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6/01 23:40:10
Name roqur
File #1 style_63f834d1a9c4b_649x930.jpeg (132.2 KB), Download : 159
출처 구글링
Subject [서브컬쳐] [반지의제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영화


이 영화가 개봉하고

반지의 제왕이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6/01 23:45
수정 아이콘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가 아니구요?
실제상황입니다
24/06/01 23:46
수정 아이콘
그건 이 영화가 지대한 영향을 받은 작품 아닐까여?
24/06/01 23:47
수정 아이콘
반지원정대 처음 볼때 지루했음..
무딜링호흡머신
24/06/02 00:07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볼때 잤습니다 크크

근데 2편 영화관에서 보고
다시 dvd빌려보니까 흥미진진 개꿀잼 크크
24/06/01 23:48
수정 아이콘
사실 제가 이 작품을 처음 접한건 반지의 제왕이 아니라 반지전쟁 이었습니다. 이 영화를 본 적이 없어서 이 영화와 그 작품이 동일 작품인지 몰랐죠.
퍼블레인
24/06/01 23:51
수정 아이콘
사실 제가 이 작품을 처음 접한건 반지의 제왕이 아니라 반지의 군주 이었습니다. 이 영화를 본 적이 없었지만 이 영화와 그 작품이 동일 작품이라 생각했죠.
24/06/01 23:55
수정 아이콘
제가 눈치가 좀 없는 편이긴 합니다. 얼음과 불의 노래를 국내에 출판 될 때 마다 보고도 왕좌의 게임이 그 작품의 드라마인지 한참을 몰랐던...;;;
24/06/02 13:52
수정 아이콘
저도 동네 서점에서 굵고 가는 폰트로 600페이지 가량 있던 두꺼운 3권짜리 반지전쟁으로 반지의 제왕을 처음 접했습니다. 그 소설이 이렇게 영화화됐는데 상상보다 더 멋지더라고요.
24/06/01 23:49
수정 아이콘
무슨 드립인지 설명좀 ㅠㅠ
무딜링호흡머신
24/06/01 23:53
수정 아이콘
2편이 전세계적으로 흥행하면서 원작도 더 유명해졌다는 뜻이겠죠
24/06/01 23:58
수정 아이콘
월드와이드는 871M vs 926M로 사실 별 차이 안 났죠.
무딜링호흡머신
24/06/02 00:01
수정 아이콘
거기까진 모르겠고...
본문 글의 뜻 말한겁니당
24/06/02 00:05
수정 아이콘
네, 댓글 작성자님의 주장이 아니기 때문에, 딱히 반박은 아니고 그저 흥행수치에 대한 부연 입니다!
24/06/02 00:08
수정 아이콘
아하... 전 1편의 충격이 훨씬 기억에 남아서 왜 두개의 탑이 짤에 나왔나 이해를 못했네요 크크
지탄다 에루
24/06/01 23:55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입니다.
24/06/01 23:58
수정 아이콘
원작이 안유명하고, 영화 나오고 원작 유명해졌다는 드립이긴 하죠.
사실 원작이 안유명한건 아닌데, 아무래도 고전소설 취급이다가 영화로 인해서 대중성이 확 뛰었으니까요.
세이밥누님
24/06/02 00:04
수정 아이콘
1편 영화보고 집에 있던 책을 끝까지 정독했습니다 크크. 그때가 중1이었나…? 근데 영화보고 소설을 보니
그 인물들이 그 상황이다 라고 상상이 되니 재밌더라고요
헤나투
24/06/02 00:13
수정 아이콘
저도 1편 지루했어요. 친구들이 2편보러가자고해서 친구들끼리 모여서 보는데 잤습니다 크크
이종족끼리 모여서 회의 열심히 하다가 일어나니 간달프가 지팡이로 발록 때려잡고 있더라구여 크크
구급킹
24/06/02 11:23
수정 아이콘
1편이 원정대원9명이 다 모여있는 유일한 편이기도하고 장소가 계속 바뀌면서 모험하는 느낌이라 반지팬에게는 보물같은 편입니다. 엘프 좋아하느 사람들은 특히 더그렇구..
엑세리온
24/06/02 07:41
수정 아이콘
고딩때 야자 시간에 '반지전쟁' 소설을 읽고 수 년 뒤에 영화로 나오는 걸 알게 되었을 때 얼마나 기뻤던지...
저는 3 > 1 > 2 순으로 2편이 오히려 가장 별로였습니다. 1편은 호빗 마을에서 판타지 뽕을... 발록 등장장면에서 우와아 했고, 3편은 뭐 미나스티리스 전투장면 만으로도... 2편은 뭔가 그런 느낌이 팍 오는게 별로 없었어요
