 범죄수준이네요 걍 자기맘대로 넣어놨네
25/09/17 11:40
수정 아이콘
회사에서도 저렇게 아무 생각 없이 표 정렬해서 보고서 만드는 사람을 봤는데 답답.......
25/09/17 13:49
수정 아이콘
진짜 무슨 기준으로 정렬한 걸까요?
특별수사대
25/09/17 14:28
수정 아이콘
대충 생각해보면 1. 우리나라 미국먼저 2. 우리 베프들 넣고 3. 대충 잘사는 북유럽 4. 우리편 서유럽 5. 나머지 변방유럽+러시아 6. 우리 앞마당 중남미... 뭐 이런식으로 미국인이 지들 친밀감 + 가까운 나라순으로 정렬한 거 같네요
에이치블루
25/09/17 20:57
수정 아이콘
저도 보자마자 끄덕끄덕 크크크크
Liberalist
25/09/17 10:28
수정 아이콘
이스라엘 같은 나라들은 출산율이 높으면 높은대로 이거 괜찮은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상당수가 아랍계 이주민 아니면 하레디일거라...
가이브러시
25/09/17 10:29
수정 아이콘
몰도바얘기를 그렇게 하는데 몰도바를 표에서 못찾겠어요! 와 정렬 정말
잠이오냐지금
25/09/17 10:34
수정 아이콘
크크 저도 링크 들어가서 표 확대해서 찾았네요
1.9의 위엄!!
가이브러시
25/09/17 10:36
수정 아이콘
와 저도 겨우 찾았어요! 이집트, -스탄국가들은 2대군요.
유료도로당
25/09/17 10:36
수정 아이콘
한국처럼 몰도바도 올해 많이 반등했나보구나? 하고 제일 녹색 진한거만 찾으니까 바로 찾았습니다 크크크
Jedi Woon
25/09/17 16:22
수정 아이콘
저는 터키를 한창 찾았습니다 크크
불쌍한오빠
25/09/17 10:33
수정 아이콘
생각 못한 부분이었는데 인플레이션도 저출산 원인이겠군요
문득 지니계수와 출산율 관계가 궁금해지네요
25/09/17 10:41
수정 아이콘
표 만든 사람 채찍질해야
TempestKim
25/09/17 10:46
수정 아이콘
동아시아 독보적이네
파이어폭스
25/09/17 10:47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출산율이 여전히 높긴 하지만, 그럼에도 떨어지고 있는 건 똑같죠. 개별국가의 요인으로 가속화된 건 맞지만(특히 동북아), 저출산은 전지구적인 문제라 해결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뭔가 세계구급 전쟁을 하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인데(오히려 화약 터트리며 싸웠던 세계대전보다 훨씬 치명적인), 적의 실체가 없으니 방법이 있을까 모르겠네요.
프레스코
25/09/17 10:50
수정 아이콘
한국이 1등이 아니라니..!!
덴드로븀
25/09/17 10:52
수정 아이콘
중국은 왜 뺐을까요?
25/09/17 10:54
수정 아이콘
진짜 재밌는건 1970-80년도에 쓰여진 공상과학 소설들 보면 상당히 많은 내용이 지구의 넘쳐나는 인구를 우주 어디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분산시킬까에 대한 고찰입니다. 재밌어요
김유라
25/09/17 10:58
수정 아이콘
답도 없이 박살난 국가들(1.0 이하거나 그 근처)의 공통점은 종교 국가가 아니다+특정 도시의 성장에 집중된 국가다

