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7/30 09:23:21
Name 롤격발매기원
File #1 198589773d6593c56_1.jpg (66.1 KB), Download : 204
출처 https://www.reuters.com/legal/litigation/australia-adds-youtube-social-media-ban-children-2025-07-29/?utm_source=chatgpt.com
Subject [기타] 호주, 16세 미만 청소년의 유튜브 계정 소유 전면 금지


오는 12월부터 시행 시작



이밖에도 인스타그램, X, 틱톡, 페이스북, 스냅챗 등도 규제 대상



이번 조치는 해당 서비스들의 청소년 대상 유해 콘텐츠 노출이 최고 수준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에 따른 것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30 09:30
수정 아이콘
아... 이건 찬성하는데 반대합니다
깃털달린뱀
25/07/30 09:33
수정 아이콘
와우 세네요...
유튜브나 틱톡 같은 건 그냥 계정 없이 볼 것 같은데 다른 소셜미디어는 타격이 있겠군요
츠라빈스카야
25/07/30 13:54
수정 아이콘
틱톡 요즘 그냥 봐지나요? 예전에 (모바일 기준) 아이디 없이 그냥 구경만 하다가 언젠가부터 로그인 요구해서 그냥 지워버렸었는데...
슬래쉬
25/07/30 09:38
수정 아이콘
쓰레기가 올라오는걸 막을 수 없다면
이게 그나마 조금이라도 보호하는 방법일지도..
메가트롤
25/07/30 09:38
수정 아이콘
전부터 느끼는 건데 여기는 정책 정말 노빠꾸네요.
타카이
25/07/30 09:40
수정 아이콘
유튜브 키즈는되지만 그냥 유튜브만 차단
덴드로븀
25/07/30 09:44
수정 아이콘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2010001179
[“중대 범죄 저지르면 10살도 종신형”…호주 퀸즐랜드 법 개정] 2025. 04. 02.
주정부 "나이 상관 없이 성인 범죄에는 성인 처벌"
"가혹한 처벌, 범죄 억제한단 증거 없어" 비판도

<캐서린 헤이스 청소년 옹호 센터 대표>
"다른 주의 촉법 소년은 14세인데 반해 퀸즐랜드는 10세지만, 청소년 재범률은 가장 높다"고 비판했다.
카마인
25/07/30 09:49
수정 아이콘
옳게 된 법 집행 . .
우상향
25/07/30 09:44
수정 아이콘
만16세면 이미.. 만12세가 적당한 듯..
타카이
25/07/30 09:46
수정 아이콘
또래집단 영향을 많이 받는 청소년기가 저정도라 그렇죠
자살율이 높은 나이대가...
우상향
25/07/30 10:09
수정 아이콘
유해 콘텐츠라길래 호환,마마 계열만 생각했네요.
자살 영향 생각하면 16세가 적당하네요.
25/07/30 09:55
수정 아이콘
심하네요.. 만12세 정도면 그럴수도 있겠구나 싶지만
덴드로븀
25/07/30 10: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4112916542187473
[호주서 16살 미만 SNS 금지법 통과…"괴롭힘 방지 vs 고립 심화" 논쟁 계속] 2024.11.29.
온라인 괴롭힘 뒤 아동 연이은 자살로 경각심 커져…고립 청소년 온라인 통한 도움 차단 우려도

2024.9 : 소셜미디어를 통한 괴롭힘으로 시드니 학교 재학중이던 12살 소녀 샬럿 오브라이언이 자살
2024.10 : 브리즈번 학교 재학 중이던 12살 소녀 엘라 캐틀리크로포드가 자살

그외 최근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해 자살한 호주 어린이: 해미쉬 카터, 아트레유 맥캔 등

최근 몇년간 SNS 로 인한 괴롭힘으로 10대 학생 자살이 자주 발생하면서 더 극악처방이 필요하다고 생각중인 나라라서 가능한거라고 봐야겠죠.
모링가
25/07/30 10:03
수정 아이콘
이성적 판단을 위해서는 유예를 배워야 하는데 생명은 생존을 위해 정확성보단 빠른 판단을 중요시하도록 설계되어 있죠. 원시적 본성에 거스르는 훈련을 해야 하는데 자극적인 매체들은 나이무관 마약이나 다름없죠.

