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8/13 08:54:02
Name Myoi Mina
File #1 public.png (2.74 MB), Download : 204
출처 개드립
Subject [유머] 1000억 목표로 관리비가 2배로 인상된 아파트 .jpg


충당금 월 10만원...덜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8/13 08:57
수정 아이콘
음 멀쩡한건가? 과하게 거둘려는거와는 둘째로?
24/08/13 08:57
수정 아이콘
전기차 화재 대비!
24/08/13 08:59
수정 아이콘
좀 높긴한데.
각종 법이 강화되면서 늘어날수 밖에 없긴합니다.
CCTV부터 충전소, 소방, 전기, 방송.. 계속 규제 늘어나고 사람도 더 뽑으라고 하고 있는데
대단지는 그래도 버틸만한데 작은 단지는 쉽지 않죠.
별도로 작년인가는 외부 계단을 장충금으로 했다고 과태료 때린적있었는데..
관리사무소만 고생하게 생겼네요.
앙몬드
24/08/13 09:52
수정 아이콘
이거 맞습니다
본문과는 관계없지만 600세대 아파트 동대표 하고있는중인데
매년 각종 규제다 뭐다 쓸데없는거 겁나게 생겨서 돈쓸데가 엄청나게 늘어납니다
마그데부르크
24/08/13 12:03
수정 아이콘
아파트 단톡방 많이 울리나요?
저는 700세대 작은곳에 사는데.
앙몬드
24/08/13 12:04
수정 아이콘
저희는 그냥 입주민 잡담방이 따로 있어요
스웨트
24/08/13 09:00
수정 아이콘
.. 제가 잘 모르겠지만 저런건 누가 정하나요?
입주민회의 이런거로 안하나요..?
24/08/13 09:05
수정 아이콘
아마 입대의에서 의결할겁니다.
24/08/13 09:02
수정 아이콘
정확하게 기억은 안 나지만 엘리베이터 교체한다고 장충금 올릴 때도 저 정도는 아니었는데...
명탐정코난
24/08/13 09:04
수정 아이콘
제가 사는 아파트는 엘리베이터교체한다고 장충금 두밸로 오르긴 했네요
부르즈할리파
24/08/13 09:07
수정 아이콘
이 아파트가 그 케이스인지 몰라도... 일본 아파트는 관리비만큼 나온다하는데 앞으로 재건축 못하면 한국도 저렇게 가겠죠.
몽키매직
24/08/13 09:10
수정 아이콘
솔직히 관리 잘 안되는 아파트 많고 규정은 빡빡해지며 한국인들 눈은 계속 높아지고 있어서, 저정도는 아니더라도 금액이 가파르게 올라갈 건 확실합니다...
파르셀
24/08/13 09:13
수정 아이콘
일본이 10년 전부터 8090년에 지은 인프라 유지비용 대기도 힘들다고 했는데 한국도 똑같이 따라갈 모양새네요...
몽키매직
24/08/13 09:16
수정 아이콘
낡은 걸 계속 교체해주고 그 과정에서 경기 부양도 하고 도시 미관, 기능 개선을 하는 게 재건축/재개발인데, 그걸 아주 조져놔서...
소독용 에탄올
24/08/13 16:30
수정 아이콘
한국이 선진국이 되고 건설비용이 오르면서 재개발/재건축이 어려워지는 경향도 영향을 줬을겁니다....
24/08/13 09:17
수정 아이콘
보통 저런게 입주자대표랑 뭐 관련 임원이 정하긴하는데. 1000억은 정말 과하긴한데 앞으로 큰돈이 필요하긴할꺼에요.
2000년대 초반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이제 곧 엘베도 다바꿔야하고. 주차장 및 각종 보수공사, 도색도 해야해서.
이번에 전기차 화재로 관련 소방법도 더 강화되서 설비도 다시해야할 수도 있고. 근데 금액이 정말 만만찮습니다.
요새 괜히 재건축 못한다 얘기 나오는게 아니긴해요.

