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7/17 22:23:31
Name Kaestro
File #1 donkeykong_bananza.jpg (64.5 KB), Download : 176
출처 https://www.metacritic.com/game/donkey-kong-bananza/
Subject [게임] 또 너네냐 닌텐도


동키콩 바난자가 시원하게 메타크리틱 91점으로 포문을 열었습니다.

솔직히 pv만 봐도 갓겜의 냄새가 물씬 나긴 했는데 말이죠

이번 주말에 달려볼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looming
25/07/17 22:33
수정 아이콘
소신발언 하자면 닌텐도 게임은 메타에서 몇 점 빼고 생각합니다. 평론가들이 닌텐도 게임에는 후하게 점수를 주는 경향이 있다고 봐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7 22:45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그 점수급의 게임이 뭐잇나.. 꼽아보면 별루 없드라구여
유미즈카사츠키
25/07/17 23:39
수정 아이콘
그런식으로 따지면 소니 독점게임 특히 3인칭 어드벤처도 그렇고 인디게임들도 그렇고 아틀라스게임도 그렇고 끝이 없어요.
웸반야마
25/07/17 23:56
수정 아이콘
수백 수천명의 평론가들이 한결같이 닌텐도에 후한것 보다는
선생님 한분이 닌텐도게임을 안좋아한다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게임회사의 게임들을 몇세대에 걸쳐 후하게 점수를 줄 이유가 전혀 없어보이는데요
모래알
25/07/17 23:58
수정 아이콘
저도 개인적으론 바난자 닌텐도 겜 아니었으면 80점대였을 것 같은 느낌이..
그말싫
25/07/18 00:09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저는 닌텐도 게임은 -10점 정도 빼서 보고 인디게임은 -5점 정도 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특히 퍼즐류나 기발한 기믹을 위주로 한 게임에 대해서 평균 점수가 너무 높게 형성된다고 느낍니다.
평론적으로 풀어내기 좋은(쉬운) 방향성이라 더욱 그런 것 같기도 하고요.
티아라멘츠
25/07/18 00:15
수정 아이콘
취향 성토 장소가 되니 말인데
그러면 저는 무비라이크(데스 스트랜딩 같은 것)나 예쁜 RPG 게임(씨오브스타즈), 비프롬 소울류(피구라, 카잔 등)는 10점씩 빼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말싫
25/07/18 00: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 취향에 따라 가점, 감점을 주면서 보는 거야 당연하지만 전 제 취향에 따라 점수를 주고 빼는 게 아니라 특정 게임군의 점수가 다 높게 나오는 현상이 있는 것 같다고 말하는 겁니다. 저도 닌텐도 게임 좋아합니다, 항상 신박한 느낌을 주는 게 하나씩은 있다 보니...
다만 닌텐도 게임이면 대부분 85~90에 안착하니 이게 변별력이 있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고요. 주요 프랜차이즈부터 루이지맨션이니 커비니 그냥 모조리 85~90이죠.

