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8/26 21:19:00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250.3 KB), Download : 19
출처 이종격투기
Subject [유머] 중산층의 상징이였다 VS 그 정도는 아니였다


중산층의 상징이였다 VS 그 정도는 아니였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웁챠아
25/08/26 21:22
수정 아이콘
제가 뭔지도 모를정도니까 중산층 맞는것같습니다..ㅠㅠ
25/08/26 21:26
수정 아이콘
전축
요즘걸로는 스피커 일까나요?
Janzisuka
25/08/26 21:23
수정 아이콘
어릴때 애들 오면 구경하긴 했어요 매번
25/08/26 21:30
수정 아이콘
어머니가 골드스타 풀셋 사셨었는데
가지고나 있을걸 ㅠㅠ
스타나라
25/08/26 21:30
수정 아이콘
거실을 장식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니까 중산층의 상징이 맞지 않았나 합니다.
전축 이라고 불렀었죠.
라디오를 켜기도 하고, 카세트테이프를 켜기도 하고, 2000년대 이후에 출시된 세트에는 DVD 플레이어도 세트로 들어가곤 했습니다.
(그게 전축에 들어갈 셋트냐? 는 차치할 문제...)
사용하지도 않고 들고 돌아다니는것도 아니지만 거실 한가운데를 차지하던 물건이니, 중산층에 진입했다는 "증명"을 하기위한 사치품으로는 재격이 아니었나 합니다.
밀로세비치
25/08/26 21:44
수정 아이콘
예전 92년도에 아파트 이사가면서 전축 풀세트를 구입하셨던 기억이있네요 브랜드 이름을 기억하고 싶은데 기억이 안나네요...
25/08/26 21:46
수정 아이콘
저희집은 에로이카
짜부리
25/08/26 21:48
수정 아이콘
아남
아우구스티너헬
25/08/26 21:49
수정 아이콘
저희집은 아버지가 일본에서 사오신 소니
어머니가 혈압올라서 몸져누우셨던 기억이..
에스콘필드
25/08/26 21:56
수정 아이콘
중산층의 상징이었죠~
Jedi Woon
25/08/26 22:04
수정 아이콘
장비뿐만 아니라 장식장과 그 장식장을 놓을 공간이 있어야죠. 중산층 이상은 맞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5/08/26 22:07
수정 아이콘
중산층 기준이 너무 높은....
마도로스배
25/08/26 22:13
수정 아이콘
90년대 중반이네요
전축, 녹즙기, 팬티엄컴퓨터
어떤 느낌인지 압니다
자가용은 살수없지만
지금의 명품 립스틱 같은
너도나도 구매하던 제품들
25/08/26 22:34
수정 아이콘
새삼 아버지께서 정말 열심히 일하셨구나 싶네요.. ㅠㅠ
25/08/26 22:39
수정 아이콘
정작 제가 제일 많이 썼네요.
엑세리온
25/08/26 22:41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집 이사갈때 인텔 갖고 갔어야 했는데 ㅠ
안군시대
25/08/26 22:50
수정 아이콘
서민들이 사기에는 부담스러운 비싼 물건이었죠. 집에 그만한 공간도 있어야 하고요. 서민들은 그냥 카세트라디오 하나 정도로 만족..
에이치블루
25/08/26 23:08
수정 아이콘
"전축"
당근케익
25/08/26 23:35
수정 아이콘
고장낼수 있다며 만지지도 못하게 하고
정작 아버지는 잘 듣지도 않는데
다시마두장
25/08/27 00:29
수정 아이콘
저희집이 딱 인켈오디오를 썼는데 당시 나름대로 자부심이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
tomsaeki
25/08/27 02:21
수정 아이콘
가난한 집인데 풀셋 있었습니다. 저걸로 hot 테이프 사다 틀던 기억이..
가치파괴자
25/08/27 03:16
수정 아이콘
중산층이여? 부자가 사는거 아니었나영?
자가타이칸
25/08/27 08:23
수정 아이콘
전축이 부자의 상징인건 70, 80년대
쵸젠뇽밍
25/08/27 08:45
수정 아이콘
어릴 때도 대체 저렇게 클 이유가 있나 싶었었습니다. 디자인을 위해 굳이 기계들을 분리해서 여러개 놓은 느낌.
저희 집은 라디오, 테이프, CD, LP판에다가 TV, 비디오까지 다 사용해서 꽤나 쏠쏠하게 사용한 집이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한 느낌.
