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9/11 00:52:52
Name Leeka
출처 https://www.molit.go.kr/LCMS/DWN.jsp?fold=koreaNews/mobile/file&fileName=231222%28%EC%84%9D%EA%B0%84%29_2022%EB%85%84%EB%8F%84_%EC%A3%BC%EA%B1%B0%EC%8B%A4%ED%83%9C%EC%A1%B0%EC%82%AC_%EA%B2%B0%EA%B3%BC
Subject [기타] 신혼부부의 43%는 자기집, 73%는 아파트에서 산다. (수정됨)

정부 조사 자료 pdf : https://www.molit.go.kr/LCMS/DWN.jsp?fold=koreaNews/mobile/file&fileName=231222%28%EC%84%9D%EA%B0%84%29_2022%EB%85%84%EB%8F%84_%EC%A3%BC%EA%B1%B0%EC%8B%A4%ED%83%9C%EC%A1%B0%EC%82%AC_%EA%B2%B0%EA%B3%BC%28%EC%A3%BC%ED%83%9D%EC%A0%95%EC%B1%85%EA%B3%BC%29.pdf



2022년 정부에서 조사한 통계 기준


- 자기 집이 있는 가구 : 61.3%  (수도권 55.8% / 광역시 62.8% / 도 69.1%)


- 자기 집에서 사는 가구 : 57.5% (수도권 51.9% / 광역시 58.7% / 도 65.6%)






> 덤으로 보는 구간별 점유율



- 신혼 부부의 점유 형태 : 자가 43.6% / 임대 52.9% / 무상 3.5%


- 신혼 부부의 주거 형태 : 아파트 73.3% / 단독주택 10.7% / 다세대 10.5%


* 법적인 신혼 부부 기준 : 혼인신고 한지 7년 이내



- 청년의 점유 형태 : 자가 13.2% / 임대 82.5% / 무상 4.3%


- 청년의 주거 형태 : 아파트 31.3% / 단독주택 38.1% / 다세대 11.2%


* 청년의 기준 : 만 19세 이상~만 34세 미만이 가구주



- 고령의 점유 형태 : 자가 75.0% / 임대 19.8% / 무상 5.2%


- 고령의 주거 형태 : 아파트 44.7% / 단독주택 41.7% / 다세대 7.8%


* 고령의 기준 : 만 65세 이상이 가구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랑케도
25/09/11 02:36
수정 아이콘
....스고이.... ㅜㅜ
포도씨
25/09/11 06:35
수정 아이콘
이러니 결혼 자체를 포기하지...진짜 젊은세대에게 미안한 마음뿐입니다.
슬래쉬
25/09/11 06:57
수정 아이콘
* 법적인 신혼 부부 기준 : 혼인신고 한지 7년 이내
신혼의 기준이 생각보다 넓군요?
카미트리아
25/09/11 07:09
수정 아이콘
혼인 신고를 늦게 하는 추세를 고려해보면 더 넓을 겁니다
엘브로
25/09/11 07:13
수정 아이콘
신혼특공 가능한 기준이지요
25/09/11 08:54
수정 아이콘
애 낳기 전에 안 하는 부부가 태반이라 실제론 더 넓습니다
몽키매직
25/09/11 08:1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자가보유율이 전혀 낮은 편도 아니고...
어차피 상속으로 인해서 나이가 들수록 자가보유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지금 청년들이 고령이 되었을 때 비슷한 자가보유율이 되겠죠.
아니, 오히려 세대별 인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상속이 완료된 고령층의 자가보유율은 자동으로 계속 올라갈 겁니다.
20060828
25/09/11 08:31
수정 아이콘
자가라 해봤자 거의 부채 아닐까요? 집값은 대체 누가 이득을 보는건지 참...
덴드로븀
25/09/11 08:54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4055277?sid=101
[대통령 비판한 ‘은행 이자장사’…5대 은행 얼마나 벌었길래] 2025.07.28. 
지난해 5대 시중은행 순이자이익 38조9349억원 기록
순이익의 3배 달해…올해 은행권 이자 수익 증가 추세

<2024 각 은행의 영업이익과 순이자이익>
△KB국민은행 5조2539억원, 9조8302억원 
△신한은행 4조1668억원, 7조5871억원 
△하나은행 4조4189억원, 7조2138억원
△우리은행 4조4189억원, 6조7418억원 
△NH농협은행 3조149억원, 7조5620억원

