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7/17 22:23:31
Name Kaestro
File #1 donkeykong_bananza.jpg (64.5 KB), Download : 176
출처 https://www.metacritic.com/game/donkey-kong-bananza/
Subject [게임] 또 너네냐 닌텐도


동키콩 바난자가 시원하게 메타크리틱 91점으로 포문을 열었습니다.

솔직히 pv만 봐도 갓겜의 냄새가 물씬 나긴 했는데 말이죠

이번 주말에 달려볼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looming
25/07/17 22:33
수정 아이콘
소신발언 하자면 닌텐도 게임은 메타에서 몇 점 빼고 생각합니다. 평론가들이 닌텐도 게임에는 후하게 점수를 주는 경향이 있다고 봐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7 22:45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그 점수급의 게임이 뭐잇나.. 꼽아보면 별루 없드라구여
유미즈카사츠키
25/07/17 23:39
수정 아이콘
그런식으로 따지면 소니 독점게임 특히 3인칭 어드벤처도 그렇고 인디게임들도 그렇고 아틀라스게임도 그렇고 끝이 없어요.
웸반야마
25/07/17 23:56
수정 아이콘
수백 수천명의 평론가들이 한결같이 닌텐도에 후한것 보다는
선생님 한분이 닌텐도게임을 안좋아한다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게임회사의 게임들을 몇세대에 걸쳐 후하게 점수를 줄 이유가 전혀 없어보이는데요
모래알
25/07/17 23:58
수정 아이콘
저도 개인적으론 바난자 닌텐도 겜 아니었으면 80점대였을 것 같은 느낌이..
그말싫
25/07/18 00:09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저는 닌텐도 게임은 -10점 정도 빼서 보고 인디게임은 -5점 정도 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특히 퍼즐류나 기발한 기믹을 위주로 한 게임에 대해서 평균 점수가 너무 높게 형성된다고 느낍니다.
평론적으로 풀어내기 좋은(쉬운) 방향성이라 더욱 그런 것 같기도 하고요.
티아라멘츠
25/07/18 00:15
수정 아이콘
취향 성토 장소가 되니 말인데
그러면 저는 무비라이크(데스 스트랜딩 같은 것)나 예쁜 RPG 게임(씨오브스타즈), 비프롬 소울류(피구라, 카잔 등)는 10점씩 빼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말싫
25/07/18 00: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 취향에 따라 가점, 감점을 주면서 보는 거야 당연하지만 전 제 취향에 따라 점수를 주고 빼는 게 아니라 특정 게임군의 점수가 다 높게 나오는 현상이 있는 것 같다고 말하는 겁니다. 저도 닌텐도 게임 좋아합니다, 항상 신박한 느낌을 주는 게 하나씩은 있다 보니...
다만 닌텐도 게임이면 대부분 85~90에 안착하니 이게 변별력이 있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고요. 주요 프랜차이즈부터 루이지맨션이니 커비니 그냥 모조리 85~90이죠.

