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0/12 09:00:19
Name a-ha
File #1 after_han_kang.jpg (246.2 KB), Download : 156
출처 유튜브
Subject [기타] 해외 문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다는 한국 작가들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 이후 한강 작가 말고도 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가들이 더 있다는 보도들이 있네요. 직접 거론되거나 자막으로라도 언급된 작가들을 살펴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이 가운데서는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만 읽어봤는데 저는 진짜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황석영 작가는 사실 문학계 원로인데 작품 번역이 늦게 되서 그런건지 뒤늦게 주목받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한국 문학계가 좋은 작가의 발굴은 물론이고 능력있는 번역가의 발굴에도 힘을 써야 되는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정보라 (저주토끼)
황석영 (철도원 삼대)
박상영 (대도시의 사랑법)
천명관 (고래)
윤고은 (밤의 여행자들)
손원평 (아몬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망고베리
24/10/12 09:14
수정 아이콘
문학에도 한류가 부나요
EnergyFlow
24/10/12 09:16
수정 아이콘
눈마새... 눈마새는 없는가
24/10/12 09:16
수정 아이콘
고래 진짜 재미있게 읽었고 좋아하긴 하지만, 언제까지 고래 이야기만 할런지... 다음 작품은 기대치가 있어서 그런지 좀 아쉽네요.
진공묘유
24/10/12 09:19
수정 아이콘
고래가 그 통뼈 아줌마나오는 거였나요

글빨은 좋지만 그거 빼곤 다 별로였던거같은데

아니 근데 이걸 읽은지가 20년은 족히 됐는데 지금 와서 조명된다는게 좀 재밌네요
데몬헌터
24/10/12 09:21
수정 아이콘
문학은 만화만 보는 저도 황석영 이름 석자는 들어봤으니 흐흐
제육볶음
24/10/12 09:21
수정 아이콘
황석영의 삼대라고 불렀던 철도원 삼대... 꼭 읽어보세요.
대작입니다
요케레스
24/10/12 09:26
수정 아이콘
투명드래곤 붐은 온다
如是我聞
24/10/12 09:35
수정 아이콘
황석영선생의 장길산은 외국인들이 읽기 부담스럽겠지만, 무기의 그늘과 손님은 꽤 볼만할 겁니다.
랜능크
24/10/12 09:42
수정 아이콘
고래는 확실히 국내보단 해외에서 좋아할거같네요
지구 최후의 밤
24/10/12 09:57
수정 아이콘
학창시절까지 제일 좋았던 책이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이었습니다.
처음 읽을 땐 어려서 가닥이 안 잡히는 것도 많았는데 중학교 들어가서 읽으니 새로운게 보이고 고등학교때 다시 읽어도 새로운게 보이더라구요
24/10/12 10:01
수정 아이콘
당연히 작품도 중요하겠지만

번역이 진짜 중요할 것 같네요..

영화같은건 자막이 거지같아도

그래도 배우들의 연기나 표정 이런거로 어느정도 보완이되는데 글은...그렇지 않으니...
청운지몽
24/10/12 13:30
수정 아이콘
그래서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하죠
단순히 언어만 배운분이 아닌 해당 서적의
전공지식이 있는분들이 번역할때 퀄리티도 확 좋아지고요
사부작
24/10/12 10:07
수정 아이콘
박상영 작가 평범한 회사원 시절 이야기 재밌던데 잘 됐으면 좋겠네요
지네와꼬마
24/10/12 10:12
수정 아이콘
천명관 고래는 백년의 고독같은 작품인데 힌번쯤 앍어볼만한 작품입니다.
환상회랑
24/10/12 10:19
수정 아이콘
천명관, 박상영이 주목받는게 좋네요.
24/10/12 10:25
수정 아이콘
한국문학이 세계적으로 영문학에 비해 문학성 전혀 딸리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심지어 장르소설 쪽으로 가도 명작은 전세계 흥행한 해리포터 같은 세계적 소설에 겨룰만하다 봐요.
문화 측면에서 한국드라마나 영화가 통하는거 자체가 한국적 감성이 통한다는 증거죠.

