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5/27 10:27:32
Name EnergyFlow
File #1 KakaoTalk_20240527_102418140.jpg (69.8 KB), Download : 86
File #2 G20240522_13_3.png (60.8 KB), Download : 84
출처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481#13
Subject [게임]  한국인이 가장 즐겨하는 취미: '게임'(9%)




·
조사기간: 2024년 3월 22일~4월 5일
· 표본추출: 층화 집락 확률 비례 추출
· 응답방식: 면접조사원 인터뷰(CAPI)
· 조사대상: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1,777명
· 표본오차: ±2.3%포인트(95% 신뢰수준)
· 응답률: 27.7%(총접촉 6,416명 중 1,777명 응답 완료)
·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

'등산, 독서' 감소, 5년 새 '게임, 영상시청, 걷기, 골프' 증가

한국갤럽이 2024년 3월 22일부터 4월 5일까지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1,777명에게 가장 즐겨하는 취미가 무엇인지 물은 결과(자유응답) '게임'(9%), '운동·헬스', '등산'(이상 7%), '(TV, 유튜브, OTT 등) 영상시청'(6%), '걷기'(4.8%), '음악감상'(4.4%), '독서'(4.2%), '골프'(4.1%), '낚시'(3.6%), '여행'(3.2%)이 10위 안에 들었다.

◎ 등산은 2014년을 정점으로 선호도가 하락했고(14%→7%), 2004년부터 지켜온 취미 1위 자리를 게임에 내줬다. 2019년만 해도 40대 이상 남녀 모두 취미로 등산을 첫손에 꼽았으나, 2024년 현재는 등산뿐 아니라 게임, 운동·헬스, 걷기, 골프 등으로 다양하게 바뀌었다.

◎ 2004년에는 독서가 등산에 버금가는 취미였지만, 20년간 점진 감소세다(8.3%→4.2%). 음악감상 역시 전보다 줄어 시청각을 모두 자극하는 게임과 영상에 밀린 양상이다.

◎ 이외 '축구'(3.0%), '영화감상'(2.6%), '원예'(식물가꾸기, 2.3%), '요리·베이킹'(2.1%), '바둑'(2.0%), '사이클'(1.9%), '뜨개질'(1.8%), '당구'(1.7%), '노래부르기'(1.6%), '그림그리기'(1.5%), '수영'(1.4%), '바느질·십자수', '요가'(이상 1.1%) 등이 1% 이상 응답됐다. 이 중에서 축구, 바둑, 사이클, 당구는 남성, 원예, 요리·베이킹, 뜨개질, 노래부르기, 그림그리기, 바느질·십자수, 요가 등은 여성이 더 즐기는 취미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5/27 10:31
수정 아이콘
질의 응답이 아니라, 사람들 실제 생활패턴을 비율화 하면, 영상 시첨이 압도적 1위일거 같음...
그래도 예전보단 그 비율이 떨어졌겠지만요.
Starscream
24/05/27 10:31
수정 아이콘
독서가 20대에서 반짝하고 내려가는게 흥미롭네요.
카케티르
24/05/27 10:34
수정 아이콘
거... 걷기가 취미인가 보네요
Lord Be Goja
24/05/27 10:36
수정 아이콘
30-2시간 걷는수준일텐데 돌아다니면서 이거저거 보는거죠
산책이나 파워워킹은 출근하면서 좀 걷는거랑 다르긴하죠
24/05/27 10:34
수정 아이콘
돈 없는 학생때 게임만한 취미도 별로 없던거 같긴합니다. 스크린 골프장이 늘어나면서 소득이 생기고 나면 골프도 대중화되는거 같구요.
Far Niente
24/05/27 10:35
수정 아이콘
40대 1~3위 아주 정석만 골라서 하고 있네..
축구가 확 사라지는 이유는 역시 다들 체력 관절 이슈가
24/05/27 10:35
수정 아이콘
바둑도 게임아닙니까?
애기찌와
24/05/27 10:37
수정 아이콘
아마 좀 더 시간이 지나면 50대, 60대, 70대도 게임이 주된 취미로 자리 잡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제 우리가 늙을거거든요!!
손주와 피시방가거나 거실 티비에 콘솔 연결해서 라떼는 말이다 하면서 같이 게임을 즐기고 있길 소망해봅니다
Lord Be Goja
24/05/27 10:41
수정 아이콘
노안이슈에 꽤 시달릴거 같습니다
저희어머니도 소싯적엔 패미컴으로 배틀시티(벽돌탱크겜)나 테트리스도 하고 예전에 애니팡도 하셨는데 이제 눈아프다고 게임은 전혀 안하시더군요
애기찌와
24/05/27 11:01
수정 아이콘
아..생각해보니 아직 그정도는 아니라 경험해보지 못한 벽이 존재하는군요....이렇게 된이상 TV사이즈를 키운...ㅠㅠ
Far Niente
24/05/27 10:50
수정 아이콘
게임 정말 좋아해서 아들이랑 나중에 같이해야지라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있었는데
나이들면서 점점 PC는 안하고 플5는 켜지도 않고 먼지만 쌓여가고 스위치만 가끔 아들이 하자고 하면 귀찮으면서도 꾸역꾸역 하고
이젠 게임을 못 하는 몸이 돼버렸습니다.. 60 70대에 게임을 할 수 있으리란 생각이 안 드네요
애기찌와
24/05/27 11:01
수정 아이콘
저도 소싯적보단 게임 붙잡고있는 시간이 많이 줄었지만.. 마음에 맞는 대작이나 좋은 타이틀 나오면 그래도 아직은 밤잠을 줄여가며 즐기는데...크....어렵네요..
실제상황입니다
24/05/27 11: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체력차이도 체력차이지만
세대차이도 확실히 있는 것 같습니다
24/05/27 11: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정자세로 오래 앉아서 모니터를 계속 봐야하는 행위라
눈 어깨 허리등 몸 많이 축내는 취미라서요..

