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9/11 00:52:52
Name Leeka
출처 https://www.molit.go.kr/LCMS/DWN.jsp?fold=koreaNews/mobile/file&fileName=231222%28%EC%84%9D%EA%B0%84%29_2022%EB%85%84%EB%8F%84_%EC%A3%BC%EA%B1%B0%EC%8B%A4%ED%83%9C%EC%A1%B0%EC%82%AC_%EA%B2%B0%EA%B3%BC
Subject [기타] 신혼부부의 43%는 자기집, 73%는 아파트에서 산다. (수정됨)

정부 조사 자료 pdf : https://www.molit.go.kr/LCMS/DWN.jsp?fold=koreaNews/mobile/file&fileName=231222%28%EC%84%9D%EA%B0%84%29_2022%EB%85%84%EB%8F%84_%EC%A3%BC%EA%B1%B0%EC%8B%A4%ED%83%9C%EC%A1%B0%EC%82%AC_%EA%B2%B0%EA%B3%BC%28%EC%A3%BC%ED%83%9D%EC%A0%95%EC%B1%85%EA%B3%BC%29.pdf



2022년 정부에서 조사한 통계 기준


- 자기 집이 있는 가구 : 61.3%  (수도권 55.8% / 광역시 62.8% / 도 69.1%)


- 자기 집에서 사는 가구 : 57.5% (수도권 51.9% / 광역시 58.7% / 도 65.6%)






> 덤으로 보는 구간별 점유율



- 신혼 부부의 점유 형태 : 자가 43.6% / 임대 52.9% / 무상 3.5%


- 신혼 부부의 주거 형태 : 아파트 73.3% / 단독주택 10.7% / 다세대 10.5%


* 법적인 신혼 부부 기준 : 혼인신고 한지 7년 이내



- 청년의 점유 형태 : 자가 13.2% / 임대 82.5% / 무상 4.3%


- 청년의 주거 형태 : 아파트 31.3% / 단독주택 38.1% / 다세대 11.2%


* 청년의 기준 : 만 19세 이상~만 34세 미만이 가구주



- 고령의 점유 형태 : 자가 75.0% / 임대 19.8% / 무상 5.2%


- 고령의 주거 형태 : 아파트 44.7% / 단독주택 41.7% / 다세대 7.8%


* 고령의 기준 : 만 65세 이상이 가구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랑케도
25/09/11 02:36
수정 아이콘
....스고이.... ㅜㅜ
포도씨
25/09/11 06:35
수정 아이콘
이러니 결혼 자체를 포기하지...진짜 젊은세대에게 미안한 마음뿐입니다.
슬래쉬
25/09/11 06:57
수정 아이콘
* 법적인 신혼 부부 기준 : 혼인신고 한지 7년 이내
신혼의 기준이 생각보다 넓군요?
카미트리아
25/09/11 07:09
수정 아이콘
혼인 신고를 늦게 하는 추세를 고려해보면 더 넓을 겁니다
엘브로
25/09/11 07:13
수정 아이콘
신혼특공 가능한 기준이지요
25/09/11 08:54
수정 아이콘
애 낳기 전에 안 하는 부부가 태반이라 실제론 더 넓습니다
몽키매직
25/09/11 08:1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자가보유율이 전혀 낮은 편도 아니고...
어차피 상속으로 인해서 나이가 들수록 자가보유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지금 청년들이 고령이 되었을 때 비슷한 자가보유율이 되겠죠.
아니, 오히려 세대별 인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상속이 완료된 고령층의 자가보유율은 자동으로 계속 올라갈 겁니다.
20060828
25/09/11 08:31
수정 아이콘
자가라 해봤자 거의 부채 아닐까요? 집값은 대체 누가 이득을 보는건지 참...
덴드로븀
25/09/11 08:54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4055277?sid=101
[대통령 비판한 ‘은행 이자장사’…5대 은행 얼마나 벌었길래] 2025.07.28. 
지난해 5대 시중은행 순이자이익 38조9349억원 기록
순이익의 3배 달해…올해 은행권 이자 수익 증가 추세

<2024 각 은행의 영업이익과 순이자이익>
△KB국민은행 5조2539억원, 9조8302억원 
△신한은행 4조1668억원, 7조5871억원 
△하나은행 4조4189억원, 7조2138억원
△우리은행 4조4189억원, 6조7418억원 
△NH농협은행 3조149억원, 7조5620억원