정도군요. 결국 인구 밀집이 원인이 아닌가 싶긴 해요.
서지훈'카리스
25/09/17 12:51
수정 아이콘
그렇죠. 도시국가나 도시국가급으로 수도권 집중이 심한 나라들
그런데 다른 나라들도 점차 수도권 및 도시 집중은 다 심해진다고 봅니다 유럽 미국 남미 다 그런 경향이라
25/09/17 12:13
수정 아이콘
추가로 맬서스 트랩에 기반한 악당 캐릭터가 은근 있기도 하죠(...)
아이군
25/09/17 12:16
수정 아이콘
지금보면 타노스가 전혀 이해가 안됨....
25/09/17 12:44
수정 아이콘
오 바로 타노스도 있네요 크크크크
영원히하얀계곡
25/09/17 12:52
수정 아이콘
타노스 쳐들어오면 한국은 출산율 보여주면서 예외로 살려달라고 해도 되겠네요.
25/09/17 13:50
수정 아이콘
굳이 학살이 필요없는 평화적인(?) 방법이 가능하니 한국식 모델을 전 우주로 퍼뜨릴 사명이 추가됩니다. 타노스가 타노시이하겠군요.
wish buRn
25/09/17 14:46
수정 아이콘
김구 선생님. 보고 계십니까...
Grateful Days~
25/09/17 13:31
수정 아이콘
타노스가 필요없는 나라
샤한샤
25/09/17 14:25
수정 아이콘
기동전사 간다무?
뒹굴뒹굴
25/09/17 10:58
수정 아이콘
근본적으로 빈부 격차 문제기는 하죠.
SNS는 빨간약을 전세계적 단위로 먹게해서 저출산을 가속화 하고 있는 것 뿐이고요.

다만 이게 어느 정도 소득 및 자산 불평등을 해소하자는 방향으로 가는게 아니라
내가 불행한건 다 이민자 때문이다로 가고 있어서 이 세상에 미래가 있는 것인지는 잘...
시드라
25/09/17 10:58
수정 아이콘
SNS와 유튜브 시대 이후로 속도의 차이지 전세계 추세는 저출산이죠

한국 걱정하던 다른나라 사람들이 이젠 자기네 걱정하는 시대입니다
묻고 더블로 가!
25/09/17 11:02
수정 아이콘
최근 한국 언론에서 미는 출산율 역대급 증가율이 근들갑인 이유...
25/09/17 11:03
수정 아이콘
한국인들이 트렌드 리더였을 뿐.
LuckyVicky
25/09/17 11:09
수정 아이콘
댓글 읽어보니, 마카오 진짜 궁금하네요...
덴드로븀
25/09/17 11:11
수정 아이콘
마카오는 인구가 70만명 정도입니다. 천안시 정도네요.
LuckyVicky
25/09/17 11:30
수정 아이콘
아 인구수 말고,

마카오에 사는 사람등 중에는 본인이 거기서 태어나 산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없고,
거기에 평생 머물 생각을 하는 사람도 없어.

