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0/30 23:33:19
Name VictoryFood
출처 트위터
Subject [유머] 드디어 아이폰에 공식지원되는 통화녹음.twt


운영체제를 iOS 18.1 베타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된다네요.
원칙적으로 통화녹음을 상대방에게 고지하는게 맞기는 하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looming
24/10/30 23:38
수정 아이콘
원칙적으로 맞지는 않은 것 같아요. 통화녹음 고지 의무가 없는 국가가 우리나라 뿐인 것도 아니고. 그냥 애플이 국가별 커스터마이징에 인색한 것 뿐이죠.
정치글정치댓글안쓰기
24/10/31 00:26
수정 아이콘
SKT 에이닷에다가 통화녹음 상대방에다가 고지하라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겐세이 넣다가 그게 개인정보랑 뭔상관이냐는 항변으로 어떻게어떻게 넘어간 거로 알고 있는데.. 알게 모르게 정부기관이나 정치권 시민단체 등 통화녹음 고깝게 보는 시선이 많습니다
애플도 한국에서 그런 움직임이 있다는 건 분명 알고 있고 괜히 커스터마이징 수고는 수고대로 하고 이리저리 법률비용 쓸 일만 생길까 싶은거도 있죠
오타니
24/10/30 23: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가 원하는 건
상대동의가 아닌 그냥 내가 녹음하고픈거죠.
대학축제나 심지어 아이들 학예회에도 상대방 동의없이 영상부터 찍고보는 민족이라..
척척석사
24/10/31 01:21
수정 아이콘
전화는 사생활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저는 통화당사자는 뭐가 문제냐고 생각합니다만) 뻔히 다 노출된 장소에서 영상 찍는건 딱히 누구 동의가 필요한 항목은 아닌 것 같아요

한국 기준으로는 그게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대학축제나 학예회에서 동의없이 영상부터 찍고보는게 민족이 어쩌고 하는 얘기 나올만한 건 아닌 것 같아요 오히려 우리나라니까 그게 문제인 것처럼 얘기하는거 아닌가 싶고
지구돌기
24/10/31 01:32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나라에선 공공장소에서의 촬영에 상대방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합니다.
우리나라가 엄격한 편이죠.
키르히아이스
24/10/31 05:00
수정 아이콘
오히려 초상권따지면서 더 엄격하게 구는편이죠
민족운운할일은 아닙니다
24/10/30 23:42
수정 아이콘
희망편 : 전화로 헛소리를 적게 들을 수 있다

절망편 : 결정적 증거를 잡을 수가 없다
제로콜라
24/10/30 23:44
수정 아이콘
통화 시작할때부터 자동으로 고지하고 녹음해줬음하는데
24/10/31 06:26
수정 아이콘
단축어로 누가 만들어주지 않을까요
시린비
24/10/30 23:57
수정 아이콘
전 고지안하고 녹음하는 갤럭시가 편하긴 하네요.. 업무상 발언들 까먹은거 다시듣기도 편하고 자동으로 전부녹음되니
24/10/31 00:00
수정 아이콘
통녹은 신입니다 크크
실제상황입니다
24/10/31 00:23
수정 아이콘
각자 알아서 하는 게 원칙이죠. 뭐가 맞다느니 또 뭐가 원칙이라느니 하는 구호들이 있을 뿐이구요.
유감스럽지만 그것은 원칙이 아니라 그냥 개인의 생각일 뿐입니다.
물론 온전히 개인의 생각은 아닐 테고 그러한 구호를 지지하는 다수의 생각이겠지만요.
손꾸랔
24/10/31 00:27
수정 아이콘
근데 통화녹음 말고 그냥 (대화)녹음이나 촬영할 때도 저렇게 음성 안내가 나오나요?
24/10/31 00:4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녹음할 권리가 있으면,
녹음한다는걸 알 권리도 있다는게 맞는거 같긴 합니다.
24/10/31 07:05
수정 아이콘
그러면 녹음하는 걸 알리지 않을 권리도 있죠.
24/10/31 07:37
수정 아이콘
이 경우 권리는 상호간에 있는데, 말씀하신 것만 따지면 완전히 한쪽의 권리만 인정해주는 셈이죠.
24/10/31 08:07
수정 아이콘
알 권리와 알리지 않을 권리가 서로 배치되는 상황에서
현재는 알리지 않을 권리가 더 우선시되는 것 같네요.
참고로, PilgRim님이 말씀하신 알 권리도 있다는 것에는 공감합니다.
24/10/31 08:15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입니다. 아예 상충되는 권리고 공동체마다 구성원의 합의에 따라 결정하면 되겠죠.
앙몬드
24/10/31 03:41
수정 아이콘
갤럭시 자동 통녹되는게 하루이틀도 아니고 그동안 한국에서 몇천만명이 갤럭시를 써왔는데 갑자기 아이폰에서 통녹 지원하면서 통화녹음 고지된다고 하니까 뜬금없이 고지하는게 맞다는 의견이 나오기 시작하는거 보니 아직도 애플 혁신이 살아있는건가 우습네요 크크
24/10/31 06:25
수정 아이콘
전에는 별생각없이 쓰다가도 뭔가 계기로 다른 생각이 드는거 뭐그렇게 없는 일이 아닌데요
이런식으로 모든걸 애플빠 삼성빠 관점으로 보는 시각이 전 더 우습네요
24/10/31 07:32
수정 아이콘
한국서 별 관심이 없어서 그렇지 픽셀이나 다른 안드 제조사도 통녹 고지는 해왔습니다. 애플이 처음은 아니라는 거죠...
그래도 저는 갤럭시 방식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시무룩
24/10/31 08:25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는 모르겠는데 갤럭시 쓰는 사람이 더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기본적으로 통화 녹음이 되겠거니 생각하고 통화하는게 편하죠
본인이 대화 주체면 녹음기로 몰래 녹음해도 합법이니 통녹을 고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테스형
24/10/31 08:40
수정 아이콘
통녹 써보려고 처음으로 베타부터 올려서 써봤는데.. 고지 때문에 아기랑 통화할 때만 녹음해보고 실사용은 전혀 못하고 있네요 심지어 자동녹음도 안 돼서
아기랑 통화하려고 녹음버튼 누르니까 아내가 "아니 왜 자꾸 녹음하는거야?"라고 반응하는 거 보면 다른 사람은 뭐 말할 것도 없지 싶어요 크크
24/10/31 08:52
수정 아이콘
그 원칙은 누가 정한 원칙인가요?
24/10/31 09:39
수정 아이콘
원칙?..................
WhiteBerry
24/10/31 17:17
수정 아이콘
전지적 애플유저 관점의 원칙인가요?

