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1/19 15:09:03
Name Myoi Mina
File #1 hNBGGA.png (1.46 MB), Download : 100
File #2 zXYZAn.png (101.8 KB), Download : 89
출처 더쿠
Subject [유머] 60년대 영화에도 나오는 빼앗긴 가난 기만질.jpg




...저 당시면 그때를 아십니까 같은 다큐 영상에서 돼지 오줌보로
축구하던 시절 보여주던 시기 아닌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1/19 15:10
수정 아이콘
저기서 공 사다달라고 말하는 막내가 배우 안성기씨입니다.크크
포켓몬
24/11/19 15:15
수정 아이콘
성기가 작고 귀엽네요
EK포에버
24/11/19 15:24
수정 아이콘
엄앵란 선생님도 보이네요.
Myoi Mina
24/11/19 16:04
수정 아이콘
아버지역의 배우가 배우 김희라씨의 부친인 김승호선생님이죠

배우로 출중한 연기력을 보여줬었으나 갑작스런 고혈압으로 별세하셨던..

아버지 별세로 대학 재학중이시던 김희라씨가 중퇴 후 바로 배우로 전환하셨었죠
카이바라 신
24/11/19 15:12
수정 아이콘
60년대면 진짜 부자맞는데? 집만 큰건가? 아님 전세집?
우상향
24/11/19 15:15
수정 아이콘
???: 북에서도 보고 있소. 남한은 이정도도 가난한 축에 속한다고 하는 게 좋겠소.
레드빠돌이
24/11/19 15:15
수정 아이콘
저때나 지금이나 나 정도가 딱 서민이라고 생각하죠
안군시대
24/11/19 15:21
수정 아이콘
드라마나 영화나 제대로 된 서민의 삶을 보여준 적이 거의 없죠. 무슨 서민이 서울에 있는 마당과 사랑방이 딸린 단독주택에 살아?
그나마 좀 현실적으로 보여준 게 한지붕세가족의 순돌이네 정도? 동네 전파상 사장임에도 단칸방에서 세 식구가 사는..
handrake
24/11/19 15:44
수정 아이콘
과거 드라마중에 파랑새는 있다, 서울의 달 정도가 생각나네요.
드라마가 여자들을 위한 포르노라는 말도 있으니 아무래도 서민보다는 부유층 삶을 보여주는게 시청률에 유리하겠죠.
PPL도 그렇고
시드라
24/11/19 15:55
수정 아이콘
그래도 과거에는 서민 모습을 어느정도는 보여줬는데 요즘은 그런 작품이 기억에 없네요
안군시대
24/11/19 15:56
수정 아이콘
그나마 기생충이 약간은 보여주긴 했죠. 좀 극단적으로 표현했긴 했어도..
시드라
24/11/19 15:58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영화쪽은 좀 있네요