이 내용이 궁금해서요...
마카오는 돈이 적지 않은 도시로 알고 있는데....
빈부격차 때문인가... 다른 이유인가...
타츠야
25/09/17 19:03
수정 아이콘
카지노가 주수입원인 것이 크지 않을까요? 다양한 직업이 있어야 하는데 한쪽으로 몰리니.
가이브러시
25/09/17 11:10
수정 아이콘
근데 인구가 줄어들면 지구한테는 좋은거 아닙니까?
힘내요
25/09/17 11:11
수정 아이콘
태국이 의외네요
서린언니
25/09/17 11:13
수정 아이콘
CEO들 4번째 요트가 필요하다는 덧글이 참....
MissNothing
25/09/17 11:17
수정 아이콘
댓글에도 나와있지만 비숙련 노동자가 가족을 부양 못하면 결국엔 출산율은 줄수밖에 없는듯 합니다.
25/09/17 11:19
수정 아이콘
아주 예전에 출산율이 1.5에서 1.8 사이가 오히려 이상적이라고 들었던 것 같은데, 그게 아니었나 보네요.
멸망은 사실 조용하고 천천히 오는 걸수도?
타카이
25/09/17 12:00
수정 아이콘
출산율이 2가 안되면 이미 천천히 멸망하는거고...이후 사망하는 걸 생각했을때 2.1은 되어야 유지는 된다는 거긴하죠
쵸젠뇽밍
25/09/17 13:40
수정 아이콘
1.5~1.8이면 인구가 천천히 줄어드는 것이니 현시점 인구가 많다고 생각된다면 이상적이죠.
20060828
25/09/17 11:23
수정 아이콘
저출산 연구하고싶어? 한국으로 와
25/09/17 11:25
수정 아이콘
정렬 방식이 같은 대륙(지역)에 있는 나라끼리 모아놓은거 같은데
처음 5개가 five eyes라서.. 크크
Far Niente
25/09/17 11:31
수정 아이콘
표 정렬이 범죄수준에 극공감
로드바이크
25/09/17 11:31
수정 아이콘
한국이 쎅쓰 강국이 되는구나! (아님)
김삼관
25/09/17 11:35
수정 아이콘
국가의 통합으로 이어지는 과정일지요
25/09/17 11:50
수정 아이콘
결국 돌고돌아 성장의 문제가 아니라 분배의 문제인건 뻔한데, "우리도 분배의 문제인건 알아, 그런데 더 가진 부자의 문제는 아니고, 복지 타가는 더 가난뱅이와 가난한 이민자의 문제야"라고 선제적 조치를 하였고 이게 뉴메타가 되면서 선풍적인 전지구적 성공을 거두었으니, 남은 일은 이제 요트가 3개든 4개든 공정하고 공명하게 늘어나는 것이지요.

십시일반, 조별과제, 사람이 열명이 모여서 밥을 나눠먹으면 그래도 굶은 사람은 없지 않겠냐? 라는 수천년짜리 전근대의 진리가 그래서는 안되고, 그럴 수도 없다는 미증유의 2020년대는 후대 역사책에 어떤 시대로 기록될지 흥미롭네요~~
전기쥐
25/09/17 11:54
수정 아이콘
표 정렬 기준이 뭐에요?
EnergyFlow
25/09/17 11:59
수정 아이콘
북미-오세아니아-유럽-남미-동유럽&북아프리카&중앙아시아-동아시아
대충 이런 순서로 뭔가 지구본을 보면서 눈이 가는대로 해놓은 것 같습니다...
전기쥐
25/09/17 12:00
수정 아이콘
아하.. 감사합니다!
유동닉으로
25/09/17 11:59
수정 아이콘
글로벌 트렌드였던 것들을 마치 힌국에서만 벌어지는 일인 것처럼 선동하신 분들이 좀 있었죠.
No.99 AaronJudge
25/09/17 15:19
수정 아이콘
도시국가도 아닌데 0점대는 좀….심하긴 합니다….
유동닉으로
25/09/17 17:39
수정 아이콘
우리랑 가장 비슷한 게 대만인데, 대만 출산율을 보시면...
25/09/17 12:09
수정 아이콘
어서 기후변화 대응지표에 출산율을 넣어서 근원인 인구감축에 모두가 함께해서 한국을 모범국가(?)로 만들어야.... 물론 그 수준의 차이만 있을뿐 전반적으로 내려가고있긴 하지만요.
25/09/17 12:14
수정 아이콘
근본주의의 승리 엔딩?
25/09/17 12:34
수정 아이콘
몰도바는 우리보단 낫구만 몰 도바~~
如是我聞
25/09/17 18:48
수정 아이콘
뭘 더봐?
25/09/17 12:40
수정 아이콘
인공 자궁을 통한 인간 생산 기술 개발에 전지구적인 힘을 모아야하지않을지..
평온한 냐옹이
25/09/17 13:01
수정 아이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은 엄청 많이 낳네요
This-Plus
25/09/17 15:21
수정 아이콘
이스라엘 출산률은 하레디 캐리라서 ㅠㅜ
25/09/17 13:07
수정 아이콘
저정도면 진짜 세계지도 보면서 음 여기서부터 시작해볼까하고 시작한거같은 크크크
유료도로당
25/09/17 13:17
수정 아이콘
파이브아이즈-북유럽-서유럽-동유럽-중미-남미-중동-서남아시아-동아시아-동남아시아 정도의 흐름이네요 크크크
쵸젠뇽밍
25/09/17 14:03
수정 아이콘
출산율 문제 볼 때마다 적지만, 근본 원인은 두 가지 입니다. 하나는 출산&양육을 부부가 알아서 하라고 떠 넘기다시피 했다는 것과 전쟁 후 너무 많이 태어났다는 거죠.

