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6/12 09:33:52
Name 北海道
File #1 0612092836606261.jpg (1.87 MB), Download : 89
File #2 0612092248698555.jpg (148.5 KB), Download : 87
출처 https://m.youtube.com/watch?v=qlcOCKV8ea8&embeds_referring_euri=https%3A%2F%2Fnews.kbs.co.kr%2F&source_ve_path=MjM4NTE&feature=emb_title
Link #2 https://theqoo.net/review/486709464
Subject [유머] 북한에 갔다온건 해외여행 아닌가요?.jpg




대한민국 헌법상
형식적으로는 반국가단체지만

실질적으로는 국가인 북한으로 여행간게 해외여행인지 논란.

참고로
해외여행이랑 국외여행은 똑같은 의미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 Greatest Hits
24/06/12 09:35
수정 아이콘
금강산 다녀오긴했는데 해외여행이라고 생각은 해본적 없는데 신선하네요
안군시대
24/06/12 09:36
수정 아이콘
헌법 제 3조: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영토로 한다.
대한민국이네. 헌법님이 그렇게 말하면 그런줄 알아야지.
산밑의왕
24/06/12 09:37
수정 아이콘
일단 바다를 건너진 않았으니...크크
회색사과
24/06/12 09:39
수정 아이콘
글케치면 멕시코 난민이 미국 가는 것도.. 
유료도로당
24/06/12 09:53
수정 아이콘
그 기준에 따르면 제주도도 해외여행으로 쳐주게 됩니다 크크
평온한 냐옹이
24/06/12 10:38
수정 아이콘
유럽같은 경우 거리건너면 다른나라인경우도 있어서
싱가폴에서 말레이지아를 차로 넘어간적있는데 차안에서 앉아있으면 와서 여권검사하고 끝이더군요
마음속의빛
24/06/12 09:38
수정 아이콘
헌법상 북한 영역도 대한민국 땅이니 국내여행 아닐까 싶습니다.
아웅산
24/06/12 09:38
수정 아이콘
국가 구성의 3대 요소가 영토 국민 주권 인데 북한은 셋 다 있으니 타국이 맞아 보이는군요 후후
타카이
24/06/12 09:39
수정 아이콘
당시 출입국 사무소는 지나야했으니
외국으로 보긴해야
닉네임을바꾸다
24/06/12 10:41
수정 아이콘
출경 입경 아닌가요 크크
24/06/12 11:14
수정 아이콘
출입국심사가 아니라 출입경심사를 받습니다
아서스
24/06/12 09:39
수정 아이콘
명목상 국내여행
실질적 해외여행

이렇게 봐야하지 싶습니다.

근데 사전적 의미로도 해외(海外)는 아니긴 한데 크크 (일본에서 온 단어라 그렇긴 하지만..)
산밑의왕
24/06/12 09:54
수정 아이콘
海外라는 표현 자체는 중국에서 온 것으로 보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해외에서 무역하고, 해외에서 조공하고 같은 표현이 계속 나오거든요.
영어 Overseas도 영어의 특성상 잉글랜드 섬나라에서 오다보니 해외 = 다른나라가 된 것 같네요.
기무라탈리야
24/06/12 11:40
수정 아이콘
영국 또 너야!?
참룡객
24/06/12 09:39
수정 아이콘
여권을 안썼다면 해외여행이 아닌게 아닐까요?
24/06/12 09:40
수정 아이콘
법적으로는 아니나 실질적으로는 그에 준해보이긴 합니다. 미국에서도 북한 입국 경험이 있는 경우 ESTA 발급을 안해준다고 들었구요.
하아아아암
24/06/12 09:42
수정 아이콘
해외여행과 국외여행이 같은 뜻인건 좀 이상하군요

