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2/06 06:59:44
Name 독서상품권
File #1 17.jpg (67.9 KB), Download : 254
출처 구글검색
Subject [기타] 삼성전자보다 더 미래가 안보이는 독일의 최고 주식


그것은 바로 독일 자동차 산업의 대표격인 폭스바겐

솔직히 말해서 삼성전자보다 이게 더 반등하기 힘들듯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06 07:01
수정 아이콘
중국시장 멸망이 제일 커서...
천사소비양
24/12/06 07:18
수정 아이콘
전기차는 중국 못 이기는데
내연차 이제 몇년 남았죠?
만성두통원딜러
24/12/06 07:28
수정 아이콘
흑흑 ID4 이쁘던데...
유료도로당
24/12/06 08:25
수정 아이콘
이쁘긴한데 기능이나 편의장치 보면 많이 부족하더군요.. 통풍시트도없고 디지털키도 없고 원격으로 시동도 못거는...
o o (175.223)
24/12/06 08:05
수정 아이콘
백스바겐도 못되네
인생잘모르겠
24/12/06 08:18
수정 아이콘
폭바는 충성고객과 인프라망이 있어서 다시 살아나지 않을까요,
옥동이
24/12/06 09:29
수정 아이콘
제일 큰 충성고객이 중국이었는데...ㅠ
강문계
24/12/06 10:20
수정 아이콘
대마불사다 이말이야
24/12/06 08:24
수정 아이콘
SAP가 1등인줄 알고 ?? 잘나갈텐데 했는데
깃털달린뱀
24/12/06 08:30
수정 아이콘
SAP이 아니었...
인생잘모르겠
24/12/06 08:31
수정 아이콘
세계시장에서의 폭스바겐은 어떤 위치인지 궁금하네요, 한국에서는 솔직히 까놓고 이야기해서 다른나라들에선 고급차도 아닌데 가격은 현기보다 비싸고, A/S는 독3사랑 거의 비슷한 수준에, 차는 내부인테리어랑 편의성 옵션은 현기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좁기도 하고.

뭐 내구성이나 이런거라도 일본차들 만큼 많이 좋은가요? 막 60~80만 뛰어도 멀쩡하고?
24/12/06 09:00
수정 아이콘
판매량 기준 토요타 다음의 2위 자동차 메이커입니다. 본진인 유럽과 중국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북미에서의 인기는 말씀하신 내구성과 신뢰도 측면에서 토요타를 비롯한 일본차에 밀리는 편입니다. 다만 최대 전기차 시장이자 폭스바겐의 주력시장인 중국에서 전기차 경쟁력이 많이 밀리고 있다는 평이고 이게 판매량과도 연결되고 있어 현대차 그룹에게 추월당할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인생잘모르겠
24/12/06 09:23
수정 아이콘
그러니깐 예를 들어한국에서 현기가 이렇게 장악할수 있었던게 편의성 옵션이 외제차에선 찾을수 없는 것들이고 내부공간은 정말 잘뺴면서 중고차 가격방어가 다른것들보다 잘되니깐, 예를 들어 같은 등급인 코란도 스포티지 쉐보레는 뭔지 모르겠고 qm5사면 5년뒤엔 중고 가격이 200정도 차이나버리니 아무튼 그런 장점들이 잇는데,

폭스바겐은 진자 내부 좁고, 한국에서랑 다른나라에선 A.S가 다른가요, 거의 비엠 아우디 만큼 A/S안좋고 옵션등도 그냥 평범수준에 내부 디자인도;;; 미국 차들이 좀 이쁘던데, 아무튼 아무런 장점이 없는 메이컨데, 외국에선 많이 싸거나 그런가보죠?
24/12/06 09:40
수정 아이콘
뭐 저도 유럽 현지인은 아니라 모르지만 말씀들어보면 상대적으로 다른 대중차 브랜드(르노, 현대, 스코다 등)에 비해서 브랜드 이미지가 약간 더 높은듯 합니다. 대체적으로 유럽차와 유럽인들이 내부공간이라든가 편의장비에 그리 민감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거 같구요. 유럽에서의 폭스바겐은 품질 좋고 엔진과 파워트레인 기술도 뛰어나며 주행감각이 좋은 대중차라는 느낌인가봐요.
24/12/06 09:53
수정 아이콘
아무런 장점도 없는건 아니고 주행감각이 독일차의 표본이었죠. 차를 옵션만 보고 사는건 아니니깐요.
요키와 파피용
24/12/06 10:14
수정 아이콘
제한속도가 없는 독일이면 의미가 있겠지만 최대 120KM가 제한속도인 나라에서 독일차의 주행감각이 도움이 안되지 않나요
130KM 이상을 못 밟는 쫄보 입장에서 현기차 대비 장점이 어떤것이 있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조만간 차를 바꿔야하는데 ....
아린어린이
24/12/06 10:53
수정 아이콘
태어나서 130이상을 몇번 밟아보겠나라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전에 아우디를 10년타고 이번에 제네시스를 2년째 타고 있는데,
타국가는 모르겠고 국내 한정으로는 제네시스가 훨씬 좋습니다.
GV80 타는데, 연비 빼고는 다 만족합니다. 연비는 좀 아쉽.....
미메시스
24/12/06 13:17
수정 아이콘
사실 독일차 주행감각 이런것도 상향 평준화 되서..
플래그십 정도 아니면 별 의미 없습니다.
(굳이 세부적으로 따지면 좀 차이가 있긴하지만)
그러니 폭바 주식이 이런거겠죠