다만 워낙 큰 금액들이 들어가는 공사라 이게 뭐 어디에서 슈킹을 하는지도 알기가 쉽진않고.
입대위를 믿어야하는데 저렇게 1000억얘기가 나오면 불신의 시작이라.. 뭐 어찌될런지. 아파트 관련 일들은 정말 복마전입니다.
잘되는데는 잘되지만 왠만해서는 빌런 천지에요. 나이드신 어르신들 직업이라곤 없어서 저기서 어떻게든 빼먹을려고 하는 경우도 많고.
관리소장이 엘베교체 사업자 바꾸려고 들기도하고.
아들셋
24/08/13 09:19
수정 아이콘
재건축 못하는 단지이고 거기서 평생 살거면 미래 준비를 잘 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팔 사람이면 불만이 많겠죠.
24/08/13 09:27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엘베 교체했는데 대당 5000만원정돈가 했던걸로 기억하고 오른 장충금이 2만원대 나옵니다
저건 100프로 문제 있죠
24/08/13 09:35
수정 아이콘
장충금 빼먹기 요즘에도 있나요...
사람되고싶다
24/08/13 09:36
수정 아이콘
장충금 저거도 현실화 되긴 할 거에요. 원래 낡으면 부수고 새로 지으면 개이득이라 따로 돈들여 계속 보수해나갈 유인이 적었는데 이젠 그 시대가 끝났으니...
일본 아파트(맨션) 보면 장충금이 거의 관리비급으로 나오죠. 우리 매매가 생각하고 싸다고 들가면 이래저래 유지비가 비쌈.
24/08/13 09:38
수정 아이콘
댓글중에 슈킹 이야기가 있는데..
요즘 300만원 이상 무조건 전자 입찰이라 쉽지 않습니다.
24/08/13 10:37
수정 아이콘
철근 빼먹기는 뭐 쉬워서 했나요..
24/08/13 10:37
수정 아이콘
그건 부실공사니 입찰과는 다른 이야기죠.
24/08/13 10:39
수정 아이콘
제도 상의 이유로 슈킹이 어렵다는 건 현실과 거리가 있다는 말이었습니다
24/08/13 11:07
수정 아이콘
탐랑님 말씀이 맞습니다.
Far Niente
24/08/13 09:40
수정 아이콘
충당금 상승은 필연이라.. 돈 내기 싫은 사람들이 아파트 벽보로 목소리 높이는 건 신뢰 1도 없고
김유라
24/08/13 09:40
수정 아이콘
아무리 비싸도 저게 7억이 나오진 않을겁니다요...
아이스크림 한개에 만원쯤 하는 이세카이가 아니고서야
24/08/13 09:58
수정 아이콘
장충금은 보수적으로 잡기 때문에 실제 입찰에서는 금액이 다르게 나옵니다.
동수*(20,000(인터넷 검색가)*층당 15~16개*층수) 하면 재료비는 꽤 나올거 같긴합니다.
물론 저걸 진짜 시행하느냐는 주민투표로 정한다음에 수정할수는 있을거 같습니다.
24/08/13 10:29
수정 아이콘
30층 해도 동당 900만원이라..

인건비외 기타등등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지만
7억 5천 7백이면 에바참치 같긴 하네요
덴드로븀
24/08/13 09:50
수정 아이콘
https://apt.koreacharts.com/apt/A42586612/contents.html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호수마을풍림아파트 관리비 조회 서비스
사용승인일 2000년 12월 07일
세대수 2,001세대

