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8/25 20:42:31
Name 인간흑인대머리남캐
출처 늬우스
Subject [기타] ???: 영화음악은 걸작이 될 수 없어


https://www.yna.co.kr/view/AKR20250825041300009?input=tw
"죠스·스타워즈 음악 만든 거장의 고백 "영화음악 안 좋아해"

는 존 윌리엄스

대표작: 영상 참조

영화 음악은 비지니스라서 만든 거임.. 하셨는데 영화음악으로

아카데미 5회, 골든글로브 4회, 그래미 21회 수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한화우승조국통일
25/08/25 20:45
수정 아이콘
??? : 추리소설은 걸작이 될 수 없다고!
아이군
25/08/25 20:45
수정 아이콘
25/08/25 20:47
수정 아이콘
영화 음악 작곡가 중에서는 존 윌리엄스, 게임 음악 작곡가 중에서는 제레미 솔을 제일 좋아했습니다.
(여자)아이들
25/08/25 20:58
수정 아이콘
아쿠아리움 가면 아직도 죠스 브금 틀어줌
그말싫
25/08/25 21:02
수정 아이콘
뜻하는 바에 대해서는 동의합니다.
영화 음악은 쓰인 맥락과 내러티브가 엮이면서 듣는 사람에게 주는 특별함 같은 게 생겨서 순수 음악 자체로 평가하기가 어렵죠.

케데헌 노래도 그냥 어떤 아이돌의 노래였다면 빌보드 줄세우기를 했을까 싶으면 답은 당연히 절대로 그럴리 없다죠.
밥과글
25/08/25 21:10
수정 아이콘
근데 또 저렇게 파고들면 공연의 열기도 가짜고 오로지 음악만 평가되야 하니 나는 앨범 녹음 외에는 어떠한 활동도 용납하지 않겠다던 그 분 정도까지 가야하는 거라 크크
엘제나로
25/08/25 21:12
수정 아이콘
앨범도 가수의 특별함이 있으니 팔리는거 아닌가요 크크크
파라슈
25/08/25 23:18
수정 아이콘
녹음도 기술적인 제한 위에 연주가 올라가야 하니, 라이브만이 진정한 음악이죠. 마이크도 써서는 안되죠. 연주 공간도 좌우 밸런스가다르니 연주가가 지정한 특정 장소만이 진짜죠..라고 계속 물고들어가면 끝이없게 되어서...
웜뱃어택
25/08/25 21:23
수정 아이콘
부끄럽지만 옛날에 이양반이 기타리스트 존 윌리엄스랑 동일인일 줄 알고 와 작곡과 연주 양쪽에서 미친 재능이구나 했었는데 알고보니 흔한 학창시절 멍청이슈였던...
안군시대
25/08/25 21:40
수정 아이콘
선생님이 그렇다고 하시면 그런거죠. 반박불가..
사이먼도미닉
25/08/25 23:29
수정 아이콘
대중 가수는 어느 정도 거장의 반열에 오르면 자기 맘대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는데 영화 음악은 그게 아닐테니까요

어디까지나 영화 감독 아래에서 음악 파트를 맡는 거니 끝까지 클라이언트에게 맞춰 주는 비즈니스 마인드일 거 같기도 합니다
25/08/26 07:44
수정 아이콘
소위 말하는 종속된 입장이니까요.
근데 존님이랑 엔니오님은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됩....
25/08/25 23:51
수정 아이콘
지금은 클래식 걸작으로 평가 받는 오페라 음악도 당시에는 지금의 영화 OST 나 마찬가지 아니었을까요? 실내악곡들은 카페에서 틀어주는 무드음악이나 BGM 이었을테고.
handrake
25/08/26 09:34
수정 아이콘
왈츠는 클럽에서 나오는 댄스음악이었을거고....
캡틴에이헙
25/08/26 09:41
수정 아이콘
이 말씀이 거의 사실을 묘사한 것일 거라 생각됩니다.
25/08/26 10:38
수정 아이콘
그당시 클래식 포지션은 교회 음악인가요? 뭐가 클래식이었을지...
25/08/26 10:48
수정 아이콘
조금 다르긴 합니다. 오페라는 차라리 현대의 뮤지컬과 유사하다고 보는 것이 맞구요. (사실상 뮤지컬은 오페라가 조상이기도 하죠.) 쇼 비즈니스적 측면에서 진짜 종합예술입니다. 무대, 연출, 의상, 음악이 다 되어야 하니까요. 그리고 오페라는 갈라 콘서트라는 장르가 있긴 하지만 여전히 상연을 전제로 연주됩니다.

