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5/16 13:45:46
Name Lord Be Goja
File #1 8873cbd3af463d4accc2659a78d5998b.png (70.9 KB), Download : 55
출처 관세청
Link #2 https://www.consumer.go.kr/consumer/subIndex/1074.do
Subject [기타] 새로 추가되는 직구금지 물품 (수정됨)


알리-테뮤도 그렇지만
아마존도 많이 막히겠군요
학용품이면 유명만년필이나 볼펜핫딜도 다 막힐거고..
장난감들도 그렇고 유명브랜드 컴피타 파워도 한국에 염두안한 모델은 kc없던데..
비비탄총은 즐기는 사람들 거의 국산 안쓰지 않나...싶고요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648951

6월중에 시행한다고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힐러리 한
24/05/16 13:46
수정 아이콘
직구관련 커뮤니티는 난립니다
네이버후드
24/05/16 13:49
수정 아이콘
케이블도 못산다고요 ??
카오루
24/05/16 13:50
수정 아이콘
하..저렴한 물건들은 어차피 중국에서 만든거 고대로 떼와서 파는건데..뭐..그래도 자국회사 보호하는게 맞는거겠죠.
소독용 에탄올
24/05/16 16:10
수정 아이콘
미인증제품 판금이면 떼다 팔때도 인증 받아야 하는것 아닌가요....
닉네임여덟자기억
24/05/16 13:50
수정 아이콘
대충 보니까 사건, 사고가 날 수도 있을 것 같은 범주네요.
우리아들뭐하니
24/05/16 13:51
수정 아이콘
요즘 유행하는 인테리어 조명도 직구품 다막히겠네요.
샤르미에티미
24/05/16 13:52
수정 아이콘
근데 또 한국에 물류 센터 만든다고 하면 저런 것들 한국에 들여 놓으면 되긴 하죠.
Lord Be Goja
24/05/16 13:56
수정 아이콘
그러면 정작 중국제는 못잡고 미마존에서 사는거만 멸망하는거 아닌가 싶네요..
Answerer
24/05/16 14:03
수정 아이콘
국내물류센터가 생기면 다 인증받고 파는거라...
사람되고싶다
24/05/16 13:53
수정 아이콘
사용자 입장에선 빡치긴 하는데 저게 맞긴 하죠. KC인증따위 없는 직구품 사서 문제 터지면 정부는 뭐했냐 책임져라 소리 백퍼 나올거라 크크크크크
근데 저러면 IOT관련 멸망 아닌가요? 어제 주문한 거 5월 아슬아슬하던데 빨리 받아야...
사람되고싶다
24/05/16 13:58
수정 아이콘
로청도 m30s 직구 진짜 핫하던데 싹 다 막히게 생겼네요 크크크크크크. 답이 없음...
24/05/16 15:22
수정 아이콘
네 망했습니다
타카이
24/05/16 13:53
수정 아이콘
케이블에 USB 케이블 같은것도 들어가는건가...?
인증 없는 스마트폰 직구도 간접으로 막는건가???
허저비
24/05/16 13:53
수정 아이콘
와우 케이블, 충전기면 상당히 강려크한데요?
최근 몇년간 알리에서 산게 그거랑 저려미 맛폰케이스 말곤 없긴 한데 저에겐 큰 타격
Answerer
24/05/16 13:54
수정 아이콘
심심하면 불나고 발암물질나오는데 손놓고 구경하기도 뭐하죠
24/05/16 13:55
수정 아이콘
충전기 하나 사 둬야겠네요
Like a stone
24/05/16 13:55
수정 아이콘
조명이랑 케이블 꽤 사왔는데 미리 좀 사놔야겠습니다.
24/05/16 13:56
수정 아이콘
dac류도 비상이네요
24/05/16 13:57
수정 아이콘
직구에서 가장 잘 사는 것들 아닌가요? 크크
짝퉁 레고랑, 충전기랑 케이블 좀 사둬야겠어요.
페로몬아돌
24/05/16 13:58
수정 아이콘
제가 쓰는 건 하나도 없긴 하네요 크크크 알리, 테무 충전기 쓸만 한가요?
타카이
24/05/16 14:00
수정 아이콘
100W, 120W 고속충전기 대부분이 떼다 파는건데 직구가 아무래도 싸서...
평가 괜찮은 제품들은 쓸만합니다.
MeMoRieS
24/05/16 14:45
수정 아이콘
투키 제품은 괜찮습니다
24/05/16 14:05
수정 아이콘
알리 충전기 잘 쓰고있고 평가도 좋은데 고주파 없는 충전기가 없더군요 작게만들어서 어쩔 수 없다고 하지만 믿음은 안가네요
타카이
24/05/16 14:10
수정 아이콘
접지되는 제품 따로 있고 되는 제품이 조금 더 비싸고
그런 경우 고주파음 없다는 녀석들도 있긴하던...
24/05/16 14:03
수정 아이콘
국내 물류센터 짓고있는 알리 직구보단 일제 무산소동 케이블 직구 같은 유형이 타격오겠네요 수요가 적으니 물류센터를 지어줄리없고…
24/05/16 14:03
수정 아이콘
저정도면 거의 다 막히는 수준아닌가요??
겨울삼각형
24/05/16 14:06
수정 아이콘
KC인증제도가 괜히 있는게 아니죠..
24/05/16 14:08
수정 아이콘
품질관리가 안되면 위험한 항목들 위주라 이해는 갑니다. 별개로 인증 안받고 직구 그대로 떼오면서 중간 마진만 챙기는 보부상들도 같이 적용되는지 궁금하네요