일단 같은 이름으로 검색되는 단지는 하나 나오네요.
24/08/13 10:00
수정 아이콘
호수마을이라길래 일산인줄 크크크.....
24/08/13 10:24
수정 아이콘
저기 호수는 시화호일걸요
R.Oswalt
24/08/13 10:57
수정 아이콘
시화호는 아니고 안산 호수공원이 바로 앞에 있습니다.
조미운
24/08/13 09:51
수정 아이콘
장충금이 미칠듯이 과하게 올랐다는 글인데... 충담금은 오르는게 당연하다는 댓글만 많네요. 현재 기준으로도 평균의 248% 면 완전히 아웃라이어인데 불만 나오는게 당연하죠.
24/08/13 10:03
수정 아이콘
실무쪽으로 가면 입주민 눈치보다가 장충금 쪼끔씩 올리다가 나중에 사업진행할때 빵꾸나서 몇달에 걸쳐 몇십만원씩 걷는 경우가 왕왕있습니다.
정치랑 똑같이 포플리즘이 들어가는거죠. 적게낼때는 좋아라하지만 결국 실제 들어갈돈은 똑같고, 오히려 미리 내면 이자를 통해서 나중에
실제 낼돈이 적어집니다.
실제로 저 천억중에 뽑고 뽑아서 문제 삼은게 저 계단 사례 하나 뿐이라는것만봐도 그렇죠.
뭔가 크게 잘못된게 있으면 저런 자잘한것보다 더 큰 사례들이 붙어 있겠죠.
24/08/13 10:31
수정 아이콘
매주 하나씩 공개할건데 저게 1빠인거고
빵꾸 나서 걷어야 하면 빵꾸났다고 알리고 걷어야지
공사비 구라쳐서 때우는 게 맞나요?
하우두유두
24/08/13 10:59
수정 아이콘
이거 맞긴해요. 장충금 몇만원 나오면 이거맞나고 단톡방에 따지는분들 많음
샤한샤
24/08/13 10:40
수정 아이콘
근데 장충금 원래 다 저렇게 운영합니다.
최소한으로만 걷다가 써야할때되면 갑자기 바짝 땡겨서 걷어요
조금씩 미리 내두면 좋지 않냐?
안쓸돈을 왜 걷냐고 불만 나옵니다
24/08/13 09:58
수정 아이콘
충당금의 정상화..
빼사스
24/08/13 10:00
수정 아이콘
장충금이 10만 원이면 선 넘은 거 같은데요.
24/08/13 10:10
수정 아이콘
그래서 재건축 재개발을 무조건 악마화하고 규제가 답이다 이러는건 경계해야...
Far Niente
24/08/13 10:4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시는 바엔 동의합니다만 2000년 초반부터 지어진 아파트들은 재건축도 어려워서 이쪽 사례랑은 좀 안맞죠
24/08/13 10:25
수정 아이콘
재개발은 몰라도 재건축은 이제 점점 어려워지겠죠. 용적률 200이상인 단지를 재건축하려면 분담금이 얼마나 나올지.. 사업성 좋으라고 용적률 4~500단지들 마구 찍어내는것도 말도 안되는 일이고요. 저희 부모님 사는 아파트도 용적률이 300인데 재건축은 꿈도 못꾸고 리모델링 얘기 나온지 꽤 됐는데 아직도 홍보중이더라고요. 앞으로 더 문제일거라 봅니다.
몽키매직
24/08/13 10:38
수정 아이콘
정부에서 도시 정비를 진지하게 고민한다면 사업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지방 같은 경우는 지원금도 고려해야 된다고 봅니다.
도시 정비를 쉬면 안되요 천천히라도 계속 순환시켜야 됩니다.

