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19 23:02
내각제를 반대하는 사람입니다만, 저 정도는 반대 사유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대통령제에서도 국회의원을 장관으로 임명할 수 있어요.
25/05/19 23:12
그렇다고하기엔 일본 내각제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내각제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저러는 것 같진 않아서요.
내각제의 영향이라기보다 계급사회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강제로 민주주의가 주입 된 영향이라고 봅니다.
25/05/20 00:28
영향이 없다고는 할 수 없는게, 대통령제는 대통령과 의회가 서로 견제가 가능하지만, 내각제는 내각이 구성민 되면 견제가 불가능하지 않나요?
막말로 도시에서 뽑힌 의원을 농림수산부 장관으로 앉히면 저런 일이 일어니도 이상하지 않죠.
25/05/20 02:13
사실상의 1당독재체제가 낳은 문젠거지 내각제하고는 별 상관 없다는 거죠.
일본은 대통령제였어도 저런 사람이 저런 자리에 있을 겁니다.
25/05/20 08:23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김용호 통일부장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대통령제에서는 비선출인 무자격인 장관들도 존재합니다. 정상적인 내각제는 내각을 위해서 다양한 인사들을 영입해서 우리가 국가를 운영할 자격이 있다는것을 국민들에게 어필하지요. 그리고 내각제 장관들은 국민과 커뮤니티와 정부정책의 방향성을. 차관은 실무를 합니다.
25/05/20 09:21
대통령제야말로 더 하면 안되는 이유가 많은거 같은데요
미국 최악의 수출품이 대통령제라는 말도 나오는 상황이고, 미국말고는 대통령제 제대로 돌아가는 나라가 없다고 할정도인데 그 미국조차 지금 어떤지 보면 말다한거고요 지나친 권력집중을 불러서 독재자들이 딱 좋아하는 여건이 바로 대통령제입니다
25/05/20 09:55
내각제는 충분히 정치역량이 고도화되기전에 도입하면 굴리는거 자체가 어렵죠...뭐 이미 대통령제로 어느정도 이뤄진다치면 관성으로라도 못바꾸지만서도...
남미들이 대통령제로 굴리는 이유는 그 쪽 사정에 내각제는 더 답이 없으니까요...
25/05/19 23:44
일본 자민당 정치인들은 그냥 정치를 가업으로 여기는 귀족들이라고 봐야해서 저런 말 한들 언론에서만 조금 떠들 뿐 크게 타격입거나 그러진 않죠.
25/05/19 23:53
일본 가이드분이 해준 이야기가 한국과 일본의 주식이 쌀이라는건 같지만 일본은 쌀이 약간 식단의 중심개념이라 (우링 반찬과 밥의 밸런스와 다르게) 쌀도 종류가 수십가지가 나오고 카츠동이나 규동도 쌀위에 올려먹는 개념이지 쌀과 섞어먹는게 아니다고 하더군요.
뭐 어느정도 사실인지는 모르겠으나, 하나 확실한건 그만큼 쌀이 중요한거같은데.. 괜찮을려나 싶긴합니다 저 사태보고 있으면
25/05/20 00:34
한국은 볶음밥하고 급식 함바집 정도 빼면 밥 한공기 넘어가는 경우가 별로 없는 것 같은데 일본은 덮밥이든.초밥이든 밥 세 공기도 흔해요.
25/05/20 00:47
일본에 사는 사람인데 소비자로서 쌀값이 싼게 베스트긴 하지만 지속가능성 이런것들 생각하면 지금까지가 너무 싼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예전의 2배 되는 현재는 좀 너무 비싸고 한 1.5배 정도가 적정선 아닐까 싶습니다.
25/05/20 02:14
일본 민주주의와 국민 의식의 한계죠. 쌀값이 비합리적으로 올랐지만 항의하기 보다는 그냥 인정하고 말죠. 요즘 같은 시기에는 절약하는 방법에 대한 기사가 그렇게 많이 나온다죠.
25/05/20 03:40
일본 농림수산성, 자민당 농림족 의원, 일본 농협(JA)가 짝짝꿍 해서 현재 가격 유지하고 있다는 얘기가 있더라고요.
그게 맞다면 내려갈 여지가 있나 싶은데요. 농림상이 얘기하는 것도 그냥 욕받이 하는 느낌이..
25/05/20 10:46
지금 일본도 관세에 세금은 때려넣는데 사기업이 이윤먹어서 가격만 오르는건데요.....
애초에 민영화가 그런거긴 합니다만....
25/05/20 05:35
쌀농사를 많이 짓기 위해서는 당연히 그만큼의 소비가 받쳐줘야합니다. 이런 충격요법으로 소비가 꺾이면 다시 올리기는 불가능한데 특정 기업의 단기이익을 위해 국가기반사업에 스크래치를 내는걸 정치인들이 커버쳐주고있는게 보기안좋네요
우리나라 skt사태를 보는거같네요
25/05/20 08:51
(수정됨) 뭐 그건...우리나라도...농촌표가 도시표보다 더 높을겁니다...총선기준으로는...농촌은 하한선에 간당간당하지만 도시는 상한선에 간당간당하니까요 크크
그나마 3대 1이 2대 1로 준게...일본은 아직 3대 1정도던가...흠
25/05/20 08:43
저게 정작 농가에 도움이 안된다고 하던것 같은데 말이죠
농가에서 직판하는거면 몰라도 이건 결국 일본농협만 배불배불하게 맹가주는 상황이 되어가는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