반면 말씀하신 소울류 게임들이야 메타 60점대 게임도 수두룩이고... 그런 게임들보다 피구라, 카잔은 확실히 나은 면이 있으니 지금의 80점이 후한 점수인가는 잘 모르겠네요.
무비라이크는 그것이 무엇인지 좀 토론이 필요할 거 같네요, 1인칭 액션 어드벤쳐라면 이 쪽도 딱히 대부분 고평가를 받지는 않고요.
씨오브스타즈 부분은 동감합니다, 인디x도트 그래픽 조합 가산점 있다고 저도 느낍니다, 체인드에코즈라던가...
티아라멘츠
25/07/18 00:43
수정 아이콘
저는 그 작품들 피구라, 카잔 싸그리 70점대 주고 싶어서 그래요. 데스 스트랜딩1도 이게 고티급인가 하면 그다지라고 생각하고..
Janzisuka
25/07/18 00:24
수정 아이콘
....닌텐도...창세기전 회색의 잔영...시무룩
운악산 날다람쥐
25/07/18 02:37
수정 아이콘
전 개인적으로 메타쪽에서 보면 거품 제일 많이낀 장르는 소울류라고 생각합니다...
그다음은 헐리우드 스킨씌운 컷신위주의 외길진행 3인칭 싱글 슈팅게임이라고 생각하고요
선플러
25/07/18 04:55
수정 아이콘
그냥 님의 취향에 닌텐도 게임이 안 맞는 거겠죠.
Lord Be Goja
25/07/18 09: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위치2 런칭타이틀에 마리오카트가 있었는데도,국내에선 런칭타이틀중 포켓몬급 킬러타이틀이 없다는 말이 꽤 나왔던거 생각해보면(최근작끼리 판매량 두배넘게 차이나죠) 국내게이머들의 성향이 세계 닌텐도게이머와는 상당히 먼게 아닐까 싶긴합니다
Far Niente
25/07/18 08:4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과연 닌텐도가 아니었다면 저 점수일까?
25/07/18 12:52
수정 아이콘
닌텐도 게임이 대체로 뻥점수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동키콩 저건 암만봐도 닌텐도 프리미엄 맞다고 봅니다.
카오루
25/07/17 23:00
수정 아이콘
닌텐도 게임은 '영화가 주는 재미'와 겹치지 않는 '게임이 줄 수 있는 재미'가 확실히 있어서 좋습니다.
여명팔공팔
25/07/17 23:05
수정 아이콘
오늘 받아서 정신없이 하다가 왔습니다. 재밌네요! 크크
에스콘필드
25/07/17 23:38
수정 아이콘
재밌겠네요~
25/07/17 23:42
수정 아이콘
게임이 주는 원론적 재미에 충실한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이거 근데 구형 스위치에서도 돌아가나요?
25/07/17 23:50
수정 아이콘
스위치 2 전용입니다.
25/07/18 10:43
수정 아이콘
스위치2 부터 구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5/07/18 00:19
수정 아이콘
나여, 닌텐도!
25/07/18 00:23
수정 아이콘
취향 얘기긴 한데 반대로 어게인스트 더 스톰 같은 작품은 또 나올 수가 없죠.
다레니안
25/07/18 01:33
수정 아이콘
그래픽카드 100만원 넘게 주고 구매하느니. 닌텐도 68만원에 사고 게임 사서 플레이하는게 낫겟다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크크
Chrollo Lucilfer
25/07/18 04:44
수정 아이콘
제가 올초에 컴 맞출까말까 고민하다 플5로 갔는데 만족스럽네요. 쇼파에서 게임하는 맛 덕분에 롤이랑은 많이 멀어졌습니다..
시린비
25/07/18 01:41
수정 아이콘
물론 점수가 높다고 모두에게 재밌는 게임은 아니긴 할겁니다. 그래도 상당수는 즐길 수 있는 모양이네요
15년째도피중
25/07/18 03:06
수정 아이콘
서구를 중심으로 닌텐도 키즈들이 전 연령대에 포진된 것도 맞겠지만 일단 평가 문제라면 닌텐도는 "설혹 취향에 안맞더라도 완성도에 있어 마이너스를 주기가 어렵다"가 맞을 겁니다. 그래픽, 최적화, IP활용, 새로운 기믹 같은 부분들에서 감점하기 어려워요. 특히 무난한 A급 게임들이 얻기 어려운 '창의성' 지점과 개성있는 인디 게임들이 얻기 어려운 '최적화','기술' 부분에서 모두 점수를 챙기니 더 그럴듯.