가계대출 비중이 엄청 높을리는 없겠지만 은행들은 이득을 많이 보고 있긴 하죠.
25/09/11 09:4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주택 부채관리가 워낙 빡세서 대출 비율이 높지 않을겁니다
25/09/11 08:57
수정 아이콘
이건 연령을 같이 봐야할거 같습니다.
우리나라 결혼 평균 연령이 30 중반은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신혼부부 정의를 혼인신고 7년이내로 했다면 30후반에서 40초반이 주로 대상이겠죠.
거기에 미혼보다는 기혼이, 그리고 아이가 있는 가구일수록 자가 수요가 올가간다는 것을 보면 그리 이상한 결과도 아닙니다.
(그래서 내가 자녀 계획이 없더라도 집은 학군지로 사는게 좋습니다.)
문제는 이런 결과로 요즘 다 결혼할때는 자가에서 시작한다더라 식의 결론이 나는게 문제입니다...
아밀다
25/09/11 09:11
수정 아이콘
43퍼가 자가...? 혼인신고 안 한 부부들 포함하면 더 내려가겠죠? 
25/09/11 09:55
수정 아이콘
자게에 올리셔야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Far Niente
25/09/11 10:40
수정 아이콘
같은 자료를 봐도 해석 방향이 다른 게 재밌네요.
25/09/11 10:51
수정 아이콘
결혼할 부부들 중 평생 월세살이를 할 생각하고 결혼하는 부부의 비중은 아마 0에 가깝게 수렴하지 않을까 싶습니다.(사실 결혼을 할 생각이 없는 사람들조차도 평생 월세살이를 할 생각인 사람은 많지 않을 겁니다.) 그리고 청약이든 대출이든 내집마련을 하기 제도적으로 가장 좋은 시기는 신혼부부 시기죠.
수지짜응
25/09/11 15:10
수정 아이콘
집값 얘기할때마다 웃긴게
자기 연봉은 1억이다 1.5억이다 자랑하면서
그럼 맞벌이 부부 10년이면 10억 우습게 모을텐데

서울 외곽까지 치면 신혼부부들 아파트 사고도 남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9327 [기타] 한국 치어리더들이 대만으로 가는 이유 [43] 아롱이다롱이10448 25/09/14 10448
519326 [게임] 스파6 UFA top48 [5] STEAM3420 25/09/14 3420
519325 [스포츠] 4억 7천만원 포커대회 우승했다는 임요환 근황.jpg [27] insane9663 25/09/14 9663
519324 [음식] "우리 집안은 저주 받았다" [13] 유머8883 25/09/14 8883
519323 [유머] "아버지가 트럭운전사에 어머니는 점쟁이라고" [12] 유머8749 25/09/14 8749
519322 [유머] 고전 아재재그 세트 [24] 일사공사일육7648 25/09/14 7648
519321 [기타] 이 프린터 인쇄 속도는 얼마나 돼요? [15] jjohny=쿠마8593 25/09/14 8593
519318 [LOL] 9년이 걸린 복수 [10] 포스트시즌7586 25/09/14 7586
519317 [기타] 소소하게 채널 운영하던 서양 여행 유튜버가 올린 영상이 4일만에 2000만 조회수를 기록한 이유 [14] 매번같은11294 25/09/14 11294
519316 [LOL] 매드라이프에게 연락할 수 있게 된 비디디 [5] 라이디스7136 25/09/13 7136
519315 [LOL] 보성아, 다 컸구나. 이제 뭐 할 거야? [4] roqur6689 25/09/13 6689
519314 [유머] 처음엔 걍 피식하고 넘겼는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빡쳐서 트윗 씀.jpg [18] 동굴곰12230 25/09/13 12230
519313 [LOL] 오늘 비디디가 이긴 이유 [10] roqur7244 25/09/13 7244
519312 [방송] 합성이네 (잇섭 X 팀쿡) [6] 덴드로븀6834 25/09/13 6834
519311 [LOL] 올해 LCK 최고의 승리 세리머니 (현재까지 기준) [32] 워크초짜7084 25/09/13 7084
519310 [LOL] PGR 승부의 신 근황 [22] 하이퍼나이프6432 25/09/13 6432
519309 [LOL] 범이 내려왔다 [20] 카루오스6390 25/09/13 6390
519308 [LOL] ???: 모두가 젠지를 응원한다고? [18] 길갈6691 25/09/13 6691
519307 [LOL] 전문가 예상 근황 [15] 카루오스6078 25/09/13 6078
519305 [스포츠] 맨유 갤러리짤 리마스터.jpg [9] insane6491 25/09/13 6491
519304 [게임] 오늘로 20주년이라는 사건 [7] 인간흑인대머리남캐7181 25/09/13 7181
519303 [기타] 아이폰 카툭튀에 밀려 관심에서 멀어진 것 [4] 닉넴길이제한8자7261 25/09/13 7261
519302 [유머]  [변신]-프란츠 키프카 [10] 공기청정기5518 25/09/13 55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