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1/14 11:56:17
Name 독서상품권
File #1 5.jpg (29.8 KB), Download : 322
출처 디시인사이드 미국 주식 갤러리
Subject [기타] 한국과 일본의 대기업들 직원수 비교 (수정됨)


처음에는 한국이 왜이렇게 일본에 비해 채용을 안할까 했는데

사실 저 자료는 일본은 계열사 전체로 따지니까 저렇게 된거고 한국은 그렇게 안하고 개별회사만 따지니까 저렇게 통계가 나온거라네요

수정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1/14 11:57
수정 아이콘
하이닉스 3만 2천명이요? 덜덜덜
탑클라우드
25/01/14 12:00
수정 아이콘
한국은 전 세계에서 로봇 도입 비율이 1위 국가이지만,
최근 중국이 무섭게 쫓아온다고 하더라구요.
방가방가햄토리
25/01/14 12:01
수정 아이콘
나라의 총 인구수 차이 자체가 2배인것도 있지 않나요?
독서상품권
25/01/14 12:05
수정 아이콘
그렇게따지면 중국의 텐센트 알리바바 화웨이 징동 이런 기업들 직원수가 위의 일본을 넘어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보다도 많아야겠죠
쵸젠뇽밍
25/01/14 12:52
수정 아이콘
인구 차이보단 협력업체 관련한 차이겠죠.
25/01/14 12: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도요타는 계열사 다 포함하고 현대차는 다 뺐군요. 회계 관련 문제라 그렇게 계산하는게 틀린건 아닌듯한데 암튼...
도요타도 단독 기준 7만 4천명 정도라고 합니다.
현대차도 그룹 다 포함하면 20만명정도 되구요.

ntt는 찾아보니 그룹사가 수백개에 달하는 거대그룹이네요. 그렇게 따지면 삼성그룹도 28만명이네요.
독서상품권
25/01/14 12:0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하긴 일본도 대기업들이 한국 대기업들만큼 계열사 분사 및 상장을 많이 했다고 들었는데 저건 그걸 간과한 자료인듯 하네요
25/01/14 12:07
수정 아이콘
계열사들을 포함한거랑 뺸거랑 비교한거라서........

왜 계열사가 저렇게 쪼개졌냐.. 하면 국장부터 연결되는게 많긴 합니다만
고용 인원만 따지면 맞는 비교는 아닌듯
친친나트
25/01/14 12:11
수정 아이콘
현대차는 그룹단위로 하면 31만명이라네요.
오컬트
25/01/14 12:11
수정 아이콘
코리아..디스카운트가 여기서도...
인생잘모르겠
25/01/14 12:12
수정 아이콘
확실히 IT기업이 돈을 인원에비해 엄청 버는군요, 네이버가.
인생잘모르겠
25/01/14 12:13
수정 아이콘
NTT는 닌텐도 같은데, 뭐 포켓몬 만드는 팀하고 이런팀들이 다 합쳐진건가. 어마어마하네요?
독서상품권
25/01/14 12:14
수정 아이콘
그 게임회사 닌텐도하고는 완전히 별개의 회사고 미국으로 따지면 AT&T같은 통신회사입니다
인생잘모르겠
25/01/14 12:16
수정 아이콘
아 그러고 보니 ntt가 될려면 틴텐토가 되야되는데 끝이 도군요. ;;;
25/01/14 12:15
수정 아이콘
닌텐도와는 관련없고 한국으로 따지면 KT라 보시면 됩니다. 버블시절에는 전세계 시총1위 먹기도 했던 괴물...
기무라탈리야
25/01/14 13:56
수정 아이콘
딱 KT 포지션 입니다. 원래 통신 관련 공기업인데 민영화 했죠.
프리미어1k
25/01/14 12:16
수정 아이콘
","를 없으니까 읽기 어렵네요..

미국 대기업(주로 IT) 포함해보니, 확실히 인구차이가 느껴지긴 하네요.
그 와중에 nVidia... 하이닉스를 능가!하는 직원수네요.

< 한국 >
1. 현대차 72,000명
2. 기아차 35,000명
3. 삼성전자 127,000명
4. 하이닉스 32,000명
5. 네이버 4,300명

< 일본 >
1. 소니 109,000명
2. 덴소 163,000명
3. 도요타 360,000명
4. 혼다  210,000명
5. NTT  300,000명