오랜 섬나라라 그런거 같기도하고
시무룩
24/06/12 10:03
수정 아이콘
국내 여행이냐 국외 여행이냐 양쪽 의견 다 보는 관점 차이라 생각하고
저는 헌법에 따라서 국내 여행이라 생각합니다
북한이 나라 행세를 하고 있고 많은 나라에서 나라로 취급하지만 어쨌건 거긴 우리나라 땅이니까요
24/06/12 10:05
수정 아이콘
국내죠
24/06/12 10:06
수정 아이콘
금강호 타고 나갈때 여권심사했던걸로 기억하는데..
24/06/12 11:14
수정 아이콘
출입국심사가 아니라 출입경심사를 받으셨습니다.
지구 최후의 밤
24/06/12 10:13
수정 아이콘
금강산 다녀오긴 했는데 해외여행이라는 생각은 한 번도 안 해봤어요.
그 전에 북한 자체는 외국도 아니고 우리 나라도 아닌 무언가의 느낌이라...
24/06/12 10:16
수정 아이콘
여권에 도장 없으면 국내로 봐야죠
24/06/12 10:28
수정 아이콘
남북의 관계가 특별한것 뿐이지 해외 맞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유럽은 어떤가요? 인접국가를 넘나들때도 항상 여권에 도장찍히고 그러나요?
산밑의왕
24/06/12 10:51
수정 아이콘
유럽은 마스트리흐트 조약이나 솅겐 조약에 따라 국경 넘을때 별도의 절차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국경 넘을때마다 여권심사하면 교통이랑 물류 망해요...
24/06/12 10:30
수정 아이콘
유엔 동시가입 시점부터 국제적으론 다른나라라고 인정되었다고 봐야죠. 우리끼리만 거기까지 우리나라임! 하는거고..
티오 플라토
24/06/12 10:31
수정 아이콘
한국인끼리는 국내여행, 외국인에게는 해외여행으로 소개하는게 어떨까요? 이것이 외왕내제하던 전근대 국가들의 지혜가 아닐까요?
及時雨
24/06/12 10:34
수정 아이콘
뭔가 그 중국이 북한 먹으면 찬성하냐 그거랑 비슷한 느낌이네요 크크
24/06/12 10:35
수정 아이콘
기준은 각자 다르겠지만 해외여행이라고 생각한 적은 없습니다
24/06/12 10:53
수정 아이콘
해외여행까지는 아니고 특수여행이라 생각할듯..
연필깍이
24/06/12 11:22
수정 아이콘
실제 금강산 수학여행 다녀왔고 해외여행이라 생각해 본적이 없습니다.
한국에서 해외여행은 한국어가 아닌 다른말을 공식언어로 쓰는곳에 다녀왔다는 뜻으로 쓰이는 단어라 생각해요.
로각좁
24/06/12 11:28
수정 아이콘
해외에 한표
24/06/12 11:41
수정 아이콘
남북한특수관계론하고 직결되는 얘긴데, 남북한특수관계론이 어떤 분들 짐작처럼 그냥 보수우파에서 멸공통일론 가지고 급조한 논리가 아니었을겁니다.
저도 책 덮은지 오래되서 가물가물한데,
법무부에서 검사들 시켜서 서독에서 써먹던 논리 연구해서 기본 닦고, 대법원 헌법재판소에서 각각 재판연구원 모여서 연구해서 그게 맞다고 결론내렸을거에요. 유엔 동시가입했든 어쨌든.

그걸로 밀고 나가야 할 거예요. 아마.
레드빠돌이
24/06/12 11:44
수정 아이콘
우리가 나라로 인정안하겠다는데 다른나라가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왜 필요한가요...
뭐 이것 마저도 다른나라의 인정을 받고 싶은건가요?
외국인이 볼때 한국인이 북한여행가는걸 해외여행이라 볼수있지만 한국인이면 해외여행으로 보면 안되죠
Dear Again
24/06/12 12:05
수정 아이콘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Mini Maggit
24/06/12 12:13
수정 아이콘
굳이 유엔 기준 따질 거 없고 아람단에서 금강산 장사할 때 국내라고 느껴본 적 한순간도 없어서 전 해외
헌법은 비상시 북한주민 권익보장이나 필요시 점령명분이지 제 여행엔 전혀 와닿지 않네요
부스트 글라이드
24/06/12 12:3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금지구역에 갔다왔다고 해외라고 할 수없듯... 해외 대사관간것도 해외라고 하기힘들고...
해외로 생각하는것도 너무나도 공감하긴하는데, 근원적으로는 해외여행이라고 할 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24/06/12 12:38
수정 아이콘
뭐 둘다 인정할만한데요 흐흐
24/06/12 12:39
수정 아이콘
북한을 다른 나라로 보냐 그래도 우리나라로 보냐에 따라 갈리는 문제일거 같은데요?
법적으로야 북한도 우리나라라지만..글쎄요..
해외여행이라고 봅니다.
카디르나
24/06/12 12:51
수정 아이콘
관점을 어디로 두냐에 따라 다양한 답변이 나올 수 밖에 없는.. 불탈 수밖에 없는 주제네요. 해외여행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해외여행보다 난이도가 몇 백 배는 높다는 점에선 (그때 당시 허가가 났을 때를 기준으로 해도 해외여행보다 난이도가 어려운 것은 확실함) 해외여행 못가본 것이다라고 하기 어렵네요.
조미운
24/06/12 13:59
수정 아이콘
북한은 실질적으로 다른 나라죠. 고로 해외여행.
이시하라사토미
24/06/12 14:31
수정 아이콘
헌법상 한반도라는건 의미 없죠. 헌법에서 대한민국은 아시아 전체로 한다. 이러면 아시아 전체가 한국인가요? 아니죠.