20대 중후반에 취업해서 월300 버는 사람끼리 5~10년쯤 돈 모은 것과 부모님 도움도 받고해서 결혼한 후 몇 년 뒤 아이가 생겨 남편 혼자 벌면서 그간 모은 돈 or 대출로 버티다가 아이가 어느 정도 큰 후 다시 맞벌이가 되는 정도. 이 정도면 출산율이 0.7이 나옵니다. 출산율이 1점대 초반이 나오려면 저기서 아이를 하나 더 낳아야하는데, 30대 초반에 결혼해서 아이가 어느 정도 크면 이미 40대입니다.

출산율을 올리려면 사회진입을 당겨 초혼연령을 낮춰야하고, 청년들의 소득수준도 높아서 첫 아이가 채 크기 전에 또 낳아야 합니다. 또는 양육부담이 적어서 돈이 덜 들던가 재취업을 빨리 할 수 있든가 해야하죠. 이 모든 것이 사회에 일자리가 많아야 가능한 일들입니다. 근데 우린 60년대 전후해서 20년간 2천만명이 태어났고, 이들이 여전히 노동하고 있기에 일자리가 부족하죠.

시간이 좀 더 흘러야 나아질거고, 시간이 좀 더 흐르면 나아질거고, 이미 조금씩 나아지고는 있죠. 근데 여전히 육아부담은 부부에게만 맡기는 편이라, 이걸 사회가 어떻게든 더 돕지 않으면 1점대 후반의 출산율은 요원할 거라고 봅니다. 거기까진 가야하는데 말이죠.
하이퍼나이프
25/09/17 14:24
수정 아이콘
대충 훑어 봐도 지난 3년간 출산율이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는 국가가 몇개밖에 안되고 그 중의 하나가 대한민국인데
3년간의 추세면 충분히 출산율이 반전되었다 판단할 만 하고 국가와 국민적 노력이 보이는 결실로 보이는데요
여전히 근들갑이니 데드캣 바운스니 기술적 반등이니 하는거 이해가 안갑니다
죽은 고양이가 3년에 걸쳐 튀어오르나요?
출산율이 1~2년새 갑자기 두배씩 뻥튀기 될 수는 없다는게 자명한데 어떤 결과물을 갖다줘야 한국이 회복세에 있다는걸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 궁금하네요
쵸젠뇽밍
25/09/17 15:35
수정 아이콘
어차피 비지니스 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사람들은 알아서 잘 분석할 거라 인정하든 말든 상관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엘든링
25/09/18 00:21
수정 아이콘
한국은 출산율에 타격 줄 수 있는 시한폭탄이 하나 더 있거든요
그거까지 이겨내야 데드캣 바운스가 아니라 찐반등이라 볼 수 있는거죠
투전승불
25/09/17 15:28
수정 아이콘
인구 문제는 욕망의 문제이고 콘돔의 문제이죠.