실제 불량 발생사례가 없는것과 안전평가를 통과했냐는 완전 다른 문제라...
안군시대
24/05/16 14:09
수정 아이콘
KC인증 받으면 되긴 하는데, 그 인증 비용이나 시간이 만만치 않습니다. 서류 같은걸 꾸미는데 드는 시간도 필요하고, 결정적으로 중국 업체가 비협조적일 경우 답이 없어요. 근데 중국 업체들 중에선 그냥 한국에 안팔면 그만이라는 데도 많아서..
성야무인
24/05/16 14:09
수정 아이콘
전자제품은 다 막히겠는데요..
우스타
24/05/16 14:18
수정 아이콘
와 그냥, 와. 망했네.
24/05/16 14:23
수정 아이콘
짭프라도 막히겠네
24/05/16 14:24
수정 아이콘
얼른 사야겠네
Jon Snow
24/05/16 14:26
수정 아이콘
아아노대~!!
도롱롱롱롱롱이
24/05/16 14:33
수정 아이콘
인증 필요한 제품들 맞네요.
저 제품들이 직구가 쌌던 이유 중 하나 이이기도 하고요.
안전 비용 제거~!
24/05/16 14:36
수정 아이콘
히트박스 한개 더사놔야하나...
24/05/16 14:38
수정 아이콘
저도 가끔 중국 직구해서 물건 사긴 했었는데, 충전기나 케이블들 퀄리티가 좀 의심가는 애들이 있어서;;; 버린 적도 많았습니다.

안전과 관련된 물품은 직구가 아니라 정식 국내 수입사 끼고 인증 받아서 파는 게 맞는 거 같아요.
탑클라우드
24/05/16 14:47
수정 아이콘
안전인증은 받아야죠. 특히 전기 관련 제품들은.
24/05/16 14:47
수정 아이콘
이차전지류는 다맥히겠는데
왕립해군
24/05/16 14:51
수정 아이콘
태블릿 음향 dac 무선전자기기 등등 이쪽 계통은 중국브랜드가 서구 프리미엄 다 가격이랑 성능으로 깨줘서 직구가 핫했는데 이젠 큰일이네요.
코우사카 호노카
24/05/16 14:54
수정 아이콘
이사하면 로청사려고 했는데 지금 사야되나;;;
Lord Be Goja
24/05/16 15:14
수정 아이콘
저도 부모님꺼 사드려야하는데 요즘 팀쿡님한테 삥을 거하게 뜯겨서 당장 살돈이 없어 발만 동동 구르고 있었는요  요즘 로보킹이나 샤오미는 정발제품도 그렇게 비싸지 않게 나온다고 하네요