반면 말씀하신 소울류 게임들이야 메타 60점대 게임도 수두룩이고... 그런 게임들보다 피구라, 카잔은 확실히 나은 면이 있으니 지금의 80점이 후한 점수인가는 잘 모르겠네요.
무비라이크는 그것이 무엇인지 좀 토론이 필요할 거 같네요, 1인칭 액션 어드벤쳐라면 이 쪽도 딱히 대부분 고평가를 받지는 않고요.
씨오브스타즈 부분은 동감합니다, 인디x도트 그래픽 조합 가산점 있다고 저도 느낍니다, 체인드에코즈라던가...
티아라멘츠
25/07/18 00:43
수정 아이콘
저는 그 작품들 피구라, 카잔 싸그리 70점대 주고 싶어서 그래요. 데스 스트랜딩1도 이게 고티급인가 하면 그다지라고 생각하고..
Janzisuka
25/07/18 00:24
수정 아이콘
....닌텐도...창세기전 회색의 잔영...시무룩
운악산 날다람쥐
25/07/18 02:37
수정 아이콘
전 개인적으로 메타쪽에서 보면 거품 제일 많이낀 장르는 소울류라고 생각합니다...
그다음은 헐리우드 스킨씌운 컷신위주의 외길진행 3인칭 싱글 슈팅게임이라고 생각하고요
선플러
25/07/18 04:55
수정 아이콘
그냥 님의 취향에 닌텐도 게임이 안 맞는 거겠죠.
Lord Be Goja
25/07/18 09: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위치2 런칭타이틀에 마리오카트가 있었는데도,국내에선 런칭타이틀중 포켓몬급 킬러타이틀이 없다는 말이 꽤 나왔던거 생각해보면(최근작끼리 판매량 두배넘게 차이나죠) 국내게이머들의 성향이 세계 닌텐도게이머와는 상당히 먼게 아닐까 싶긴합니다
Far Niente
25/07/18 08:4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과연 닌텐도가 아니었다면 저 점수일까?
25/07/18 12:52
수정 아이콘
닌텐도 게임이 대체로 뻥점수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동키콩 저건 암만봐도 닌텐도 프리미엄 맞다고 봅니다.
카오루
25/07/17 23:00
수정 아이콘
닌텐도 게임은 '영화가 주는 재미'와 겹치지 않는 '게임이 줄 수 있는 재미'가 확실히 있어서 좋습니다.
여명팔공팔
25/07/17 23:05
수정 아이콘
오늘 받아서 정신없이 하다가 왔습니다. 재밌네요! 크크
에스콘필드
25/07/17 23:38
수정 아이콘
재밌겠네요~
25/07/17 23:42
수정 아이콘
게임이 주는 원론적 재미에 충실한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이거 근데 구형 스위치에서도 돌아가나요?
25/07/17 23:50
수정 아이콘
스위치 2 전용입니다.
25/07/18 10:43
수정 아이콘
스위치2 부터 구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5/07/18 00:19
수정 아이콘
나여, 닌텐도!
25/07/18 00:23
수정 아이콘
취향 얘기긴 한데 반대로 어게인스트 더 스톰 같은 작품은 또 나올 수가 없죠.
다레니안
25/07/18 01:33
수정 아이콘
그래픽카드 100만원 넘게 주고 구매하느니. 닌텐도 68만원에 사고 게임 사서 플레이하는게 낫겟다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크크
Chrollo Lucilfer
25/07/18 04:44
수정 아이콘
제가 올초에 컴 맞출까말까 고민하다 플5로 갔는데 만족스럽네요. 쇼파에서 게임하는 맛 덕분에 롤이랑은 많이 멀어졌습니다..
시린비
25/07/18 01:41
수정 아이콘
물론 점수가 높다고 모두에게 재밌는 게임은 아니긴 할겁니다. 그래도 상당수는 즐길 수 있는 모양이네요
15년째도피중
25/07/18 03:06
수정 아이콘
서구를 중심으로 닌텐도 키즈들이 전 연령대에 포진된 것도 맞겠지만 일단 평가 문제라면 닌텐도는 "설혹 취향에 안맞더라도 완성도에 있어 마이너스를 주기가 어렵다"가 맞을 겁니다. 그래픽, 최적화, IP활용, 새로운 기믹 같은 부분들에서 감점하기 어려워요. 특히 무난한 A급 게임들이 얻기 어려운 '창의성' 지점과 개성있는 인디 게임들이 얻기 어려운 '최적화','기술' 부분에서 모두 점수를 챙기니 더 그럴듯.