오딧세이 때도 보면 레트로 감성을 현시대 기술로 재구성하는데 탁월했는데, 이번 바난자도 그래 보이고요.
디즈니 전연령가 영화들이 갖는 문제점과 유사하지 않을까 싶어요.
OcularImplants
25/07/18 05: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메타크리틱 말고 마음에 드는 웹진 찾아서 그거 참고해도 됩니다.
저는 독창성 평가 많이 쳐주는 유로게이머나
시나리오 게임 메카닉으로 잘 풀어놓으면 무조건 평가 높게주는 제로펑츄에이션 좋아하는 편인데

유로게이머는 굉장히 재밌게 플레이했고, 메카닉도 창의적이라고 써놓고도,
가차 없이 별 4개 맥여 놓았더군요 크크크
이부키
25/07/18 08:38
수정 아이콘
떼깔 좋은 게임은 심각한 하자가 있지 않은 이상 점수 낮게 주기 힘들죠. 닌텐도는 떼깔 좋게 뽑기로 정평난 회사구요.
25/07/18 11:20
수정 아이콘
닌텐도게임은 개인적으로 별로 안좋아하긴 합니다만 (97점의 마딧세이도 그저그럼으로 취급할정도) 닌텐도의 남녀노소 전연령층을 어우를 수 있는 게임에 높은 평가를 주는건 납득합니다.
아이들한테 선물 할 때도 스위치로 출시한 그 수많은 게임들 중에 마딧세이, 마카보다 나은 선택이 있냐하면 없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7760 [유머] 오늘 아들이 입대한 부모님이 찍은 사진 [15] 김티모4660 25/07/28 4660
517759 [유머] 일본 바닷가 근황 [1] 짱구3720 25/07/28 3720
517758 [유머] 황금비율 남자 몸매 [17] 인간흑인대머리남캐5039 25/07/28 5039
517757 [유머] 동네빵집에서 민생쿠폰 쓰지못해 논란 [17] VictoryFood5179 25/07/28 5179
517756 [서브컬쳐] 모두가 한마음으로 디스하지만 판매량은 갑인 만화 [21] Cand4718 25/07/28 4718
517755 [기타] 삼성-인텔 역전 시대 [14] Lord Be Goja5143 25/07/28 5143
517754 [스포츠] 요키치 애마 우승 표정 모음.JPG [14] insane3298 25/07/28 3298
517753 [유머] 테슬라 관련 뉴스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 [11] EnergyFlow4720 25/07/28 4720
517752 [LOL] 페이커 재계약 도인비 반응.. [13] 아지매4137 25/07/28 4137
517751 [기타] 시아누크빌 밸리 [7] 퀀텀리프2024 25/07/28 2024
517750 [유머] [사격] 50점 vs 4점 [13] Croove3440 25/07/28 3440
517749 [LOL] 롤 농가를 살리신 [7] 김삼관3379 25/07/28 3379
517748 [기타] (약간후방?) 영원히 해결되지 못할 난제 [38] 묻고 더블로 가!6592 25/07/28 6592
517747 [유머] 가짜 한국여권이 기승하자 유럽 특정국가 입국심사시 추가된 질문 [93] Croove7165 25/07/28 7165
517746 [방송] 커뮤에서나 하는 드립을 하는 영식과 그걸 참는 옥순 [18] 페이커754960 25/07/28 4960
517744 [기타] 현재 티베트 지역 기온 [23] Croove6083 25/07/28 6083
517743 [게임] 일본인 3000명이 뽑은 게임 총선거 2025 [36] STEAM4422 25/07/28 4422
517742 [기타] 간밤 서울 '최저기온' 29도 [23] Croove6037 25/07/28 6037
517741 [게임] 온몸을 바쳐 망한 소전2 매출을 이끄는 흥국이 [10] 개인의선택3072 25/07/28 3072
517740 [유머] 항우가 패왕이라 불린 이유 [21] 길갈4616 25/07/28 4616
517739 [기타] 서양에서 나쁜 거를 들여온 일본 가게 [8] 롤격발매기원4441 25/07/28 4441
517738 [유머] T와 F의 차이를 극명하게 알 수 있는 영상 [61] 페이커758762 25/07/27 8762
517737 [LOL] 페이커 넷플릭스 다큐 거피셜 [9] 매번같은5933 25/07/27 59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