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06 11:28
(수정됨) 농담 삼아 음악은 국가가 허락한 유일한 마약이라는 말이 있는데, 게임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봅니다.
누군가에겐 스트레스 해소, 누군가에겐 도피처가 되어줄 수 있죠. 중독적인 면까지.. cf) 진지한 얘기속에 롤이 예시로 나오니 게이머로서는 웃기기도 하네요. 한만큼 받을 수 있고 통제력이 있는 곳이라니 흐흐
25/09/06 11:59
진짜로 이 방법이 본인의 자존감을 채울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라
힘든 사람들에게 많이 애용되고 있습니다.. 본인이 주도해서 기분 좋게 하는 건 힘들어도, 본인이 주도해서 기분 나쁘게 하는 건 쉽거든요
25/09/06 12:00
자기통제라기 보다는 타인에 대한 영향력을 말하는 것 같아요
갑자기 퍼플레인이 생각나네요 학창시절 집안 사정 때문에 대학 진학을 할 수 없던 친구를 보고 충격을 받았다나 뭐랬나 그래놓고 완장차고 쓰레기짓 한 거 보면 정말 입만 살은 정말 위선적인 인간이었습니다 5탈만 안했으면 지금쯤 법조인일텐데, 그때 겪었던 경험을 반면교사로 나쁜 짓 안 하고 살고 있었으면 좋겠네요
25/09/06 12:19
전 그래서 쉬운게임만 합니다
최근 플레이 한게임 창세기전 2 3 파트2 죽어라 아델룬 !!!!! 지금 하는 게임은 슈로대 2차 알파 .... 다음 할 게임은 조조전모드 아니면 진삼국오리진 .... ?
25/09/06 12:51
진짜….얘기 듣다 보면 애기들 가정환경이 파란만장해요….
폭력성이 있는 아이들 보면 가정환경이…안 좋은 케이스가 많더라고요….
25/09/06 12:55
물론 선생님이 이야기하신 집중을 하기 힘든 상황에서
개천용이 나오기는 합니다만 개인적으로 이건 개인의 특성으로 봅니다. 게임 대신 공부를 도피수단으로 삼은 것 일수도 있으니까요. 그리고 이건 각자의 개성이지 학습이라는 말로 단언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25/09/06 13:25
게임의 가장 큰 특징이 보상이 눈에 보인다는 거죠.
그래서 돈이든 시간이든 투자를 하면 그 결과를 바로 알 수 있구요. 아직 지금 투자가 나중에 돌아올 것이라는 것을 믿을 수 없는 아이들은 - 물론 어른들도 - 게임에 빠질 수 밖에 없지 않나 싶습니다.
25/09/06 14:01
제 친구가 시골학교 선생님 이었는데 반 17명 중에서 부모님이 모두 한국인이고 집에 계신 경우가 4명 밖에 없었다고 하더군요. 한부모가정이거나, 아예 조부모랑 살거나 하는 경우가 많고, 외국인어머니인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외국인 어머니인 경우 아이의 한국어 습득도 늦고, 집에서 학습을 돌봐줄만한 상황이 아니다 보니 학습능력도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고요.
+ 25/09/06 14:06
(수정됨) 누구나 인생은 고달프고 힘듭니다. 그걸 과도하게 게임으로 도피하려고 하는 걸 정당화 해줄 수는 없어요.
게임은 놀이고 현실을 직시해야죠. 선생님이라면 그걸 바로 잡으려고 노력을 해야지 후회할게 뭐가 있나요? 무슨 학원에 가는 것만이 공부인 것도 아니고 애가 그냥 게임 하려고 핑계 대는데 무슨... 애한테 정서적 충격이 간다? 그만큼 애한테 '내가 지금 잘못하고 있구나' 라는 지극히 정상적인 자극을 주고 있다는 뜻입니다.
+ 25/09/06 14:08
게임이나 무언가에 중독 되는 것은 결과입니다. 물론 별다른 시발점 없이 중독 될 수도 있지만 보통의 사람들이 이해 못하는 행동을 하는 중독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대부분 어린시절 환경이 보통 사람들과 다를 경우가 큽니다. 환경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 마을을 이루고 문화를 공유하며 성장하는게 인류가 문명을 이루며 발생한 현상입니다. 그래서 계급별, 지역별 문화가 다르게 형성됩니다.
그런데 이제 그 문화의 다름이 너무 세분화 되고 있습니다. 핵개인화의 시대잖아요. 가풍도 사라지기 일보직전입니다. 제대로 된 부모가 없는 아이, 삶이 빡빡한 부모와 사는 아이, 아예 부모 얼굴을 모르는 아이. 이런 아이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됩니다. 어른으로 부터 배워야 할 문화가 없는 아이들이 뭉치는 겁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전혀 알 수 없는, 도저히 이해 되지 않는 문화가 만들어집니다. 저 선생님들의 가슴아파하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초등학교 3학년 정도면 서로 나뉘기 시작합니다. 누군가는 나서야 하는데... 후..
+ 25/09/06 14:54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 아이들의 재능은 어디서 꽃 피울지 모르고 이 세상 살아가는 돈을 버는데 있어 학업성취가 전부는 아니니 너무 공부라는 시선에 국한시키지말자라고 또 생각해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