서울/경기권은 또 완전히 다른 얘기라 분양가 상한제만 풀어도 사업성 확보 되다 못해 넘치죠.
공사비 비싸졌다봐야 평당 400-500만원 올랐는데, 분상제로 못 받는 분양가가 평당 몇천만원 단위 인거 생각하면 뭐...
샤한샤
24/08/13 10:41
수정 아이콘
지원금을 왜 줘요..
한국은 순식간에 도시국가로 수렴하는것으로 정해진지 이미 이십년은 지났습니다
몽키매직
24/08/13 10:43
수정 아이콘
안 그러면 재건축/재개발은 수도권만 할 수 있는 게 되서 더더욱 도시국가가 되니까요.
지방 도시 개발하려면 당연히 정부 주도로 지원해야 되고, 도시 정비에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주거지니까요...
샤한샤
24/08/13 10:45
수정 아이콘
지방은 이제 차차 비워나가는걸 고민해야지 억지로 돈 더 부어서 뭐 할 수 있는게 아니죠;
NoGainNoPain
24/08/13 10:51
수정 아이콘
그럼 높은 물가와 주거비에 대한 불평불만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좁은 데서 한데 몰려살면 주거경쟁이 치열해질테니 당연히 주거비는 높아질거고 물가또한 거기에 맞게 올라갈 수 밖에 없죠.
샤한샤
24/08/13 17:57
수정 아이콘
아니죠
서울을 고밀개발해야죠
국토균형개발같은 망상을 포기하고 서울을 도쿄 홍콩 싱가폴처럼 고밀개발해야됩니다.
24/08/13 17:52
수정 아이콘
대놓고 서울 공화국을 옹호하시는 분은 처음 보네요;
샤한샤
24/08/13 17:58
수정 아이콘
아직 사람들이 그동안의 관성때문에 받아들이길 거부하고 있는 것 뿐이지 정해진 미래인데요
24/08/13 10:51
수정 아이콘
수도권에 분상제 없어도 사업성 좋은 단지는 극히 일부일거라 봅니다. 용적률 두배뻥 이런게 아니면 결국 원주민 입장에서 분담금 5억씩 내야할텐데요. 적어도 일반분양으로 사업비 다 충당해서 재건축하면 원주민 대박나는 단지들은 많지 않을겁니다.
몽키매직
24/08/13 10:55
수정 아이콘
대박까지는 아니더라도 추가 분담금 큰 폭으로 감소합니다.
용적률 200% 전후 단지들만해도 사업성 넘치게 나와요.
1000세대 이상 분양하는 단지는 분양가 총액 늘어나는 금액이 조 단위입니다.
24/08/13 11:11
수정 아이콘
사업성 높은 단지가 없다는게 아니라 일부일 거라는 말씀이죠. 입지가 진짜 좋거나. 용적률 뻥튀기가 많이 되거나. 단지규모가 작거나 신구축 시세차이가 크지 않은 곳이면 재건축은 어렵겠고요.
하아아아암
24/08/13 11:16
수정 아이콘
분상제 재초환 기부채납 다 줄여주면 사업성이 많이들 개선되긴할텐데, 다 줄이자니 공공기여가 너무 약해지고 틀어막자니 사업성 안나오고 힘드네요.

정책들 자체도 정권 바뀔때마다 고무줄인 것도 문제고.
몽키매직
24/08/13 11:26
수정 아이콘
저 중에 사업성 해치는 건 분상제 지분이 압도적이라 봐서... 기부채납은 꼭 줄이지 않아도 될 겁니다.
하아아아암
24/08/13 11: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분상제는 저도 별로긴 한데, 이거 파괴하면 아주 오래 유지해온 청약제도가 무너질 가능성도 있어서 한 번에 없애진 못할거고 이런저런 방법으로 차차 무력화/약화될 것 같네요.

지금도 청약보면 분상제 적용단지만 로또라면서 인기터지지 그 외는 파리 날리는걸 봐도 이거 없애면 정권에 타격갈 수도 있는 레벨 아닐지.

수많은 가점통장 다 날아가는데다가 사회적 신뢰 생각하면 갑자기 없애는건 바람직하지 못한 면도 있는 것 같구요.
샤한샤
24/08/13 17:59
수정 아이콘
근데 청약제도 무너지면 무슨 문제가 있어요?
저 솔직히 청약통장 유지한 분들의 신뢰가 무슨 보호해줘야할 사회적 신뢰나 아니면 그분들이 인정받아야 할 공공 기여도 뭐 그런게 있는지도 잘 모르겠어요
하아아아암
24/08/13 18:04
수정 아이콘
글세요, 그런 것들이 정치인에게는 중요하지않을까요? 안그래도 민감한 부동산인데 프레임 잘못잡히면 나락가기 딱 좋은 주제같아서요.