https://m.clien.net/service/board/park/18717912
코우사카 호노카
24/05/16 16:13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에 빅스마일 할인 때 돈 좀 썼는데 참았다 사야겠네요 흐흐
사람되고싶다
24/05/16 15:23
수정 아이콘
요즘 직구는 M30S가 국룰인것 같은데 돈 좀 더 얹어서 정발인 X10+도 나쁘지 않다긴 하더군요.
코우사카 호노카
24/05/16 16:13
수정 아이콘
정발로 가야겠네요 지금 지갑이 하도 털려서 ㅠㅠ
24/05/16 14:56
수정 아이콘
전기자전거랑 헤드폰앰프 사야되는데
지금 시킬까요
MeMoRieS
24/05/16 15:00
수정 아이콘
왠만한 전자제품직구는 다 막히는 수준이네요
24/05/16 15:01
수정 아이콘
아답터 아닌 단순 직류 전자기기는 괜찮지 않을까요?
Lord Be Goja
24/05/16 15:12
수정 아이콘
직류는 괜찮다고 합니다
24/05/16 15:2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아영기사
24/05/16 15:10
수정 아이콘
단전지,리튬이차단전지,전지,리튬이차전지시스템 이면 모든 충전지를 포함한 제품이 다 안되는 거려나요?
타카이
24/05/16 15:27
수정 아이콘
뭐 배터리 들어가는거 다 망했다고 생각하면
기계식 키보드, 스마트폰 관련 제품들도 안되는거 많겠다 싶던...
노트북이랑 스마트폰 배터리도 수기로 갈기도 해봤는데 이제 못하겠네요
판매량 낮은 제품 누가 인증해줄리도 없으니
우스타
24/05/16 16:21
수정 아이콘
전지는 원래도 빡세서, 손전등용 리튬전지 단품 사면 싸구려 손전등에 장착해서 배송하곤 했어요
투전승불
24/05/16 15:11
수정 아이콘
뭐 이해는 됩니다.
24/05/16 15:12
수정 아이콘
로청 얼마전에 직구했는데 신의 한수
아서스
24/05/16 15:14
수정 아이콘
와 이걸 정치인들이 건들 줄은 몰랐습니다.

필요성은 인정하는데, 직구 인구가 수백만명이 넘는 시대인지라, 표 생각하면 이걸 건드는 용기(?)는 대단하네요.
타카이
24/05/16 15:46
수정 아이콘
법률을 새로 제정하거나 개정한건 아니고 행정부 차원에서 시행...
제로투
24/05/16 16:35
수정 아이콘
이래서 시행령 정치를 원천 차단해야 하는건데..사실상 국회를 무시하고 있어요
의문의남자
24/05/16 15:24
수정 아이콘
불나는 경우가 많다고 하고, 염료등 에서 인체에 유해한 것들이 사용된것도 많다고 하니 KS인증마크가 꼭 있어야죠.
24/05/16 15:28
수정 아이콘
고기 무한뷔페가면 불판을 서너번 교체하는데 여기 사용되는 불판도 의심쩍긴 합니다.
아서스
24/05/16 15:44
수정 아이콘
식품에 접촉하는 기구, 용기, 포장은 식품위생법에서 규제하고 있고,

그것이 수입되는 물건이라면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식약처로부터 상당히 까다로운 검사를 받습니다.


만약에 고작 불판가지고 수작부렸다간 그 고깃집은 식약처에 박살날 각오를 해야하는지라,

프랜차이즈 무한리필 집 정도면 안심하셔도 됩니다.
No.99 AaronJudge
24/05/16 15:32
수정 아이콘
사실 납득이 아예 안 가는 건 아니긴 한데,