북한도 엄연한 타국가로 봐야 하고 금강산에 갔다가 온건 해외여행이라고 봐야죠. 더군다나 해외여행의 필수코스인 면세점도 금강산에 잠시 오픈했었는데 말이죠.
北海道
24/06/12 14:53
수정 아이콘
맞네요.

금강산 면세점 ‘그랜드오픈’

https://www.travel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203
지니팅커벨여행
24/06/12 14:43
수정 아이콘
배 타고 갔으면 해외, 육로로 갔으면 아님... 이렇게 합시다
아이파크
24/06/12 14:58
수정 아이콘
한국인 대상으로 말하면 국내여행, 외국인 대상으로 말하면 해외여행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1494 [동물&귀욤] 카페에 들어온 초등학생 두명.jpg [15] 이시하라사토미3960 24/06/14 3960
501493 [기타] 어제 잠실야구장을 뒤집어 놓은 어린이 치어리더 [38] 아롱이다롱이7037 24/06/14 7037
501492 [유머] 피지알러를 위한 가성비 마우스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3322 24/06/14 3322
501491 [기타] 생각보다 빡센 군대 면제 컷 [57] 쎌라비6472 24/06/14 6472
501490 [스포츠] [축구] 잉글랜드인 긁는 독일,이탈리아인 [35] Croove3965 24/06/14 3965
501489 [LOL] 비시즌동안 체중이 10kg 증가한 서포터가 있다? [24] 종말메이커4916 24/06/14 4916
501488 [유머] 남친 기가 너무쌘데 어떡하면 좋을까 [37] 주말8175 24/06/14 8175
501487 [유머] 오답으로 처리해서 논란이 됐던 초등학교 국어 시험문제.jpg [23] 北海道5279 24/06/14 5279
501486 [동물&귀욤] 마술 리액션 혜자 [1] kapH2692 24/06/14 2692
501485 [유머] 야한거 보다 들킨 어른의 옳게 된 반응.jpg [14] 캬라7419 24/06/14 7419
501484 [서브컬쳐] 미술실력이 인생에 미치는 영향 [14] Lord Be Goja4912 24/06/14 4912
501482 [유머] 갑작스러운 교통사고때문에 억울한 김계란 [18] Myoi Mina 7506 24/06/14 7506
501481 [유머] 군인이 없어서 학군단을 늘린다는 국방부 [72] Myoi Mina 7482 24/06/14 7482
501480 [유머] 일론머스크가 야동보다가 들켜서 한일 [26] Myoi Mina 6538 24/06/14 6538
501479 [기타] 불만들이 나오고 있는 치지직 중간광고 [96] 묻고 더블로 가!10911 24/06/14 10911
501478 [서브컬쳐] 1기 마지막화 방영후 바로 2기 제작결정이 발표된 애니 [31] 슬로5565 24/06/14 5565
501477 [동물&귀욤] 펠리컨적 사고 [6] 쎌라비4043 24/06/14 4043
501476 [유머] 요즘 번지 점프 근황(인지 아닌지 모름).gif [6] VictoryFood5508 24/06/14 5508
501475 [유머] 400만원 디올 가방, 원가 8만원? [68] VictoryFood8980 24/06/14 8980
501474 [기타] 또 터진 메이플 그 성향 손가락.jpg [62] 이시하라사토미7815 24/06/13 7815
501473 [기타] ai 사진대회에서 승리한 사진 [3] Lord Be Goja6090 24/06/13 6090
501472 [기타] 아메리카 2황의 웅장한 대결 [13] 퀀텀리프5234 24/06/13 5234
501471 [기타] 네이버 큐를 가볍게 압도하는 구글 잼민이 [6] Lord Be Goja4710 24/06/13 47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