구급킹
24/06/02 11:21
수정 아이콘
2편은 스토리전개보다는 전투가 아무래도 비중이 크죠.
20060828
24/06/02 08:23
수정 아이콘
해리포터 책 읽고 영화로 나온다길래 봤는데 너무나 환상적이고 재밌었음. 책이 영화로 나오면 더 재밌구나 하고 반지의 제왕이 개봉한다길래 부랴부랴 책을 읽음. 책이 너무나 지루함. 근데 영화 개꿀잼!!! 이었던 기억 나네요 크크
24/06/02 08:57
수정 아이콘
저도 근데 어릴때 영화보고 알게되서 책보긴했네요.
씨네94
24/06/02 10:01
수정 아이콘
진짜임 크크
엘든링
24/06/02 10:02
수정 아이콘
1편이 우리나라에선 좀 평이 안 좋은데, DnD 인기 많은 서양에선 DnD식 파티플레이 모험의 원조격인 작품이다 보니 인기가 꽤 많더라구요
24/06/02 10:11
수정 아이콘
헬름협곡만 아니었으면..
(여자)아이들
24/06/02 11:01
수정 아이콘
반지, 호빗 모두 좋아합니다. 관련 스테츄나 레고 피규어들도 모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888 [기타] 주요 아시아 국가 국민들 1주일 당 독서 시간 [61] 우주전쟁7788 24/06/03 7788
500842 [서브컬쳐] [반지의제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영화 [27] roqur5133 24/06/01 5133
500698 [유머] 사실은 오역인 매드맥스의 명대사 기억해 줘! [37] 캬라6911 24/05/29 6911
500592 [유머] 더선에 올라온 영국 강도사건 범인 몽타주.jpg [14] Starlord9635 24/05/27 9635
499792 [기타] Layla [20] 머스테인8529 24/05/13 8529
499248 [LOL] MSI 앞두고 심심할 롤붕이들을 위한 떡밥 [22] 껌정6155 24/04/30 6155
499188 [유머] 의외로 정치인 안했어도 부자로 잘 살았을 사람 [23] 된장까스8122 24/04/29 8122
498567 [기타] 월세 320만원짜리 영국 런던의 원룸 [51] 우주전쟁10611 24/04/16 10611
498464 [LOL] 실시간 마타 인스타 스토리 [7] KanQui#16940 24/04/14 6940
498454 [LOL] 마지막 한 자리를 채우러 낀낀이형이 간다.jpg [15] kapH7168 24/04/14 7168
498432 [LOL] 기인 무관밈이 하루 남은 이유 [29] Leeka8166 24/04/13 8166
498392 [기타] 해리포터 영화배우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22] 퍼블레인8824 24/04/12 8824
498090 [LOL] LCK 현재 살아남은 탑 라이너들.jpg [9] Starlord5068 24/04/06 5068
497721 [유머] 스필버그가 해리포터 시리즈 영화 제작에서 손 뗀 이유.jpg [42] 北海道8495 24/03/30 8495
497611 [기타] 갓직히 네이버에서 AI 빨리 맹글어야 하는 이유 [20] Lord Be Goja6316 24/03/28 6316
497177 [기타] 페라리 EV는 감정적으로 포효하는 차가 될 것 [22] 타카이7893 24/03/20 7893
496608 [유머] 해리포터 아빠가 미묘한 캐릭터인 이유.jpg [57] 北海道7265 24/03/10 7265
496548 [기타] 의외로 짧은 전성기를 마칠지도 모르는 무기체계 [57] Lord Be Goja10985 24/03/09 10985
496078 [유머] (찌라시) 오타니 결혼상대에 대한 꺼라위키 찌라시.jpg [58] 김유라12973 24/02/29 12973
496062 [유머] 현재 논란(?)이 되고 있다는 영국의 다트 선수 [27] 우주전쟁11993 24/02/29 11993
495145 [기타] 혼돈의 미국 근황 [34] Lord Be Goja15212 24/02/13 15212
494936 [기타] 폰 없던 시절 사람 기다리는 모습 [80] 우주전쟁13681 24/02/08 13681
494918 [스포츠] 한국이 황금맴버로 무관이라 화난다고? [33] 여기13409 24/02/08 134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