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29 21:19
북유럽 살면서 우울증 걸린 트윗만 올리시던 한국분 트위터가 소소하게 화제가 된 적 있는데 이유를 알겠네요...난 저런 정서에 못살것다...크크
25/08/29 21:20
나름 이해가 가다가도
대상이 어린이라고 듣는 순간 ??? 애가 미리 약속을 잡고, 시간도 고려해서 자기 먹을것도 준비해서 챙겨가야된다고?
25/08/29 22:03
아무리 그래도 저 동네를 제외한 세계 거의 모든 문명권에서 공유하는 보편적인 정서라는 것이 있는데, 저 동네만 전혀 다르다면 놀림 받을 만도 하죠. 방문한 친구에게 밥 주는 것을 법으로 시행하라고 참견하는 정도가 되면야 도를 넘은 지나친 간섭이 되겠지만.
+ 25/08/30 08:07
뭐 사실, 해당 부분은 어디에 적용해도 같습니다.
북한은 어차피 독재국가인데, 다른 나라 인권단체가 뭐라뭐라... (다른 나라에 피해 주는 거 없음) 한국은 원래 개고기 먹던 나라인데, 서양권에서 뭐라뭐라.. (역시나 다른 나라에 피해 주는 거 없음) 사실 서로 남이면 글로벌 뉴스가 필요가 없습니다 흐흐. 근데 아시다시피 이제 전세계가 하루면 갈 수 있는 시대이고, 서로 교류도 많고 하다보니, 자연스레 이런 이야기들도 있고 저런 이야기들도 있고 한거쥬 뭐. 저도 뭐 쟤들 어떻게 살든 솔직히 별 관심은 없는데, 오.. 좀 특이하네? 싶긴 합니다 흐흐
25/08/29 21:56
인류에게 보편적 관습중 하나인 접대의 관습에 반하는 이야기라... 이질적이긴 하죠
자네들 웨스테로스에 전해지는 쥐 요리사 이야기를 아는가?
25/08/29 21:58
저는 솔직히 친구 집 가는 거도 안 좋아하고 누가 우리 집 오는 것도 별로 안 좋아해서 같이 밥 먹는게 불편하다 라는 감정 자체는 충분히 이해가 되는데, 그럴거면 불편하게 밥 시간 끼고 남의 집은 왜 가지 싶은 생각이 드네요.
25/08/29 23:11
저도 남의 집 가는 것도 싫고 누가 오는 것도 싫어하지만 저 문화에 반감이 들 수 밖에 없는 게, 다른 분야가 아니고 식욕이라는 생명체의 기본 욕구에 반하기 때문이죠. 인간이라면 배가 고파오는 식사 시간 즈음에 옆에서 누가 음식 먹는 걸 보거나 냄새라도 맡으면 먹고 싶어지는 욕구가 생기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인간의 자연스러운 욕구에 대한 배려가 없으니까, 같이 식사하는 건 계획에 없던 일이고 불편하다 뭐다 하면서 여러 이유가 붙는 것 같네요. 너도 배고프겠지만 그건 니 잘못이야라는 말이지만 본질은 내꺼 나눠주기 싫다로 읽히네요. 어른이라면 무작정 방문한 니 잘못이라지만 꼬맹이한테까지 그러는 건 좀...
+ 25/08/30 07:44
속담에 x옆에 두곤 밥 먹어도 굶은 사람옆에 두곤 밥 못먹는다. 가 있죠. 이게 전세계적인 정서라 보는데 북유럽은 아무리 개인주의적이라 해도 참 특이합니다.
25/08/29 22:03
전 사실 북유럽 두분 심리에 100% 공감하고 똑같이 느끼는데, 한국에서 그러면 냉혈한 취급받기 때문에 불편함을 참고 한국인 처럼 하긴 합니다.
25/08/29 22:15
쟤네는 어찌 저러나 경악했다가 다시 곰곰히 생각해보니 저도 남의 집 가서 밥 얻어먹는 게 불편하더라고요. 반대도 마찬가지. 그냥 살면서 사회화되면서 누그러진 거였음...
25/08/29 22:23
사실 나이먹으면 퍼스널 스페이스가 점점 커지니까 이해가 가는 면이 있는데 어릴때는 그런거 없으니까 묘하죠. 퍼스널 스페이스 때문이면 초대는 왜 했는데...
25/08/29 22:29
전 부모남이 계신 친구집에 놀러가서 식사시간까지 있었던 건 초중학교때까지여서 밥은 당연히 얻어먹었습니다. 저희집에 온 친구들도 마찬가지구요. 그 시절에 놀러온 친구에게 밥을 안 준다는 건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라...
고딩때는 친구집에 갈만한 시간이 거의 없었고 대학교 이후로는 자취나 하숙집 아니면 친구집에 가질 않았고 직장인이 된 이후로는 누군가의 집에 간다는 건 대부분 식사초대라...
25/08/29 22:31
인류의 보편적 관습이라 여겨졌던 것이 그정도까진 아니었다는거죠. 특정 환경의, 특정 문화권에서의 인류 사회에선 접대 문화가 다를 수 있다.
다른 모든 지역 문화권이 다 있는데 너희는 없으니 비정상이다. 라기 보단 모든 인류 문화권이 공유할거라 생각했던 것이 잘못된 인식이었다. 라는 결과인걸로.
25/08/29 22:36
(수정됨) 뭐 바이킹들도 접대관습은 있었으니까요 크크 상당히 최근에 나타난 문화일터인데...