나이먹어보니까 시간부족을 떠나서 20-30대같이 게임 못합니다.
좋아하는것과는 별개로 힘들어서 오래 못해요.
Lord Be Goja
24/05/27 10:39
수정 아이콘
음 낚시도 한때군!
24/05/27 10:40
수정 아이콘
40대까지는 그래도 어느 정도 추세가 있게 바뀌는데, 50대부터는 갑자기 확 바뀌는 느낌이네요.
24/05/27 10:45
수정 아이콘
아마 10년 뒤에 다시 조사하면 50대도 게임할 것 같아요.
현재의 50대는 고등학교 시절 심지어 대학생이어도 스타를 전혀 경험하지 못했던 세대라
벌점받는사람바보
24/05/27 10:48
수정 아이콘
쓰는시간만 따지면 유투브,쇼츠 등이 꽤많을것 같은데 취미카테고리에 안들어간듯 크크
손금불산입
24/05/27 10:49
수정 아이콘
나이 차이가 아니라 세대 차이가 크지 않을까 싶어요.
24/05/27 10:50
수정 아이콘
역시
피시방 유스의 나라
이스포츠의 나라
센빠이의 나라?
그 닉네임
24/05/27 10:57
수정 아이콘
젊은 여성분들은 뭔가 메이저한(?) 취미가 없네요. 음악 감상이면 아이돌 덕질 말하는건가
무딜링호흡머신
24/05/27 11:12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 SNS라고 생각합니다
키모이맨
24/05/27 11:59
수정 아이콘
유행 따라하기?
24/05/27 10:58
수정 아이콘
오우 아직 17년을 더 게임해도 되는군요
강문계
24/05/27 11:00
수정 아이콘
지금 40대가 낚시 등산을 즐기는 마지막 세대 + 게임이 주 취미인 첫 세대인 느낌이네요
24/05/27 11:08
수정 아이콘
실제 여가시간에 소모하는 시간을 따져보면 영상시청이 압도적 1위일거라고 보는데
그렇지뭐
24/05/27 11:22
수정 아이콘
어디서는 10대 취미 생활에서 게임이 숏츠에 밀렸다는 이야기도 있던데 조사에 따라 왔다갔다 하나 보네요.
수지짜응
24/05/27 11:24
수정 아이콘
전 연령대에서 힘겹게 껴 있는 바둑.. 크크크
24/05/27 11:30
수정 아이콘
90대 할아버지가 디아2 노트에 적어가시며 하는걸 봤었는데...!
24/05/27 11:56
수정 아이콘
솔직히 실질적으로 보면 더 많을걸요 운동헬스 취미라하고 안하는사람도 많이봐서..
세츠나
24/05/27 12:03
수정 아이콘
40대랑 50대 사이에 뭔가 큰 고랑이 있는 느낌...
24/05/27 12:19
수정 아이콘
음주는 왜 저기 없죠? 따지고보면 음주가 저기 안들어가는거도 이상해요.
Starscream
24/05/27 12:30
수정 아이콘
게임 끝나고 술, 등산 끝나고 술, 낚시 끝나고 술.....
기본으로 깔고 가는 밑반찬같은 것이기때문에?
24/05/27 15:13
수정 아이콘
음주는 취미로 보기 어렵지 않을까요
24/05/27 21:49
수정 아이콘
혼술이든 사람들과 만나서먹든 맨날 술집가고 술마시는재미로 사는사람들도 많은데..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술 없이 못사는사람 생각보다 많죠. 뭐 취미가 별건가 싶은데요.
조메론
24/05/27 12:40
수정 아이콘
악기 연주가 이렇게 마이너한 취미라니
김건희
24/05/27 12:53
수정 아이콘
일퀘(aka 숙제)도 빡세짐...ㅠ.ㅠ
당근케익
24/05/27 14:03
수정 아이콘
지금 50대는 게임세대가 아니지 않나요?
한 10년 후에 다시 물어봐야
시무룩
24/05/27 14:13
수정 아이콘
운동이랑 게임이랑 할애하는 시간이 비슷한데 취미를 뭐라고 말할지 고민입니다...
배고픈유학생
24/05/27 14:39
수정 아이콘
지금 40대들이 젊은시절 스타랑 디아2 열심히 했던세대이니
24/05/27 14:40
수정 아이콘
아직 까지 나이에 맞게 게임에 시간을 들이고 있는데, 점점 오래하면 눈도 아프고 허리도 아프고 ;;