< 미국 >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largest_companies_in_the_United_States_by_revenue
1. 월마트 2,100,000명
2. 아마존  1,525,000명
3. 애플  161,000명  
7. 액슨모빌  61,500명
8. 알파벳   182,502명
13. 마이크로소프트  221,000명
40. 테슬라  140,473명
65. nVidia   29,600명
김유라
25/01/14 12:39
수정 아이콘
와 엔비디아 뭔가요 크크크
25/01/14 15:53
수정 아이콘
추천마렵네요;; 저도 나이....때문인지 쉼표 없으면
숫자가 한눈에 인식이 안되네요;;
그렇군요
25/01/14 12:36
수정 아이콘
재벌대기업
아이군
25/01/14 12:44
수정 아이콘
필요한 인원은 사실 비슷하다는 걸 생각해보면, 이 글의 주제는 사실 한국의 하청구조가 너무 복잡하다.... 라고 봅니다..
Far Niente
25/01/14 12:59
수정 아이콘
구분기호 안넣은거부터 빡치는데
본문에 있는 것처럼 회사 하나랑 그룹 전체랑 비교하는 건 뭔 기준인지도 모르겠고
계열사가 왜 많냐 쪼개기 아니냐 하지만 같은 그룹내에 제조 서비스 금융 보험 증권 다 혼재되어 있는데 쪼개기랑 상관도 없고
현대차그룹 내에 있는 회사만 해도 수많은 업종을 영위하는데 업종들간 고용특성도 다르니 그룹내 고용인원을 합치는 것도 아무 의미가 없고
그냥 한국 기업이 어쩌고 저쩌고 국장이 어쩌고 하고 싶은 말에 숫자를 적당히 끼워맞춘 느낌
마그데부르크
25/01/14 20:10
수정 아이콘
일면식
25/01/14 14:26
수정 아이콘
계열사 문제를 차치하고서라도 국가 인구수 대비 대기업 근로자 비율로 보면 한국이 훨씬 높은 것 같네요.
Far Niente
25/01/14 14:58
수정 아이콘
24년 지정 기준 대규모기업집단(그룹 자산총액 5조이상)의 상시종업원수가 1,840,672명이니
임금근로자수 대비 8.4% 정도 되고 경제활동인구수 대비 6.2% 정도 되긴 하네요

근데 나라별로 심지어 통계별로 대기업 기준이 워낙 달라서.. 역시 비교가 어렵죠
(어딘 중소기업 아니면 다 대기업, 어딘 매출기준, 어딘 자산기준..)
우리나라 기준으론 수평확장 안하고 단일기업 또는 소폭 수직계열화해서 자산 3-4조 정도 되는 회사들은 대기업에 잡히질 않습니다
그렇다고 상장 2조원 이상 또는 매출 얼마 이상 잡으면 큰 그룹에 속한 비상장회사들이 잡히지 않고

대기업 일자리 비중 하면 우리나라는 14%다 하는 기사들도 있는데 뭐가 기준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인생잘모르겠
25/01/14 15:41
수정 아이콘
평균연봉은 어디가 제일 높을려나.
미드웨이
25/01/14 16:05
수정 아이콘
국가간 통계는 이래서 함부로 비교하면 안됩니다.

지들끼리 기준이 다른데 그걸 고려안하니 숫자만 보면 이상한 결과가 많이 나오죠.
호머심슨
25/01/14 19:10
수정 아이콘
80년대 후반 2위와 몇배 차이나던 압도적인 세계 시가총액1위 기업이었던 ntt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0839 [LOL] 뉴? 네오? 프레쉬? 디플러스기아? [23] roqur7087 25/01/16 7087
510837 [게임] 닌텐도 스위치2 공개 [38] 퍼블레인7664 25/01/16 7664
510836 [연예인] 이병헌의 잊혀진 작품 [8] Lord Be Goja11089 25/01/16 11089
510835 [서브컬쳐] 렌탈여친 최신화 근황 [29] 이호철10995 25/01/16 10995
510834 [유머] 인천 송도에서 추진중이라는 103층 랜드마크 타워 [31] 깃털달린뱀11195 25/01/16 11195
510833 [음식] 간짜장 만드는 과정 [30] Croove11353 25/01/16 11353
510832 [유머] OTT 결제하고 안보는 사람 특징.JPG [57] Pika4812774 25/01/16 12774
510831 [기타] 의외로 우주명기가 될 수도 있었던 엑시노스 최신작 [16] 깃털달린뱀10305 25/01/16 10305
510830 [기타] 즉시 운행 정지하라는 벤츠 리콜 [19] 윌슨 블레이드11150 25/01/16 11150
510829 [유머] 관세를 때리면 제3국에 공장을 지으면 되잖아? [29] 깃털달린뱀11101 25/01/16 11101
510828 [기타] 알라딘 선정 21세기 최고의 책 [50] a-ha10677 25/01/16 10677
510827 [유머] 트럼프 2기 초상화 [18] Zephiris8246 25/01/16 8246
510826 [기타] 늘지않는 피아노 스킬 천장 뚫는법 [25] 벌점받는사람바보9024 25/01/16 9024
510825 [유머] [스포유, 오징어게임2] 성기훈 - 얼음 [10] 부대찌개7520 25/01/16 7520
510824 [유머] 좀 큰 고양이를 키우는 디씨인 [37] Myoi Mina 10688 25/01/16 10688
510823 [기타] 손님 30명 구토한 식당... [31] 유머11946 25/01/16 11946
510822 [기타] 로때리아에서 또 야심차게 들고온.. [27] Lord Be Goja10181 25/01/16 10181
510821 [유머] 내향인이 걱정되는 외향인 [40] 길갈10063 25/01/16 10063
510820 [게임] 배트걸의 공중분해 제작비 1100억..(현가치1300억).. [12] Lord Be Goja9150 25/01/16 9150
510819 [기타] 여성향 AV 시청자들의 특이한 시청 방식 [13] 캬라10610 25/01/16 10610
510817 [기타] 첫 공개 라이브에서 대참사냈던 삼성 로청 근황 [38] Lord Be Goja10658 25/01/16 10658
510816 [기타] 증기 기관의 아버지 제임스 와트가 발명한 또 다른 물건 [10] a-ha7120 25/01/16 7120
510815 [연예인] 공항패션 문화.. 왜 하나 했더니.. [15] 김삼관10868 25/01/16 108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