정부가 틀어막는건 상당히 강한 조치 같긴 하네요…KC 권장 수준이 아니라…..
에우도시우스
24/05/16 15:37
수정 아이콘
충전기 c타입 케이블 휴대폰 태블릿 등등 다 막히는 건가요 헐
카바라스
24/05/16 15:38
수정 아이콘
필요한건 사두세요. 몇몇품목들은 몇배 올라도 안이상함..
24/05/16 15:41
수정 아이콘
IoT마저 개같이 멸망...
힐러리 한
24/05/16 15:52
수정 아이콘
키보드 기판은 어떻게 될려나(유선)
우리아들뭐하니
24/05/16 15:56
수정 아이콘
정식수입안된 피규어나 굿즈 등도 발목잡히겠네요.
살려야한다
24/05/16 15:56
수정 아이콘
아무것도 안 쓰는데 나만 동떨어진 기분
24/05/16 16:00
수정 아이콘
서브컬쳐쪽은 난리가 났는데 여기 관심사가 아니라 그런지 할만했다고 보시는 분들이 많네요
손꾸랔
24/05/16 16:08
수정 아이콘
의외로 일반 가전제품은 빠졌네?라고 생각했는데... 전선, 스위치 등 부속품 때문에 저기 걸리게 되는걸까요.
24/05/16 16:17
수정 아이콘
스위치는 조명 스위치 같은걸 말하는거고 어댑터 있으면 무조건 걸립니다. 그냥 이제부터 교류 제품은 못쓴다 봐야...
terralunar
24/05/16 16:20
수정 아이콘
배터리 들어가는 물건들도 싹 잡히는거라 무선키마 등등도 끝장
우리아들뭐하니
24/05/16 16:25
수정 아이콘
최근 독거미 키보드 하나 사고 좋아서 한두개 더 사려고했는데 망했어요. 마우스도 바꿀까했는데
플레인
24/05/16 16:18
수정 아이콘
키보드 사려고 눈치보고 있었는데 막히겠네요 ;;
김티모
24/05/16 16:20
수정 아이콘
투키성님들 이걸 예상하고 일부제품 정발한건가...
아이군
24/05/16 17:11
수정 아이콘
개인 사용품까지 통제하는 건 좀.....
어름사니
24/05/16 17:31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되면 중국의 혐성을 기대할 수밖에 없는 건가... 에휴
시린비
24/05/16 17:33
수정 아이콘
내 독거미 언제오지 배송시작할때가 되었는데
여덟글자뭘로하지
24/05/16 21:11
수정 아이콘
다른거 다 제쳐두고 가습기쪽은 우습네요. 가습기 소독제 사건이 KC인증 없어서 터진 일이었던가?
필요한 일인건 알지만 고까운 생각부터 듭니다
Lord Be Goja
24/05/16 21:16
수정 아이콘
사실 배터리 화재사건중에 가장 파급이 컸던건 갤럭시 노트 7이였는데요 KC인증이 없던게 분명합니다!
여덟글자뭘로하지
24/05/16 21:17
수정 아이콘
역시 KC야, 믿고 이대로 쭉 갑시다! (?)
24/05/16 22:56
수정 아이콘
적어도 같은브랜드 같은모델을 판매자별로 인증받아야 하게 하는것만 없애도..
느나느나타임
24/05/16 23:21
수정 아이콘
KC 인증 받은 제품에서 화재 발생 시 어떻게 보상해주나요?
미인증 제품이랑 차이가 있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968 [기타] kfc 가격 조정 공지 [14] 카루오스5929 24/06/04 5929
500966 [기타] 정액검사시 채취가 힘든 환자를 위한 방법.jpg [39] 영원히하얀계곡8013 24/06/04 8013
500957 [기타] 드디어 나온 요쿠르트 제로 [20] 훈남아닌흔남4833 24/06/04 4833
500951 [기타] 저저저.. 보도블록 또 공사해 예산 낭비하네 [33] VictoryFood7189 24/06/04 7189
500945 [기타] ??: 아 이래도 프로 도저히 못사시겠다??? [8] Lord Be Goja5728 24/06/04 5728
500936 [기타] 젠5 모바일 근황 [4] Lord Be Goja3052 24/06/04 3052
500934 [기타] ai를 일단 다그쳐야 하는 이유 [24] Lord Be Goja5863 24/06/04 5863
500912 [기타] 미리보는 2025년의 포항 [20] 서귀포스포츠클럽7819 24/06/03 7819
500908 [기타] 바둑 로봇 [13] 퀀텀리프5478 24/06/03 5478
500907 [기타] 후보38명이 암살당한끝에 당선된 멕시코 대통령 [35] Lord Be Goja10230 24/06/03 10230
500904 [기타] 명품시계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94] 우주전쟁9209 24/06/03 9209
500901 [기타] 백만 명이 들어가는 스타디움 컨셉 디자인... [46] 우주전쟁11068 24/06/03 11068
500895 [기타] 우러전 용병이 말하는 귀관의 경험이 별 쓸모없는 이유 [17] Lord Be Goja8660 24/06/03 8660
500894 [기타] 이번에 석유 발견했다는 회사 [38] 전자수도승10883 24/06/03 10883
500893 [기타] 아이폰 17시리즈에 프로맥스보다 비싼 모델 추가 루머 [28] Heretic6060 24/06/03 6060
500892 [기타] 부모님말씀 틀린거 없는 이유 [8] Lord Be Goja7653 24/06/03 7653
500891 [기타] ??? : 한국 너네 석유 발견했다며? [24] 카루오스9726 24/06/03 9726
500888 [기타] 주요 아시아 국가 국민들 1주일 당 독서 시간 [61] 우주전쟁7754 24/06/03 7754
500886 [기타] 일본 노토반도 부근에서 규모 5.9 지진 발생 [7] 롤격발매기원6208 24/06/03 6208
500885 [기타] 30대 모쏠남들아 제발 이것 부터 해줘.blind [156] 카미트리아13700 24/06/03 13700
500883 [기타] Yale대학교의 못 말리는 아가씨 [13] 묻고 더블로 가!8309 24/06/03 8309
500881 [기타] 반지의 제왕 로히림 차징 전에 나온 대규모 전투씬.youtube [8] Thirsha5341 24/06/02 5341
500877 [기타] 5대 백화점의 5년간 매출, 시장 점유율 변화 [11] Leeka5823 24/06/02 58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