아우디 기술력의 상징으로 몇십년간 밀던게 콰트로인데 지금은 4륜 못만드는 회사를 찾기가 힘들고 bmw도 50대50 무게배분 더이상 내세우지 않죠. 다른데서도 다 하니까
24/12/06 08:35
수정 아이콘
디젤게이트 같은 짓이나 벌이는 놈들은 망해도 싸죠.
그렇군요
24/12/06 08:36
수정 아이콘
삼성 주가가...
24/12/06 08:58
수정 아이콘
포르쉐 아우디 람보르기니 토해내는 시점도 올라나...
시드라
24/12/06 09:25
수정 아이콘
우리집도 난리났지만 유럽은 진짜 난리죠

프랑스는 정부가 사라진거나 마찬가지인 상태고
독일은 대기업 및 나라 동력원이 사라져 버렸고
영국은 서민들이 끼니 굶을 정도로 나라가 힘들어졌고

거기에 조상들의 원죄로 인한 이슬람 난민들이 유럽에 넘쳐나면서 답도 없는 상황...
24/12/06 09:29
수정 아이콘
현기는 중국에서 먼저 얻어터졌던게 전화위복인가요? 흐흐
24/12/06 14:11
수정 아이콘
더 내려갈데가 없어서 호재!
cruithne
24/12/06 09:30
수정 아이콘
예전에, 그나마 테슬라 따라가는 기존 완성치 업체는 현기랑 폭바 뿐이다 라는 글을 얼핏 봤던 것 같은데 어느새 저기까지 추락했군요...
크레토스
24/12/06 11: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기차 판매량 보면 폭스바겐이 중국이랑 테슬라 다음입니다. 현기보다 전기차 판매량 60% 많아요. 문제는 전기차 자체가 가격경쟁이 심해서 수익성 낮고 내연기관 판매량 감소를 만회할 수준의 판매량이 안된다는거죠. 서서히 내연기관 판매량은 줄고 전기차가 그거 대체하는데 그 전기차 파이는 중국이랑 테슬라가 대부분 먹으니 기존 완성차 업체들이 죽을 맛...
cruithne
24/12/06 11:24
수정 아이콘
....더 암울하네요
투전승불
24/12/06 13:54
수정 아이콘
전기차 완전 망하고, 마음의 고향에서도 망해서 삼성보다 반등 가능성 없다고 봅니다.
MissNothing
24/12/06 14:49
수정 아이콘
삼성은 2등따리라도 안전하게 갈 수 있다면 폭스바겐은 그냥 시장에서 아웃될지 말지 수준이라... 뭐 자동차 업계가 지금 전부 그렇죠
24/12/07 18:31
수정 아이콘
본인들이 유로니 뭐니 하면서 시장다죽인결과아닌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9715 [기타] 삼립호빵 사먹으면 안되는 이유 [11] 쎌라비10399 24/12/14 10399
509713 [유머] ??? : 손님이 리뷰를 무조건 쓰게 해주세요!! [2] INTJ8272 24/12/14 8272
509712 [게임] POE2 근황 [15] INTJ8223 24/12/14 8223
509711 [기타] 전에 올라왔던 존잘남들이 받는다는 시선 [7] Lord Be Goja10210 24/12/14 10210
509710 [스포츠] 9살 100kg 초등학생의 성장 [30] INTJ9334 24/12/14 9334
509709 [기타] 간헐적단식의 심각한 부작용 [23] Lord Be Goja9417 24/12/14 9417
509708 [유머] GS 25 크리스마스 선물 행사 [10] 롤격발매기원8763 24/12/14 8763
509707 [유머] 상상을 소설로 옮겨주는 기계가 나왔네요 [14] roqur9351 24/12/14 9351
509706 [유머] 맘터 배달비 논란 [9] Myoi Mina 9317 24/12/14 9317
509705 [유머] 여의도 결혼식 화환 [15] 유머10581 24/12/14 10581
509704 [동물&귀욤] 첫사냥을 나간 아기새가 한 행동.gif [8] VictoryFood7662 24/12/14 7662
509703 [기타] 일본배우는 문신이 허용되지 않는 이유 [11] Lord Be Goja10461 24/12/14 10461
509702 [게임] 명일방주 엔드필드 베타테스트 PV [6] 김티모5242 24/12/14 5242
509701 [유머] 응원봉, 아무거나 [20] 유머8871 24/12/14 8871
509698 [기타] 진짜 강한 인간들의 비결 [18] 묻고 더블로 가!11837 24/12/14 11837
509697 [유머] 딸 애지중지 키웠더니 아빠가 오열한 상황 [11] 길갈12038 24/12/14 12038
509696 [유머] 오예스 한입에 먹기 가능하다 vs 불가능하다 [13] EnergyFlow9095 24/12/14 9095
509694 [기타] 점점 빈틈이 적어지고 있다는 ai 근황 [8] Lord Be Goja10683 24/12/14 10683
509693 [LOL] 레드불에서 1:1 쇼매치하는 도란 [6] 명탐정코난7000 24/12/14 7000
509692 [게임] 일론 머스크 근황 [8] 인간흑인대머리남캐8584 24/12/14 8584
509691 [기타] 제철 생선회 도표... [30] a-ha10427 24/12/14 10427
509690 [유머] K5 무사고 출고 [30] kapH10803 24/12/14 10803
509689 [LOL] 김목경 감독 근황.jpg insane5824 24/12/14 58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