추천하는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DQ9esVby1w
달달한고양이
25/07/30 10:05
수정 아이콘
이런 거 보면 딱히 유교드래곤 이런거랑 상관없나 싶기도 하고…
평온한 냐옹이
25/07/30 11:33
수정 아이콘
호주애들이 서양애들중에 가장 보수적인 편이긴 합니다.
시니어(노년층)에대한 존중은 호주>>>>>>>>>>>>>한국이라고 생각해서 유교는 그냥 과거의 잔해정도라고 봅니다.
달달한고양이
25/07/30 12:25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전혀 몰랐던 사실이네요 감사합니다
25/07/30 10:08
수정 아이콘
법은 실행 되는데 실제로 저걸 어떻게 적용할지 궁금하네요. 법안 통과할때도 뉴스에서 의원들에게 어떻게 적용할건지 물어봤을때 뚜렸한 답을 못 냈던걸로 기억하는데요.
벌점받는사람바보
25/07/30 10:12
수정 아이콘
뽑기도 좀 어떻게 안되나
소와소나무
25/07/30 10:13
수정 아이콘
성인도 도구에 휘둘리는 세상이라. 이건 좀;; 하다가도 이해가기도 하네요.
25/07/30 10:14
수정 아이콘
sns가 많이 문제 되긴할 것 같아요. 애초에 다 자라지 못한 애들한테 너무 편향적인 사고를 주입해서.
어르신이나 청년들도 보던것만 계속 보고 그쪽으로 사고가 완전 굳어버리던데.
25/07/30 10:26
수정 아이콘
매체가 자정하지 않는다면 법이 고삐를 매야겠죠. 일단은 찬성입니다.
25/07/30 10:27
수정 아이콘
단순히 컨텐츠들이 아니라 알고리즘에 따른 필터버블이 더 큰 문제 같아요. 키즈는 안 막는거 같으니 저는 맞는 정책이라 생각합니다.
25/07/30 10: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만화와 게임등에 대한 문화 검열과 탄압을 계속해서 봐왔던 만큼 현재 서구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SNS 제한 움직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하는건지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이게 만화나 게임에 가까운건지 담배나 술 같은 종류로 받아들여야 하는건지...
순둥이
25/07/30 10:38
수정 아이콘
저도 찬성이요
날개를주세요
25/07/30 10:49
수정 아이콘
sns가 청소년에 유해하다는걸 부정하기보다
이런식으로 단순하게 사용금지 하는 법안이 특히 네트워크상으로 이뤄지는 일에서는 효용성이 떨어진다는걸
우리는 게임 셧다운제나 야동사이트 폐쇄 같이 무의미한 제재를 통해 많이 봐서 갸우뚱 하는거겠죠
25/07/30 11:00
수정 아이콘
현지 언론에서도 이걸 어떻게 실행하는지에 대해서 질문이 나왔었고 법안 입안자둘이 뚜렸한 대답을 못했던걸로 기억하는데 말이죠....
그냥적어봄
25/07/30 11:05
수정 아이콘
규제 결과가 긍정적이면 우리도 바로 따라해야죠. 사실 성인에게도 어느정도 확대적용해야한다고 믿네요
Rorschach
25/07/30 11:48
수정 아이콘
실제 효용성이 있으냐와는 별개로, 유투브 요즘 꼬라지 보면 그냥 성인사이트 미성년자 접속제한 하는거랑 큰 차이 없다봅니다. 사이트가 성인컨텐츠 취급받기싫으면 관리를 해야하는데 안하죠...
25/07/30 12:16
수정 아이콘
계정 소유가 금지라는 것이 무슨 뜻인가요? 계정이 없어도 유뷰브 보는 것은 문제 없지 않나요? (광고가 귀찮기는 하지만)
사부작
25/07/30 13:51
수정 아이콘
십대 끼리 인스타 서로 비교하고 그런 건 줄겠죠
25/07/30 14:21
수정 아이콘
계정 금지 = 개인화된 알고리즘 영향을 안받게 됨

으로 생각하면 차이가 꽤 있습니다. 