소위 외교관례들도 상당수는 접대의 관습 파생이거든요...크크
25/08/29 22:37
아닐 겁니다. 당장 저런 북유럽도 옛날에는 접대의 관습이 있었던 걸로 알려져 있어요. 북유럽이 저렇게 변한 건 오늘날에 들어서일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더 이상하게 취급을 받는 거구요. 옛날에는 다 있던 관습이 지금에 와서 다른 지방에는 아직도 남아있는데 저 북유럽만 없어졌으니까요.
25/08/29 22:33
오케이 친한건 내 친구지 가족이 아니고 밥먹는거 서로 불편할수 있지..아니 근데 그럼 가족공간에 놀러가는건 왜 놀러가 밖에서 둘이 만나서 놀지
25/08/29 23:33
아프리카는 몰라도 중동은 부담스러울 정도로 잘해주곤 하죠.
사막에 사는 사람들이 여행객들에게 친절한 문화가 있다고 들었습니다만.
25/08/29 23:33
(수정됨) 스웨덴 게이트가 화제가 된 것도 전 세계적으로 통용된 접대의 관습을 피하고 거부하는 지역권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찾아보기 힘든 상황서 타인에 나눠주기도 어려운 힘들고 못 사는 지역권, 국가들이면 모를까 전 세계적으로 선망받던 위치에 있던 스웨덴이란 국가서 저런 사례가 있다는 것에 대한 화제성이나 놀림감이 되었던 걸로 알고 있긴 합니다.
그리고 저 접대의 관습을 부정하게 된 뚜렷한 기점이나 이유 같은 게 두드러지거나 밝혀진 것도 없는 부분도 한몫을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25/08/29 23:39
제가 남의 집에 놀러간 상황을 상상해보면 이해가 되는데 시점을 바꿔서 우리집에 자식 친구(어린이)가 놀러왔는데 걜 방에 혼자두고 우리 가족만 밥을 먹는다고 생각하니 도저히 납득이 안가네요. 저는 문화상대주의자는 될 수 없나 봅니다.
25/08/29 23:44
저동네 물가가 원체 비싸니까 저는 저런것까지는 자기들 문화라면 이해가 가요
그런데 진짜 이해가 안가는건 친구네에서 용변보고 자기네 집에 싸가는거.... 솔직히 저는 인격모독급이라 생각했는데 걔네들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더라고요..?
25/08/30 00:37
댓글에 불편하면 집에 왜가냐라는 글이 많은데 저나라사람들은 식사시간대 친구집에 가서 그 가족들이 밥먹을동안 방에서 밥안먹고 기다리는게 서로 전혀 불편하지않다는데 왜 다른나라사람들이 이상하게 이해하고 불편해할까요
25/08/30 01:17
그나라 사람들끼리야 문화상대주의로 그들끼리 알아서 할 문제고
실제로 그동안 그들끼리 그렇게 살면서 만들어진 관습일건데 최초 화제가 된 원글은 외국인이 놀러가서 겪고 놀란 일이니까요 아마도 역사적 전통적 관습보다는 극도의 개인주의가 발현된 이후 근래에 생긴 관습 같은데 특히 외국인들뿐아니라 그나라 사람이라도 아이들 같은 경우는 선택권이 없는 문화적 관습이 강제 되는 것과 마찬가지라 다른나라에서도 그 타당성에 대해 충분히 왈가왈부 할수 있는 일입니다
25/08/30 01:22
(수정됨) 제3자가 다른나라 문화가지고 불편해할수있는데 그들끼리는 불편한게 없다는데 왜자꾸 불편한데 친구집에 가냐라는 말을 그들한테 하냐구요
25/08/30 01:36
그게 제3자 입장에서 따지는 타당성인거죠
뭐 이해하자면 식사는 다른 가족과 같이 해야하는 거고 노는 건 친구방에서 따로 하는 거니 개인주의가 심하면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이것도 저 나라 성인들 기준인거고 그래도 북유럽 생활 수준이면 외국인이나 아이들은 따로 차려주는 수고정도는 해줄 수도 있지 않나 싶죠
25/08/30 02:44
(수정됨) 저는 "불편한데 집에 왜가냐"라는 댓글 쓴 분들한테 한말이고 저문화자체에 불편하고 타당성 따지는 분들한테 한말이 아니에요.
북유럽사람들끼리 밥안차려줌 -이해함 북유럽 친구한테 밥안차려주는거 제3국사람입장에서 솔직히 이해안감 -이해함 북럽사람한테 불편한데 친구집에 왜가냐 -이해못함. 본글에 북유럽인이 오히려 친구집에 갔는데 밥차려주면 본인은 불편하다라는 인터뷰를 잘못 이해한 글이 보여서 댓글단겁니다.
25/08/30 01:05
저건 분명 기후 환경에 의한 기저 원인이 있을 겁니다.
대부분의 문화가 손님을 환대하는것은 좀 냉정하게 말하면 그게 더 진화적 이점이 있기 때문이거든요.
25/08/30 03:32
기후도 애매한 게
에스키모나 유목민들처럼 척박한 환경에 사는 사람들이 손님에게 더 후한 대접을 하는 문화가 훨씬 보편적인 거거든요. 본인들도 낙오하거나 해서 도움이 필요할 수가 있다는 정서가 기저에 깔려있다고 하구요. 오히려 2차대전 때 독일에 의한 지배와 물자부족이 배경이고 잘 발달된 개인주의와 복지정책이 이걸 더 가속화하지 않았을까 생각하네요.
+ 25/08/30 07:22
미취학 아동이나 초저학년들은 에너지 사이클도 빠른데
밥은 안 준다 치고 간식도 안 줄까요? 어른 커피도 한 잔 안 주는 걸까요?? 맥심 가져가야 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