드라마는 정말 기억에 없습니다
베이컨치즈버거
24/11/19 16:58
수정 아이콘
나의 해방일지 나 우리들의 블루스 정도면요?
슬래쉬
24/11/19 17:49
수정 아이콘
나보다 잘 사는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가 궁금하지
나보다 못 사는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는 대부분 궁금해 하지 않으니깐......
구급킹
24/11/19 18:50
수정 아이콘
진짜 서민들의 현실적인 지리멸렬함을 보여주면 안보니까요 주타겟층이..
forangel
24/11/19 18:56
수정 아이콘
전원일기나 파랑새는 있다 였나? 그런 드라마 인기 있을때는 꽤 서민적이긴 했죠.
20060828
24/11/19 20:07
수정 아이콘
막상 현실적으로 묘사하면 사람들이 안볼걸요? 현실도 고통인데 드라마에서도 그 감정을 느껴야하니..
안군시대
24/11/19 20:30
수정 아이콘
그건 맞죠. 그런데 그러면 그걸 서민인것처럼 표현하면 안되고, 중산층으로 표현했어야 맞다고 봐요.
뭐 그걸 극적 허용이라고 주장한다면 할 말은 없지만요.
24/11/19 15:27
수정 아이콘
뭐? 가난?
시무룩
24/11/19 15:32
수정 아이콘
나라가 이렇게 부유해진 지금도 시골 가면 쓰러져가는 집에 사는 어르신들 많죠
그렇군요
24/11/19 15:34
수정 아이콘
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너도 나도 일어나 새마을을 가꾸세~
루크레티아
24/11/19 15:42
수정 아이콘
최근 KBS1에서 고전영화들 방송해주는데 생각보다 진짜 흥미진진한 영화들 많더군요.
전형적인 클리셰부터 시작해서 그 당시 시대상이 고스란히 드러난 모습들이 대단합니다.
아카데미
24/11/19 15:47
수정 아이콘
2024년 현재도 저 집보다 안 좋은 집에 사는 사람들 많을거 같은데
모나크모나크
24/11/19 15:51
수정 아이콘
저 분들이 도박이나 사업으로 날리지만 않았으면 지금도 건물 몇 채씩 갖고 계시면서 잘 살고 계시겠죠?
안군시대
24/11/19 15:54
수정 아이콘
그 정도까지 가려면 투자에 대한 개념이 좋거나 사업에 성공한 케이스일거고요,
저 집이 자가라면 저기가 개발되거나 했을 때 받은 돈으로 서울에 큰 평수의 아파트 한 채 정도는 장만 가능했을 것 같습니다.
친척 어르신들 중에 대충 저 정도로 사셨던 분들이 딱히 큰 일 안 벌이시고 사셔서 그 정도가 되셨더라고요.
모나크모나크
24/11/19 17:16
수정 아이콘
엇 생각보다는 덜 잘 사시긴 하네요.
손꾸랔
24/11/19 15:56
수정 아이콘
다른 얘긴데, 저 시절은 물론이고 8-90년대 방송을 다큐로 틀어주는거 보면
사람들 말투가 지금과 너무 달라 신기합니다. 오히려 북한 말투와 비슷하더라는
미나리돌돌
24/11/19 17:18
수정 아이콘
서울 사투리 참 신기하더라구요
시드라
24/11/19 17:35
수정 아이콘
제가 주말에 서울 올라갔었는데 모 지하철 역에서 잠시 이동할 때 등산복 입은 50-60대로 보이는 아주머니 모임이 딱 그 말투를 구사하시더군요

순간적으로 북한에서 오신 분들인가? 라고 생각하다가 좀 더 집중해서 들어보니 북한말이 아니라 옛날 서울 사투리였어요 크크
영양만점치킨
24/11/19 17:48
수정 아이콘
나이 좀 있으신 교포분들이 딱 그시절 말투더군요
forangel
24/11/19 19:15
수정 아이콘
서울 사투리가 그나마 90년대 극후반까지는 사용하는 사람들이 좀있었는데
2000년 들어서 급격히 사라진 느낌이더군요.
하늘하늘
24/11/19 17:14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중산층 중에서 조금 나은 정도지 상류층이라고 하기엔 골목 보면 일반 거리이고
마당도 차도 없고 식모도 없네요.
상류층 중의 상류층은 더더욱 아니고.
forangel
24/11/19 19:11
수정 아이콘
신문값,연탄값,전기세,수도세 까지 낸다는것만으로도 현재 최소 한강뷰 아파트 급이라고 보긴 해야될겁니다.
저때 대부분은 아궁이에 불때고,호롱불에,우물에서 물길러먹고,한자 많은 신문 자체를 읽을수 있는 사람도 드물때니까요.

검색하다보니 이런게 있네요 "
1960년 4월 경상북도의 절량농가는 약 10만 호에 달하였는데 이는 경상북도 내 전체 농가 호수의 3분의 1에 달하는 수치였다. 끼니를 연명하기 위해 산나물을 캐다가 실족사를 한 농민의 안타까운 소식이 신문 사회면의 한구석을 여전히 차지하였다"
절량농가(絶糧農家)는 1970년대 이전부터 쌀이나 보리 등의 양식이 떨어져 밥을 먹지 못하는 농가를 지칭할 때 사용한 단어이다.

삼시세끼 밥을 제대로 못먹는 집이 1/3이었다는거죠. 중산층 기준이 삼시세끼만 다 찾아먹어도 중산층이란 이야기가 되는거구요.
실제로 저희집 과수원에 70년대말까지 아재 몇분이 과수원 일 도와주면서 밥만 먹던 그런 아재들이 있었다고..
하늘하늘
24/11/19 22:35
수정 아이콘
경북이면 그리 잘사는 지역도 아니고 더구나 농가의 1/3이 빈민 수준이라는데 그걸 일반화 시키는건 좀 많이 무리가 아닌가 싶네요.
상류층을 어느정도 비율로 삼는지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그래도 사람 부리는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인건비도 싼 시대인데.
forangel
24/11/19 19:42
수정 아이콘
1961년 3월 27일 신문 기사중에
"경북일대에 있어서 절량농가는 못된 전염병과도 같이 나날이 퍼져가고 있다. 경북의 농가 47만호에 농촌인구 약 250만중 3월 중순 현재로 반수가 넘는 약 127만명이 제때 보리밥이나마 먹지 못하고 있다한다.(경북도 집계)
도 사회과에서는 6월까지는 150만이상이 양식이 떨어져 굶주림과 싸워야하게 될 것이라고 추산하였다. 재작년의 수해와 풍해가 있은 후 작년의 가뭄은 경북 전역에 걸쳐서 큰 타격을 준 것이다.
어느 해나 보릿고개가 되면 농가의 대부분은 양식이 떨어지는 것이 상례이며 풀뿌리와 나무껍질을 먹으며 연명하는 것이 흔한 일이다. 그러나 지난 겨울부터의 농가 절량상대는 전보다도 훨씬 악화되어 정말 굶어죽는 사람이 생길지경이다."