가계대출 비중이 엄청 높을리는 없겠지만 은행들은 이득을 많이 보고 있긴 하죠.
25/09/11 09:4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주택 부채관리가 워낙 빡세서 대출 비율이 높지 않을겁니다
25/09/11 08:57
수정 아이콘
이건 연령을 같이 봐야할거 같습니다.
우리나라 결혼 평균 연령이 30 중반은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신혼부부 정의를 혼인신고 7년이내로 했다면 30후반에서 40초반이 주로 대상이겠죠.
거기에 미혼보다는 기혼이, 그리고 아이가 있는 가구일수록 자가 수요가 올가간다는 것을 보면 그리 이상한 결과도 아닙니다.
(그래서 내가 자녀 계획이 없더라도 집은 학군지로 사는게 좋습니다.)
문제는 이런 결과로 요즘 다 결혼할때는 자가에서 시작한다더라 식의 결론이 나는게 문제입니다...
아밀다
25/09/11 09:11
수정 아이콘
43퍼가 자가...? 혼인신고 안 한 부부들 포함하면 더 내려가겠죠? 
25/09/11 09:55
수정 아이콘
자게에 올리셔야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Far Niente
25/09/11 10:40
수정 아이콘
같은 자료를 봐도 해석 방향이 다른 게 재밌네요.
25/09/11 10:51
수정 아이콘
결혼할 부부들 중 평생 월세살이를 할 생각하고 결혼하는 부부의 비중은 아마 0에 가깝게 수렴하지 않을까 싶습니다.(사실 결혼을 할 생각이 없는 사람들조차도 평생 월세살이를 할 생각인 사람은 많지 않을 겁니다.) 그리고 청약이든 대출이든 내집마련을 하기 제도적으로 가장 좋은 시기는 신혼부부 시기죠.
수지짜응
25/09/11 15:10
수정 아이콘
집값 얘기할때마다 웃긴게
자기 연봉은 1억이다 1.5억이다 자랑하면서
그럼 맞벌이 부부 10년이면 10억 우습게 모을텐데

서울 외곽까지 치면 신혼부부들 아파트 사고도 남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20646 [유머] 인생이 40대부터 실전인 이유 [26] 이게무슨소리5053 25/11/01 5053
520644 [LOL] 8강 아웃라이어 지표 [29] 김삼관3894 25/11/01 3894
520643 [유머] 최태원 만나서도 깐부치킨 언급하는 젠슨 황 [55] 유머게시글5657 25/11/01 5657
520642 [유머] 유니티 배울 때 신경 써야하는 것 [8] 길갈2590 25/11/01 2590
520641 [스포츠] 다시 보는 LG트윈스 우승의 부작용 [13] 인민 프로듀서3956 25/11/01 3956
520640 [게임] 가로우 춘리 트레일러 [10] STEAM3535 25/11/01 3535
520639 [기타] 오늘부터 전세계 중고시장에 많이 보일 상품 [6] 일사공사일육6515 25/11/01 6515
520638 [유머] Korea's Next Industrial Revolution [16] VictoryFood5304 25/11/01 5304
520637 [동물&귀욤] 사람말 할 거 같은 하얀 이베리아스라소니 [5] VictoryFood3463 25/11/01 3463
520636 [LOL] [T1 youtube shorts] 팀이 14:5로 지고 있는데 웃고 있어요! [12] 미드나잇블루5360 25/11/01 5360
520635 [LOL] 마지막 한타 구마유시 디테일 [14] 잘생김용현5596 25/10/31 5596
520634 [유머] 의사 유튜버가 제발 피해달라는 음식 조합 [32] Davi4ever8303 25/10/31 8303
520633 [기타] 기분 좋은 해군 유튜브 채널 [11] 그10번4797 25/10/31 4797
520632 [LOL] 따거들의 천마에 대한 코멘트 [19] 아몬5629 25/10/31 5629
520631 [LOL] 그깟 제이카 좀 못하면 어떠냐(X) [12] roqur4128 25/10/31 4128
520630 [서브컬쳐] [건담]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의 생존기 2 [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401 25/10/31 1401
520629 [게임] 히로인과 조연남캐 커플링 논란 때문에 불타자 내린 결단 [13] 깃털달린뱀3406 25/10/31 3406
520628 [LOL] 너도 무거운 옷을 입고 단련했냐? [8] 투투피치3854 25/10/31 3854
520627 [LOL] T1은 월즈에서 LPL에게 지지 않습니다 [62] 카루오스6738 25/10/31 6738
520626 [기타] 젠슨황의 내한으로 밝혀진 삼성의 과거 [18] 일사공사일육5527 25/10/31 5527
520625 [유머] 가터 벨트보다 야하다는 것 [11] 똥천재5687 25/10/31 5687
520624 [기타] 젠슨 황 이재용 정의선 깐부치킨 결제 가격은 XXX만원.JPG [12] insane5408 25/10/31 5408
520623 [게임] 스파6 청두 FCC에서 뜻깊은 선물을 받은 펑크 [3] STEAM1260 25/10/31 12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