오딧세이 때도 보면 레트로 감성을 현시대 기술로 재구성하는데 탁월했는데, 이번 바난자도 그래 보이고요.
디즈니 전연령가 영화들이 갖는 문제점과 유사하지 않을까 싶어요.
OcularImplants
25/07/18 05: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메타크리틱 말고 마음에 드는 웹진 찾아서 그거 참고해도 됩니다.
저는 독창성 평가 많이 쳐주는 유로게이머나
시나리오 게임 메카닉으로 잘 풀어놓으면 무조건 평가 높게주는 제로펑츄에이션 좋아하는 편인데

유로게이머는 굉장히 재밌게 플레이했고, 메카닉도 창의적이라고 써놓고도,
가차 없이 별 4개 맥여 놓았더군요 크크크
이부키
25/07/18 08:38
수정 아이콘
떼깔 좋은 게임은 심각한 하자가 있지 않은 이상 점수 낮게 주기 힘들죠. 닌텐도는 떼깔 좋게 뽑기로 정평난 회사구요.
25/07/18 11:20
수정 아이콘
닌텐도게임은 개인적으로 별로 안좋아하긴 합니다만 (97점의 마딧세이도 그저그럼으로 취급할정도) 닌텐도의 남녀노소 전연령층을 어우를 수 있는 게임에 높은 평가를 주는건 납득합니다.
아이들한테 선물 할 때도 스위치로 출시한 그 수많은 게임들 중에 마딧세이, 마카보다 나은 선택이 있냐하면 없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7592 [기타] 리더쉽이 부족해서 사람을 놓친 애플 [14] Lord Be Goja4143 25/07/24 4143
517591 [스타1] 스타 사기 유닛 월드컵 순위 [45] 두드리짱3195 25/07/24 3195
517589 [서브컬쳐] 의사가 기겁하는 새로운 디자인의 맥주병 [22] 인간흑인대머리남캐4765 25/07/24 4765
517588 [동물&귀욤] 댕청한 멍멍이들 [4] Croove2616 25/07/24 2616
517587 [유머] 인터넷 방송에 완벽히 적응한 박정민 [11] 퍼블레인4675 25/07/24 4675
517586 [유머] 코딩 고수 친구 [5] 길갈3684 25/07/24 3684
517585 [기타] 여름에 저지르기 쉬운 실수 [48] 닉넴길이제한8자5510 25/07/24 5510
517584 [기타] 2024년 서울 지하철 출근길 하차승객 많은역 [26] Croove3732 25/07/24 3732
517583 [서브컬쳐] 젤다 실사화 캐스팅에 화내는 이유 [7] 인간흑인대머리남캐2349 25/07/24 2349
517582 [유머] 일부지역에서 순대를 시키면 당연하게 딸려오는 것 [17] EnergyFlow3937 25/07/24 3937
517581 [유머] 호외가 호에에로 [10] 롤격발매기원2152 25/07/24 2152
517580 [서브컬쳐] 강수진 성우가 원신에 출연하고 싶어하는 이유 [30] EnergyFlow2920 25/07/24 2920
517579 [LOL] 2025 레전드 그룹 피어리스 챌린지! [74] Arcturus4609 25/07/24 4609
517578 [게임]  역대 일본 게임기 출시 첫 5주간 판매량 [17] Leeka4165 25/07/24 4165
517577 [LOL] 아직 한발 남았다 (feat. 제우스사태 관련 김성회 막타예고) [12] 아롱이다롱이5163 25/07/23 5163
517576 [게임] 팝니다. 철권8 압도적 부정적을 정상화한 파쿰람 [6] STEAM4089 25/07/23 4089
517575 [방송] 북태평양 고기압 "I win" [14] Croove6898 25/07/23 6898
517574 [서브컬쳐] 부산사시는 분 포켓몬 스탬프 찍고가세요 [2] 유머2899 25/07/23 2899
517573 [LOL] 젠지 vs 한화생명 1세트 경기후 반응 [16] 아롱이다롱이4813 25/07/23 4813
517571 [게임] G식백과 네오플 파업 영상 요약 [171] 페이커757318 25/07/23 7318
517570 [방송] 지볶행 영식과 옥순이 서로 손절한 이유 (스압) [15] 페이커754743 25/07/23 4743
517569 [유머] 전단지의 극딜 [3] Croove3937 25/07/23 3937
517568 [유머] 평생 한식 딱 3가지만 먹을 수 있다면?.jpg [40] 김치찌개3190 25/07/23 31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