실제적으로는 청약통장으로 모은 주택기금이 급격하게 증발할 것도 문제겠네요.
답이머얌
24/08/15 11:03
수정 아이콘
그럼 40~50년뒤 2차 재건축은 무슨 방안으로 재건축 할까요?
오늘만 살고 후손은 모르겠다 식의 개발은 지양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안군시대
24/08/13 12:21
수정 아이콘
집갚이 고공행진하고 부동산투기가 큰 사회적 문제였던 시절에 만들어놓은 제도들이 이제와서 발목을 잡는 케이스들이 꽤 있는듯 해요. 그런데 이미 많은 사람들이 거기 발을 담궈놓고 있다 보니 함부로 뒤집기도 쉽지않고요.
일본도 버블성장기에 만들어놓은 법이나 관행들이 이후로도 유지되면서 일본 발전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얘기가 있던데, 우리나라도 왠지 따라가는 것 같기도 하네요.
24/08/13 10:44
수정 아이콘
저희도 장기수선충당금 금액 올라가고
얼마 전 엘베공사했는데 초반에 엘베 계속 장애나고 난리였네요
도어센서도 기존엔 감지식이었는데 지금은 부딪혀야 열리는 방식으로 너프됐습니다.
이거때문에 호갱노노에서 투덜거렸더니 그럴리가 없다면서 ... 할말이 없네요
24/08/13 13:08
수정 아이콘
감사가 제대로 안이뤄지면 슈킹할 방법이 너무 많이 떠올
네요. 
24/08/13 13:21
수정 아이콘
올라갈 수는 있는데 투명하게 집행되느냐는 사실... 입대위 투표율 이런거 보면 이게 민주주의인가 싶기도 하고요-_- (참여자 중 과반 이런식이라)
거기다 전세문제도 있어서 되게 애매할거 같아요. 저도 전세에 있을땐 장충금 그냥 보면서 신경도 안썼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8832 [서브컬쳐] 티베깅은 이렇게 하는것 [15] Lord Be Goja6253 25/08/29 6253
518831 [유머] 무분별한 지자체 마스코트 변경 이대로 괜찮은가 [47] 길갈7323 25/08/29 7323
518830 [유머] 증명사진보고 난리났다는 현대차 신입사원.jpg [60] 핑크솔져9756 25/08/29 9756
518829 [게임] 스파6 몬헌 콜라보 [4] STEAM2159 25/08/29 2159
518828 [기타] 한국인들만 유독 잘 틀린다는 문제 [24] 묻고 더블로 가!7166 25/08/29 7166
518827 [기타] 대부에 진짜 마피아가 출연했던거였군요 [5] 김삼관5400 25/08/29 5400
518826 [유머] 군대 인사말 마스터 [21] 로켓4825 25/08/29 4825
518825 [음식] 삼양식품 과자 "짱구" 신상품 [21] 일사공사일육6147 25/08/29 6147
518824 [유머] 스파이더맨이 은퇴하면서 남긴 말은 [9] 일사공사일육4970 25/08/29 4970
518823 [서브컬쳐] 일본만화에 일본을 잔뜩 쑤셔박은 만화 단다단 [18] 김삼관8145 25/08/28 8145
518822 [서브컬쳐] 혼파망 그자체인 은하특급 밀키웨이 9화 [5] 김삼관3581 25/08/28 3581
518821 [게임] 방금 공개된 포켓몬za 신규 메가진화 [18] 두드리짱4679 25/08/28 4679
518820 [유머] 스티븐 유가 합법적으로 대한민국에 입국 하는 방법 [28] 동굴곰8280 25/08/28 8280
518819 [유머] 인종차별자를 보고 기뻐진 사람 [25] 길갈9799 25/08/28 9799
518818 [LOL] 씨맥이 루시드에게 해준 조언 [16] 카루오스5809 25/08/28 5809
518817 [게임] 오늘 드디어 스토리 업뎃된 무협게임.jpg [9] Thirsha5685 25/08/28 5685
518816 [서브컬쳐] 한탄하는 애니메이션감독 [27] 유머5863 25/08/28 5863
518815 [서브컬쳐] 케데헌이 K-POP 인 이유 [15] 카미트리아6724 25/08/28 6724
518814 [연예인] 끊임없이 도전하는 자 [234] DogSound-_-*10530 25/08/28 10530
518813 [기타] 9월부터 시행되는 5대 반칙운전 단속 [162] Cand9214 25/08/28 9214
518812 [유머] 생활의 달인에 간혹 진짜 달인이 나오는 경우 [27] 한화생명우승하자7737 25/08/28 7737
518811 [게임] (약간후방) AI로 스샷 캐릭터들을 움직이게 하기 [8] 묻고 더블로 가!5873 25/08/28 5873
518810 [동물&귀욤] 몸길이 2미터라는 큰꼬치고기의 어마어마한 공격속도.x [16] VictoryFood4706 25/08/28 47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