아케르나르
25/08/27 08: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음... 저희집 반지하 살 때(86,7년)도 있었던 거 보면 중산층의 상징까지는 아니었던 거 같아요. 그냥 당시 필수 가전 중 하나? 정도. 아버지가 딱히 오디오쪽으로 깊게 파지도 않으셨거든요. 그냥 조용필이나 트로트 가수들 LP 십여개 집에 있는 정도였고, 그걸로 가끔 LP 들으시거나 라디오 듣는 정도? 좀 시간이 자나서는 CDP(휴대용 아님)랑 LDP(레이저디스크 플레이어)도 사셔서 집에 두셨던 기억이 있네요. 역시 잘 쓰지는 않으셨고요.
25/08/27 08:52
수정 아이콘
아버지가 롯데꺼 샀었나...사고 나서 어머니에게 없는 살림에 이거 살 정신머리는 있네 이러고 무지막지하게 욕먹었던 기억이 있네요.
25/08/27 09:39
수정 아이콘
80년대 후반에 샀었는데, LP는 사은품으로 준 무슨 행진곡 한 두 번 들어보고 말고,
주로 당시 라디오에서 나오는 노래 녹음하기위해 잘 사용했네요.
포도씨
25/08/27 12:00
수정 아이콘
인켈...제가 처음으로 주식에서 상폐를 경험한 종목이네요. 해태전자... 잘 있니? 내 두달치 월급아~
25/08/27 14:59
수정 아이콘
80년대는 중산층 혹은 부의 상징 맞는데 90년대는 꽤 대중화 됐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8948 [유머] SK하이닉스 직원들 근황.jpg [58] 핑크솔져10401 25/09/02 10401
518947 [방송] 왕건때 사망 썰푸는 김갑수 [11] 카루오스7235 25/09/02 7235
518946 [연예인] 지진희와 혈액형 [6] 그10번5491 25/09/02 5491
518945 [유머] 다시 만나게 된 조선 왕들 [108] 길갈8384 25/09/02 8384
518944 [유머] 역사학자 18명이 모여서 아무말대잔치 하는 영상 [10] Davi4ever5647 25/09/02 5647
518943 [기타] 은마아파트 재건축 확정 [57] 롤격발매기원10014 25/09/02 10014
518942 [방송] 본방보다 더 재밌다는 개그프로 [8] 빼사스7115 25/09/02 7115
518941 [기타] 같은 미소녀인데 허벅지 때문에 장르가 달라짐 [26] 묻고 더블로 가!10401 25/09/02 10401
518940 [게임] poe2 접어서 응원하자 [36] 모르면서아는척함7258 25/09/02 7258
518939 [방송] 부잣집 여친과 사귄 백수 남자의 최후.jpg [18] VictoryFood12233 25/09/02 12233
518938 [유머] 딸가진 미국 아빠들이 케더헌을 유난히 좋아하는 이유 [7] VictoryFood9307 25/09/02 9307
518937 [유머] 개방이 정보를 취급할 수 있는 이유 [27] VictoryFood10761 25/09/01 10761
518936 [연예인] 이병헌 아들의 선천적 플러팅 [31] VictoryFood10485 25/09/01 10485
518935 [유머] 당사자 면전에 박아버리는 미친 질문 [4] brpfebjfi10600 25/09/01 10600
518934 [게임] (약후) 역대급 피부 표현으로 난리 난 니케 신규캐릭터 [32] 묻고 더블로 가!11522 25/09/01 11522
518933 [서브컬쳐] [슈로대 Y] 아니나 다를까 역시나 그분다운 등장방법(스포일러) [10] 된장까스4799 25/09/01 4799
518932 [기타] 한국 전쟁에서 만나서 결혼한 미군 남자와 한국인 여자의 52-53년 사진 [36] 매번같은9969 25/09/01 9969
518931 [게임] 총을 쓰는데 왜 이렇게 밀리는 거지!? [19] 공기청정기8094 25/09/01 8094
518930 [유머] 오늘 맛있게 드셨나요? [20] 로켓8590 25/09/01 8590
518929 [기타] 94년~25년 역대 8월 서울 기온 통계 [67] 길갈8592 25/09/01 8592
518928 [유머] ??? : "한국이야말로 진정 위대한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24] Davi4ever10045 25/09/01 10045
518927 [음식] 진순, 진매 말고 진약 주세요 [55] VictoryFood8981 25/09/01 8981
518926 [유머] 한국에 놀러온 일본인들이 걸리는 함정카드 [25] 카루오스10033 25/09/01 100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