통녹 고지가 원칙이면, 내가 포함된 다른 모든 녹음도 고지를 해야죠. 예를들면...

1) 성희롱 피해 증거를 잡기위한 녹음
2) 직장내 괴롭힘

애플 유저분들은 예컨대 이런 상황에서도 고지하고 녹음을 하시겠다는 건가요?

애플, 아이폰이 추구하는 방향성이 무조건적으로 옳다고 맹신하고 그걸 증명하기 위해 되지도 않는 무리수를 두는걸 보면 참 재밌어요.
24/10/31 20:53
수정 아이콘
그냥 궁금한건데 1번같은 경우 고지 없이 녹음했을 때 법정에서 증거로 채택 가능한가요?
WhiteBerry
24/11/01 02:38
수정 아이콘
당연히 됩니다. 본인이 포함된 대화내용은 상대방 동의없이 녹취 가능하고 증거로도 채택 가능합니다.
24/11/01 11:5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9236 [기타] 지금이 맛폰사기에 적기인 이유 [46] Lord Be Goja10787 24/12/02 10787
509235 [유머] 전세계여 트럼프 앞에 무릎꿇으라! [24] 깃털달린뱀9575 24/12/02 9575
509234 [기타] 은근히 한국 환경에 맞지 않는 아이폰의 새 키보드 [7] Lord Be Goja8722 24/12/02 8722
509232 [게임] 출시 10개월 만에 95% 할인으로 판매하는 게임 [14] 손금불산입9593 24/12/02 9593
509231 [유머] 게장 먹다 위험했던 사람 [14] 길갈9923 24/12/02 9923
509230 [유머] 배운 사람들 근황.jpg [18] 캬라12414 24/12/02 12414
509229 [기타] 요즘 중국에서 한물간 유럽산 제품 [31] Lord Be Goja12750 24/12/02 12750
509228 [기타] 천조국 와이프 인증 레전드 [18] 묻고 더블로 가!11985 24/12/02 11985
509227 [유머]  한국인이라면 웃음이 나온다는 만화장면 [16] 꿈꾸는드래곤11652 24/12/02 11652
509226 [유머] 미국 해군사관학교의 독특한 문화 ‘선택의 밤’ 드래프트 데이.jpg [44] 매번같은10032 24/12/02 10032
509225 [기타] 인텔의 운명이 갈렸을지도 모르는 13년전의 일 [11] Lord Be Goja8547 24/12/02 8547
509224 [유머] 케냐 런린이 하프 마라톤 기록... [6] a-ha7736 24/12/02 7736
509223 [기타] 최근 심각하다는 미국 특수부대. [16] 캬라10309 24/12/02 10309
509220 [기타] 모아나 2 흥행 근황 [40] 롤격발매기원11982 24/12/02 11982
509219 [게임] 중국 유저의 극찬 [7] 이호철10373 24/12/02 10373
509218 [동물&귀욤] 브라질의 흔한 일상.twt [9] VictoryFood8875 24/12/02 8875
509217 [유머] 생각보다 나이가 많지 않았던 헐리우드 영화배우 [9] 베라히11585 24/12/02 11585
509216 [유머] 주병진의 집의 크기가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이유 [78] 뭉땡쓰13933 24/12/02 13933
509215 [유머] 백설공주 근황.mp4 [49] 뭉땡쓰10652 24/12/02 10652
509214 [유머] 공혁준이 다시 다이어트를 시작하게 된 이유 [58] 뭉땡쓰11555 24/12/02 11555
509213 [유머] 조선 역사상 가장 역대급 인재풀을 보유한 왕 [32] 뭉땡쓰11488 24/12/01 11488
509212 [동물&귀욤] 길에 누가 눈오리 열개 만들어놓음 [12] 유머7307 24/12/01 7307
509211 [기타] 동해중부선(포항-삼척) 개통 [31] a-ha8976 24/12/01 89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