사실 사회와 국가가 자꾸 가정의 역할을 뺏어가서 나타나는 현상 같기도 합니다.
탑클라우드
25/09/17 16:28
수정 아이콘
인구 감소에 대해서는 적극 공감하지만,
한편으로는 인간의 평균 수명 연장, 인당 소모 자원 등을 고려하면
이제 2.1의 출산율이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치가 아닐 수도 있을 듯 하기는 합니다.
지구 최후의 밤
25/09/17 16:31
수정 아이콘
어우 눈아파
구급킹
25/09/17 16:52
수정 아이콘
불공평한 분배가 문제는 맞는데 그렇다고 강제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국가 권력이 들어서면 또 엄청난 불공평과 비효율, 독재를 야기하는게 입증돼버렸죠.. 현생인류의 지능이나 공감능력으로는 지금 상황을 스무스하게 타개 못합니다. 전쟁이 나서 리셋되거나 급격한 기술발전에 기대봐야죠.
유리한
25/09/17 17:05
수정 아이콘
저는 사회적으로 자녀가 생산재가 아니라 소비재로 변화되는 순간부터 정해진 운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No.99 AaronJudge
25/09/17 17:54
수정 아이콘
인구구조가…전세계적으로 기이해지겠네요..
스톤콜드 스터너
25/09/17 18:06
수정 아이콘
저 표만든 사람을 잡아다가 머슬버스터를 시전해주고 싶군요
동굴범
25/09/18 00:14
수정 아이콘
스마트폰과 SNS의 등장이 인구문제에 큰 영향을 준 것 같다는 일부 의견에 꽤 동의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9425 [기타] 카카오놈들의 꼼수 VictoryFood1195 25/09/18 1195
519424 [유머] 일본 일반 가정집 구경 [2] 김삼관1169 25/09/18 1169
519423 [기타] 연이은 비로 한시름 놓은 강릉 근황 [6] VictoryFood3091 25/09/17 3091
519422 [LOL] 은근히 LCK의 사신을 맡고 있는팀 [7] Lord Be Goja2028 25/09/17 2028
519421 [기타] 광주 지하철 공사중 나온 암 [15] 카루오스3065 25/09/17 3065
519420 [기타] 불안한 김천김밥축제 [5] VictoryFood2454 25/09/17 2454
519419 [유머] 일주일동안 모바일 게임 접속을 못 한 이유.jpg [1] Starlord1669 25/09/17 1669
519418 [LOL] BFX-thank you 2025 lck [4] 카루오스1543 25/09/17 1543
519417 [LOL] ??? : bfx 어서와 [4] 카루오스2205 25/09/17 2205
519416 [유머] 고인물 업적작 [23] 인간흑인대머리남캐3802 25/09/17 3802
519415 [서브컬쳐] 일본스러운 맥도날드 광고 [1] 김삼관2807 25/09/17 2807
519414 [게임] 스파6 마농은 혼자 싸우는 캐릭터가 아님 [4] STEAM2097 25/09/17 2097
519413 [게임] 오버워치 페르소나 콜라보 [15] Riina2307 25/09/17 2307
519412 [스포츠] 고야(고교야구 갤러리)갤 드래프트 요약 [1] 윤석열3030 25/09/17 3030
519411 [스포츠] 오열하는 박석민.jpg [18] insane5652 25/09/17 5652
519410 [스포츠] 한화이글스 3라운드 손광민 선수로써 포부.jpg [12] insane3570 25/09/17 3570
519409 [기타] 저자본 공무원 커플이 결혼하기 힘들어하는 케이스 [143] 묻고 더블로 가!9640 25/09/17 9640
519407 [기타] 케데헌 시청자 수 그래프 드디어 꺽여 [82] 싸우지마세요8954 25/09/17 8954
519406 [유머] 레딧에서 공유된 전세계 저출산 통계 [76] EnergyFlow9124 25/09/17 9124
519405 [기타] 차표 끊으면서 코레일 말고 들어간 곳 [51] 닉넴길이제한8자8897 25/09/17 8897
519404 [유머] "남편한테 물어보고 정할게요" [37] 길갈8366 25/09/17 8366
519403 [기타] 선녀와 나무꾼 [11] 묻고 더블로 가!3800 25/09/17 3800
519402 [유머] 싱글벙글 KTX 명절 예약 근황.jpg [45] 김유라9223 25/09/17 92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