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5/21 17:58:54
Name 삭제됨
출처 나무위키 미정복 봉우리
Link #2 https://en.wikipedia.org/wiki/Highest_unclimbed_mountain
Subject [기타] [스압] 인류가 지금까지 정복하지 못한 산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웃집개발자
24/05/21 18:02
수정 아이콘
산이라는 만화가 떠오르네요... 옛날에 재밌게 봤었는데
산이란게 참 무섭구나 + 그래도 쩐다 + 주인공 사람이냐? 같은 감상이
내우편함안에
24/05/21 19:31
수정 아이콘
산 진짜 명작이죠
거기서도 언급되는 산이 있죠
절대 신성시되서 오르지 못하는 명산
차라리꽉눌러붙을
24/05/21 18:02
수정 아이콘
돈 많으면 네팔 셰르파로만 등반팀 꾸려서 한 번 올라가보라고 해보고 싶은...흐흐...
24/05/21 18:12
수정 아이콘
그거 코로나기간에 실제로 진행된걸로 알고있습니다.
세상을보고올게
24/05/22 00:42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에 있어요
바카스
24/05/21 18:03
수정 아이콘
등반이 어려운건 사진처럼 맑은 날이 거의 없어서인가요?

사진으로 봤을 땐 바람 한점 없이 햇볕도 따스할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랄까
24/05/21 18:37
수정 아이콘
그것도 있고 해당 산까지 접근하는 것조차 쉽지가 않을겁니다.
한쓰우와와
24/05/21 18:04
수정 아이콘
1회는 정복으로 치지 않나보군요. 무언가 명확한 기준이 있나요?
손꾸랔
24/05/21 20:52
수정 아이콘
다음 등반팀이 와서 앞사람이 남긴 증거물을 확인하지 않는 한 믿을 수 없다...라고 넘겨짚어 봅니다.
manbolot
24/05/21 18:05
수정 아이콘
네팔과 파키스탄 제외한 나머지 봉우리는 셰르파때문에도 등정팀 난이도가 급상승 한다고 본듯하네요
미드웨이
24/05/21 18:08
수정 아이콘
마차푸차레 저건 신성시 아니라도 어케 올라가냐 싶은데요
제이킹
24/05/21 18:17
수정 아이콘
헬기로 올라가는 것도 안될까요
김삼관
24/05/21 18:24
수정 아이콘
지상이나 캠프로부터 인간의 힘만으로 올라가는 것에 정복이라는 표현이 주어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김재규열사
24/05/21 19:32
수정 아이콘
억만장자들 중에는 헬기로 저런데 올라갔다 오는 취미생활도 있지 않을까요?
Janzisuka
24/05/21 19:50
수정 아이콘
헬기 그정도 높이면 양력이 되려나 모르겠어요
밀도가 너무 낮지 않나 싶은데
포도씨
24/05/21 19:54
수정 아이콘
저 산들은 일반적인 헬기의 비행고도를 넘어서기에 양력을 잃고 추락할 위험이 있는데다가 산사태 유발, 극악한 착륙 난이도 등으로 정상접근이 사실상 어렵습니다.
제이킹
24/05/21 20:08
수정 아이콘
종합해보면 의미도 없고 기술도 안되는 거군요.
김삼관
24/05/21 18:23
수정 아이콘
와… 엄청나네요 아직 인간이 정복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경이로움이 더 느껴집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4/05/21 18:24
수정 아이콘
아무것도 안해도 죽을수도 있는 높이에서 저기를 올랐다 내려오는거 보면 참…
땅땅한웜뱃
24/05/21 18:47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 언젠간 꼭 가고 말거야...
그렇군요
24/05/21 18: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
땅땅한웜뱃
24/05/21 20:45
수정 아이콘
넵 그 주변 트레킹만요 크크크
구급킹
24/05/21 18:56
수정 아이콘
등산가분들 존경합니다.
24/05/21 20:31
수정 아이콘
자게로 가도 될거 같은 퀄리티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손꾸랔
24/05/21 20:49
수정 아이콘
어떤 산들은 꼭대기에 성도 쌓고 절도 짓고 하는데
타츠야
24/05/21 20:56
수정 아이콘
정복해도 이후에 몸 후유증이 장난 아닐 것 같네요.