특히 하루종일 회사에서 모니터 보고 들어와서 저녁에 그리고 주말에 다시 모니터를 들여다 보는게 힘들더라구요.
그래서 크로노스도 이제 겨우 잡아봤습니다..암튼 동년배들이 왜 점점 골프/등산/낚시 같은걸로 빠지는지 알 것도 같습니다.
로피탈
24/05/27 15:31
수정 아이콘
PT를 반 년이 넘게 받고 있지만 아무리 해도 헬스는 취미라고 말 못할것같아요
게임을 하기 위한 체력을 기르기 위해 PT가 있는 것임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1607 [유머] 싱글벙글 인종차별.jpg [16] Myoi Mina 7651 24/06/17 7651
501606 [음식] 칼로리가 높으면 맛이 없을 수가 없습니다.shorts [19] VictoryFood9872 24/06/17 9872
501604 [게임] 청천벽력같은 원스토어 출석 혜택 변경 [8] 묻고 더블로 가!6175 24/06/17 6175
501603 [기타]  한국인들이 일본가서 많이 당하는 계산서 [33] 퍼블레인10349 24/06/16 10349
501602 [LOL] 올해 LCK를 풍성하게 만든 사실상 주인공.. [6] Capernaum5580 24/06/16 5580
501601 [스타1] 현재 진행중인 스타 게임 대회 영혼의 다크 [10] Pika486555 24/06/16 6555
501600 [음식] 현실적인 자취남 일요일 저녁 반주(피드백 받아들인 현실편) [27] pecotek4301 24/06/16 4301
501599 [LOL] 캐니언 생일축하 노래로 카이팅하는 리헨즈.MP4 [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2182 24/06/16 2182
501598 [게임] 치지직에서 요즘 제?일 잘 나가는 게임 [23] 길갈5974 24/06/16 5974
501597 [LOL] 나무위키에 롤 못한다고 저격되어 있는 선수 [10] 다레니안5821 24/06/16 5821
501596 [LOL] 현실적인 선수 김기인.jpg [8] Silver Scrapes5372 24/06/16 5372
501595 [기타] 한국 철수한 트위치 근황... [10] 닉넴길이제한8자8368 24/06/16 8368
501594 [LOL] 쵸비, 요네 공식전 17연승 달성 [20] Leeka3752 24/06/16 3752
501593 [유머] 일본 Z세대들에게 유행하는 차별용어 [65] 여기9744 24/06/16 9744
501592 [동물&귀욤] 일본 수족관의 이색적인 전시.jpg [16] Thirsha6446 24/06/16 6446
501591 [유머] 헬리콥터의 진실 [24] 인간흑인대머리남캐7233 24/06/16 7233
501590 [유머] 가오가 몸을 지배한 남자 [9] ggg2347639 24/06/16 7639
501589 [스타1] 1999년 세기말 PC게임 다큐멘터리 [24] Myoi Mina 5002 24/06/16 5002
501588 [기타] 작년 경영 경제학과 입시결과 [21] Capernaum7679 24/06/16 7679
501587 [유머]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캐릭터 이름 [11] apothecary5723 24/06/16 5723
501586 [유머] 일본인들의 한국여행 매뉴얼 [46] 쿨럭7383 24/06/16 7383
501585 [서브컬쳐] 슬램덩크 밸런스 게임 A~E [43] 탈리스만3270 24/06/16 3270
501584 [유머] 30대 남자패션 특.jpg [4] Starlord8271 24/06/16 82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