다만 언어체계가 문법부터 시작해서 영어계열이랑 완전 다르다보니까
그 다른 언어의 섬세함을 그대로 전달하는게 어려운 부분이 있었죠. 전달 측면에서 순수하게 글로만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 순수문학은 다른 나라에 전달하기 가장 어려운 분야니까요. 여튼 국격이 올라가니까 이런 부분도 전부 되는군요.
울리히케슬러
24/10/12 10:48
수정 아이콘
투명드래곤이 없다니 실망이군요
24/10/12 11:13
수정 아이콘
일단 저 6권부터 봐야겠네요
철도원 삼대는 옛날에 보긴했는데 지금 읽으면 느낌이 다를 거 같음 크크
씨네94
24/10/12 11:15
수정 아이콘
대도시의 사랑법 참 재밌게 읽었습니다.
수퍼카
24/10/12 11:24
수정 아이콘
봉준호 영화가 해외에서 주목받은 것에는 달시 파켓이, 한강 작품이 잘 알려진 것에는 데보라 스미스가 많이 기여했다고 생각해서... 저런 좋은 번역가들을 잘 섭외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10/12 13:04
수정 아이콘
제 쇼츠에 최종후보 전문이라고 알고리즘에 걸렸던 정보라 작가님...크크
20231003
24/10/12 14:18
수정 아이콘
철도원 삼대 아몬드 재밌게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8834 [LOL] 2025 젠지 롤드컵 유니폼 [40] EnergyFlow3626 25/08/29 3626
518832 [서브컬쳐] 티베깅은 이렇게 하는것 [15] Lord Be Goja6332 25/08/29 6332
518831 [유머] 무분별한 지자체 마스코트 변경 이대로 괜찮은가 [47] 길갈7433 25/08/29 7433
518830 [유머] 증명사진보고 난리났다는 현대차 신입사원.jpg [60] 핑크솔져9901 25/08/29 9901
518829 [게임] 스파6 몬헌 콜라보 [4] STEAM2197 25/08/29 2197
518828 [기타] 한국인들만 유독 잘 틀린다는 문제 [24] 묻고 더블로 가!7277 25/08/29 7277
518827 [기타] 대부에 진짜 마피아가 출연했던거였군요 [5] 김삼관5481 25/08/29 5481
518826 [유머] 군대 인사말 마스터 [21] 로켓4885 25/08/29 4885
518825 [음식] 삼양식품 과자 "짱구" 신상품 [21] 일사공사일육6221 25/08/29 6221
518824 [유머] 스파이더맨이 은퇴하면서 남긴 말은 [9] 일사공사일육5023 25/08/29 5023
518823 [서브컬쳐] 일본만화에 일본을 잔뜩 쑤셔박은 만화 단다단 [18] 김삼관8215 25/08/28 8215
518822 [서브컬쳐] 혼파망 그자체인 은하특급 밀키웨이 9화 [5] 김삼관3616 25/08/28 3616
518821 [게임] 방금 공개된 포켓몬za 신규 메가진화 [18] 두드리짱4723 25/08/28 4723
518820 [유머] 스티븐 유가 합법적으로 대한민국에 입국 하는 방법 [28] 동굴곰8349 25/08/28 8349
518819 [유머] 인종차별자를 보고 기뻐진 사람 [25] 길갈9868 25/08/28 9868
518818 [LOL] 씨맥이 루시드에게 해준 조언 [16] 카루오스5845 25/08/28 5845
518817 [게임] 오늘 드디어 스토리 업뎃된 무협게임.jpg [9] Thirsha5722 25/08/28 5722
518816 [서브컬쳐] 한탄하는 애니메이션감독 [27] 유머5913 25/08/28 5913
518815 [서브컬쳐] 케데헌이 K-POP 인 이유 [15] 카미트리아6777 25/08/28 6777
518814 [연예인] 끊임없이 도전하는 자 [234] DogSound-_-*10597 25/08/28 10597
518813 [기타] 9월부터 시행되는 5대 반칙운전 단속 [162] Cand9266 25/08/28 9266
518812 [유머] 생활의 달인에 간혹 진짜 달인이 나오는 경우 [27] 한화생명우승하자7796 25/08/28 7796
518811 [게임] (약간후방) AI로 스샷 캐릭터들을 움직이게 하기 [8] 묻고 더블로 가!5929 25/08/28 59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