차라리 영화 OST 에 가까운 것은 극음악 쪽 장르가 있습니다. 이쪽은 연극은 모르겠고 연주만 되죠. 그래서인지 지금까지 걸작으로 평가받는 작품들이 적긴 합니다. 대표작으로 멘델스존의 "한 여름밤의 꿈"이나 그리그의 "페르귄트" 입니다. 아마 모음곡 형식이 더 유명할텐데 극음악 전곡을 녹음한 음반도 있습니다. 베토벤의 "아테네의 페허" 같은 작품도 있긴 하네요.

실내악곡의 번역은 Chamber Music 이니 어느 정도 설명하신 부분은 맞습니다. 바로크 시대에는 아무리 커도 오페라를 제외하면 기악곡은 거의 다 귀족이나 왕족의 저택이나 궁에서 연주될 것을 고려해서 작곡되었습니다. 혁명기 이후에는 시민(정확히는 부르주아)들을 위한 음악회가 극장 수준에서 연주되어야 해서 오케스트라 음악이 발전한 것이구요. 반대로 실내에서는 피아노나 현악4중주 정도 규모로 연주하는 것이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는 셈입니다. (결혼식만 해도 피아노 아니면 잘 해봐야 현악 4중주니까요.)

이와 별개로 존 윌리엄스타 엔니오 모리코네 같은 경우는 순수 클래식 음악들도 작곡했습니다. 협주곡들도 좀 있구요. 그리고 그들의 영화음악은 이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합니다. 저 두 단체가 연주한다는 것은 정규 클래식 음악으로 편입되었다고 봐도 되겠죠.
약설가
25/08/26 08:30
수정 아이콘
???? : 셜록 홈즈는 심심풀이로 써본 별거 아닌 작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8872 [유머] 그분의 목소리 [2] DogSound-_-*6117 25/08/30 6117
518871 [유머] 논란의 AI 이용방법 [7] 1237645 25/08/30 7645
518870 [기타] 저출산에 신음하던 일본의 고심끝 정책.jpg [54] 굿럭감사13490 25/08/30 13490
518869 [게임] [서바이빙 마스] 화성가서도 여전한 화성 평면론자. [5] K-DD6701 25/08/30 6701
518867 [게임] 그 이름 달고 그런소리 하지마... [2] 공기청정기7609 25/08/30 7609
518866 [동물&귀욤] 혼자 사는 2-30대는 개 키우지 마세요 [123] VictoryFood11856 25/08/30 11856
518865 [유머] 현대미술 같은 시계 [1] 길갈6734 25/08/30 6734
518864 [유머] 드래곤라자계층)세이크리드 랜드 [7] roqur6182 25/08/30 6182
518863 [기타] (후방주의) 레이싱 모델 피지컬 체감 [33] 묻고 더블로 가!14787 25/08/30 14787
518862 [서브컬쳐] 햄탈워 새 군주 설명 = 지루하고 현학적임 [5] Lord Be Goja6088 25/08/30 6088
518861 [유머] 일본정부 인증 여행하기 좋은 소도시 [42] EnergyFlow10765 25/08/30 10765
518860 [서브컬쳐] 네이버 신작 학폭 일진물 웹툰 [18] 카미트리아8872 25/08/30 8872
518859 [유머] 도요토미 히데요시 동상, 일본서 목 절단된 채 발견 jpg [27] Myoi Mina 9120 25/08/30 9120
518858 [유머] 02345678을 세글자로 표현하면 [7] 일사공사일육7236 25/08/30 7236
518857 [기타] 인터넷 밈 리액션 유튜버의 잔재주 [26] 껌정10075 25/08/30 10075
518855 [기타] 이거 안하면 공무원이 찾아옵니다 [28] VictoryFood11685 25/08/30 11685
518854 [서브컬쳐] 새로운 서바이벌 영화 프로모션 [8] 빼사스6950 25/08/30 6950
518853 [방송] 진짜 미국 경찰 처럼 생긴 아저씨.jpg [4] insane8927 25/08/30 8927
518852 [기타] 의외로 한국 밖에서는 여전히 잘팔린다는 자동차 브랜드 [30] 깃털달린뱀10625 25/08/30 10625
518851 [게임] 아래의 원신은 돈벌 생각이 있는거야?와 같이보면 좋은것 [15] 꿈꾸는드래곤8817 25/08/29 8817
518850 [게임] 오늘 원신 공식방송에서 나온 화제의 발언 [34] 묻고 더블로 가!9383 25/08/29 9383
518849 [유머] 돈까스계의 영원한 대결 [21] 길갈9855 25/08/29 9855
518847 [기타] 매장의 불을 끄기 전에 일탈 [7] 김삼관9207 25/08/29 92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