1960년에는 1/3이 절량 농가였는데 1961년에는 절반으로 늘어난 모양이네요.
진짜 삼시세끼만 챙겨먹어도 중산층이던 시절..
지니팅커벨여행
24/11/19 19:48
수정 아이콘
가난한 게 원수라고 했지 본인이 가난하다고 한 건 아닙니다?
성배hollyship
24/11/20 01:10
수정 아이콘
서울태생이고 충분히 증언자격 되는 사람입니다. 저 정도면 잘사는 계층에 속한편이지만 그렇게 상류층까지는 아닙니다. 그때만해도 집은 주거가 주목적인데다 사람들이 서울로 몰려들기 전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때는 저런 전통가옥 형태의 집이 무수히 많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8858 [유머] 주차빌런을 만났다는 제보자 [16] 뭉땡쓰10696 24/11/23 10696
508857 [유머] G식백과 영상을 보고 롯데팬들이 극대노한 이유 [67] 뭉땡쓰9082 24/11/23 9082
508856 [유머] 불법주차하는 성찬 수준.jpg [7] 뭉땡쓰8926 24/11/23 8926
508855 [유머] 교수님한테 카톡이 올 때 대처법 [12] 마스터충달8481 24/11/23 8481
508854 [유머] [고전] 박재정 너는 내운명 연기모음 [11] Croove6483 24/11/23 6483
508852 [LOL] 창의적인 이니시 [8] 쎌라비8619 24/11/23 8619
508851 [유머] 인간의 이중성을 표현한 짤 [21] 동굴곰10356 24/11/23 10356
508850 [유머] 진정한 마라톤의 정신으로 되돌아가자!!! [24] a-ha8856 24/11/23 8856
508849 [서브컬쳐] 11월 29일 발매되는 라이트노벨 신작 [14] 유머5685 24/11/23 5685
508848 [유머] 새로 공개된 맨시티 다큐에 등장하는 열성적인 한국인 팬 [14] EnergyFlow8780 24/11/23 8780
508844 [유머] 서울대 출신 아빠가 좋은점 [50] 핑크솔져12166 24/11/23 12166
508843 [유머] 남초 갤러리에서 AV 이상형 월드컵을 하면 안되는 이유.jpg [10] Myoi Mina 10639 24/11/23 10639
508842 [유머] 결국 깨끗해져버린 유튜버 [10] Myoi Mina 10193 24/11/23 10193
508841 [유머] 음주운전이 맞긴한데 뭔가 좀 불쌍한 사건 [43] EnergyFlow10511 24/11/23 10511
508840 [기타] 미대입시 실기 평가방법 [39] a-ha10404 24/11/23 10404
508839 [서브컬쳐] 40년 지나도… 손오공, 파워 여전하네 [17] 고쿠8281 24/11/23 8281
508838 [기타] 30초짜리 영화, 드라마 예고편들 [2] 제가LA에있을때5695 24/11/23 5695
508837 [LOL] 도란 프로게이머 하는데 큰 도움을 준 아프리카 방송인.MP4 [5] insane8542 24/11/23 8542
508836 [게임] 림버스 컴퍼니 X 명일방주 콜라보 티저 [3] 김티모7144 24/11/23 7144
508835 [방송] 더 지니어스 오프닝 퀄리티 엉망이라는 업계인 [2] VictoryFood8804 24/11/23 8804
508834 [연예인] 이름이 어디서 많이 들어본 개그우먼인데?? [16] 뭉땡쓰11415 24/11/22 11415
508833 [유머] 수업 강제로 듣고 울고있다.. [26] 삭제됨10229 24/11/22 10229
508832 [스포츠] 복싱에서 강한 스킬이라고 오해받는 기술 [16] INTJ10180 24/11/22 101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