내 계정으로 보면 알고리즘으로 나오는게 바뀌니깐..
지니팅커벨여행
25/07/30 14:0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도 빨리 도입되면 좋겠습니다.
아이들 키우다 보면 진짜 저런 제한이 꼭 필요할 때가 참 많습니다.
"아빠도 어쩔 수 없단다. 법이 그런 걸 어떡해" 이 말 하나면 다 해결될텐데, 감정 상하거나 문제 생기는 상황이 너무도 자주 일어나거든요.
SNS와 유튜브, 인스타 등이 미치는 악영향이 정말 큼을 거의 매일 같이 느끼는 요즘이네요.
사부작
25/07/30 17:28
수정 아이콘
그런 심정 말하면, 아이 한 번도 안 길러본 사람들이 부모 자격 없다는 소리 하더라고요.
25/07/30 14:20
수정 아이콘
인류문명은 SNS에 대한 답을 찾지 못했죠, 저는 답을 찾는다면, 또는 답이 도출된다면 그게 인류문명의 스텝업이 될거라 봅니다. 그 방법이 어떤 수단에 의한게 될지는 미지수이지만요.

지금은 이런 거라도 해봐야 한다고 봐요. 영화/TV(aka 바보상자) 시절만 생각하면 더 늦어질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7846 [LOL] 신챔 유나라 깎는 노인이 되어버린 김삼관557 25/07/31 557
517845 [기타] 소니 애니 <GOAT> 공식 티저 예고편.MP4 [2] 실제상황입니다500 25/07/31 500
517844 [방송] 총알탄 사나이 로튼 점수 [4] 롤격발매기원2439 25/07/30 2439
517842 [게임] 발도술의 새로운 길을 연 브더2 [17] 묻고 더블로 가!3234 25/07/30 3234
517841 [서브컬쳐] 세계 최초 코스프레를 당한 남자 [6] 일사공사일육4633 25/07/30 4633
517840 [음식] 중독에서 벗어나 건강하기위해선 이것들을 끊어야해요 [44] 유머5735 25/07/30 5735
517839 [유머] 우리 중 하나는 지금 인내심을 발휘하고 있군.. [2] v.Serum3710 25/07/30 3710
517838 [게임] 스파6 한국 월드워리어 2회차 하이라이트 [1] STEAM977 25/07/30 977
517837 [유머] 기아 이브이3 [8] 껌정3176 25/07/30 3176
517836 [스포츠] 현재 베트남에서 김상식 감독 위상 [34] Croove7139 25/07/30 7139
517835 [음식] 의외로 건강에 제일 안 좋은 술 [27] 로켓5613 25/07/30 5613
517834 [기타] 새로운 전송방식 개발중 [15] Lord Be Goja6182 25/07/30 6182
517833 [스포츠] 양궁 단체전 역사상 최강의 팀 [16] Croove5791 25/07/30 5791
517832 [기타] 기차에서 만난 아저씨 [15] 길갈6028 25/07/30 6028
517831 [게임] 렛츠고 저스틴 [28] STEAM4152 25/07/30 4152
517830 [기타] 제네시스(자동차)의 위엄 [30] Croove6437 25/07/30 6437
517827 [서브컬쳐] 마트 신작 여아용 게임기 최대 진입장벽 [8] 일사공사일육4453 25/07/30 4453
517826 [유머] AI한테도 통하는 가불기 [16] 롤격발매기원4903 25/07/30 4903
517825 [유머] 한국 웹상에서는 이해 안가는 일본의 참이슬 인기. [80] 캬라6946 25/07/30 6946
517824 [기타] 다음 중 벼과 식물이 아닌 것은???? [56] 포졸작곡가4591 25/07/30 4591
517822 [스포츠] 인도,중국,우즈벡 양궁팀 예천으로 전지훈련 [17] Croove4118 25/07/30 4118
517821 [기타] 호주, 16세 미만 청소년의 유튜브 계정 소유 전면 금지 [35] 롤격발매기원6057 25/07/30 6057
517820 [기타] 요즘 핫하다는 대륙의 핸드폰 [18] Lord Be Goja7485 25/07/30 74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