24/05/21 20:59
수정 아이콘
네번째 사진에 성, 저거 지으라고 시킨 거 누굽니까. 저거 지을라고 돌/나무 지고 올라가다가 엄청 죽었을 듯.
지니팅커벨여행
24/05/21 21:17
수정 아이콘
한국에 있었으면 막걸리 파는 상인들에 의해 모두 개척되었겠죠??
마라탕
24/05/21 21:54
수정 아이콘
저런 곳들은 k2보다 더 힘든 건가요?
24/05/21 23:11
수정 아이콘
에버레스트는 아무것도 아니었네
잉차잉차
24/05/22 00:00
수정 아이콘
동네 뒷산 가는 것도 귀찮아하는데 저번 K2글도 그렇고 이런 글 넘 좋아요 크크
여행의기술
24/05/22 06:21
수정 아이콘
2006년에 카일라쉬 한바퀴 돌았는데 (코라), 가장 높았던 높이가 5300미터 정도 됐었네요. 배낭여행으로 갔었는데, 지금은 개인 여행이 금지고 접근이 너무 어렵나보네요.
한번 다시 가보고 싶은데.

카일라쉬 코라랑 그 옆에 마니사로바 호수 그리고 구게왕국 여행 강추 (못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409 [게임] 역대급 기대작이었던 명조가 많은 혹평을 듣고 있는 이유 [43] 묻고 더블로 가!11484 24/05/24 11484
500408 [스포츠] 낭만의 시대..복싱 실화 [3] Lord Be Goja8113 24/05/24 8113
500407 [유머] 버물리 근황 [20] 산밑의왕11144 24/05/24 11144
500406 [동물&귀욤] 지리산 반달곰 근황 [27] 서귀포스포츠클럽9069 24/05/24 9069
500405 [LOL] 슈퍼스타가 된 젠지 [19] 묻고 더블로 가!8705 24/05/24 8705
500404 [연예인] 의외로 범죄도시1에서 마동석이 엄청 힘들게 찍은 액션씬. [20] 캬라9142 24/05/24 9142
500403 [기타] 파키스탄 낮기온 50도 돌파 예정 [24] 겨울삼각형9854 24/05/24 9854
500402 [기타] 일본에서 등산이 위험한 취미로 분류되는 이유 [26] 우주전쟁10688 24/05/24 10688
500401 [연예인] 오늘 처음으로 알게된 공대 아름이 유명 연예인 [11] 매번같은10532 24/05/24 10532
500400 [기타] 오늘자 독산역 가스폭발 사고 터질 뻔한 사연 [19] Myoi Mina 9868 24/05/24 9868
500399 [게임] 플래닛 코스터 스팀에서 95% 할인 중 [4] 손금불산입6987 24/05/24 6987
500398 [LOL] 중국서버 닉네임 근황 [10] 묻고 더블로 가!8225 24/05/24 8225
500397 [기타] 그 시절 SEGA 의 낭만 [20] 롯데리아7670 24/05/24 7670
500396 [LOL] 리메이크 되고 미쳐버린 코르키 [24] 아드리아나9463 24/05/24 9463
500395 [유머] (던전밥) 하프풋들의 호칭이 개판이 된 이유.jpg [7] 캬라7409 24/05/24 7409
500394 [유머] 사회가 점적 각박해지는 이유 [36] 길갈11000 24/05/24 11000
500393 [연예인] 일본에서 난리난 건담 아무로 성우 불륜사건.jpg [40] 캬라12090 24/05/24 12090
500392 [방송] 펌) 대한외국인들 PTSD 유발하는 tvN Story 새 예능 컨셉.jpg [15] 한화생명우승하자11036 24/05/24 11036
500391 [기타] 푸바오 열풍 예전엔 욕했는데.jpg [39] 로켓11803 24/05/24 11803
500390 [기타] 어느 약팔이의 최후 [28] Lord Be Goja9721 24/05/24 9721
500388 [기타] 20년전 김태희사진을 보고 놀라는 사람들 [15] Lord Be Goja12433 24/05/24 12433
500386 [유머] 어느 식당에서 핀란드식 아침 식사를 주문하면 나오는 것들 [19] 보리야밥먹자10864 24/05/24 10864
500385 [기타] 중국군이 새로 들인 반려견 [18] Lord Be Goja11017 24/05/24 110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