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4/09 12:10:23
Name EnergyFlow
File #1 11896f51352a65de36fa7ef364c9073208708909.jpg (1.61 MB), Download : 96
출처 인터넷
Subject [서브컬쳐] 우리나라 판타지 소설들의 도입부



전민희 작품은 항상 도입부에 시 같은걸 써놔서 저걸 도입부라고 해야할지 아닌지 애매한듯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람되고싶다
24/04/09 12:15
수정 아이콘
크아아아아앙
투명드래곤이 울부지저따
어촌대게
24/04/09 12:36
수정 아이콘
이거 보러 들어왔습니다
Grateful Days~
24/04/09 12:45
수정 아이콘
이거 분명히 나올거라 예상한 1인..
VictoryFood
24/04/09 12:58
수정 아이콘
내 투명드래곤 돌려줘요 엉엉엉
아영기사
24/04/09 13:04
수정 아이콘
없으면 댓글로라도 달려고 들어왔는데....
꿈트리
24/04/09 13:07
수정 아이콘
이거지~
더스번 칼파랑
24/04/09 13:18
수정 아이콘
역시 이맛이야
24/04/09 14:36
수정 아이콘
이거죠. 몇 번을 먹어도 질리지 않는 그 맛
퍼블레인
24/04/09 12:15
수정 아이콘
비상하는 매 소개가 좀 그렇군요
애초에 이 소설 설정이 도용인데…
24/04/09 12:15
수정 아이콘
전민희는 저걸 도입부라고 보긴 좀 애매하긴 하죠. 크크크크..
개인적으로 SKT는 저기 들어갈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대신 카르세아린이 들어가야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24/04/09 12:1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이런 리스트 볼때마다, 임달영 소설들은 아예 존재말살당했구나.. 싶을때가 있습니다.
바람의 마도사도 은근히 기억하는 사람들 많은데, 레기오스나 피트에리아 같은 작품들은 아예 언급조차 안되는게 참 ;;
파고들어라
24/04/09 12:50
수정 아이콘
임달영의 두 작품은 저도 처음 들어보네요. 당시에 주 공급처이던 도서대여점에 못 들어온건지...
오히려 한참뒤 라노벨로 나온 유령왕은 봤던 기억이 납니다.
24/04/09 14:28
수정 아이콘
도서대여점보다 먼저 나왔으니까요.. (...)
기록상으로 한국인작가가 쓴 최초의 출간판타지 소설입니다..
열혈둥이
24/04/09 13:13
수정 아이콘
임달영은 안티테제 아닙니까?
VinHaDaddy
24/04/09 12:26
수정 아이콘
그렇게 치면 세월의 돌 도입부는 "단 1존드도 깎아줄 수 없어요." 가 되려나요 크크크
24/04/09 12: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렇죠. 드래곤라자의 도입부만 봐도, 세월의돌은 1존드도 깎아줄 수 없어요가 맞다고 봅니다. 크크크크..
카미트리아
24/04/09 12:46
수정 아이콘
이게 맞다고 봅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4/04/09 13:20
수정 아이콘
도입부 자체는 skt가 상당히 좋네요
24/04/09 17:19
수정 아이콘
저런 건 보통 제사(題詞, epigraph)라고 합니다만
눈마새 첫문장 하면 다들 에피그래프를 꼽기 때문에...
파고들어라
24/04/09 12:20
수정 아이콘
윈터러 전까지는 다 본거네요.
96~99 년도에 참 많이 본거 같은데 지금도 몇 개는 기억에 남습니다.
마계마인전, 로도스도 전설, 가즈나이트, 카르세아린, 용의 신전, 마왕의 육아일기, 사이케델리아, 탐그루 등등
이고깽이 유행하던 때까지는 좀 봤고 겜판소 시절은 거의 안 봤던가?
하얀 로냐프 강
24/04/09 12:23
수정 아이콘
몇 개 빼고 다 봤는데 내용 기억이 잘 안 나네요 또르륵...

저 시대 판타지 소설과 책 대여점 안 켠에 가득히 있던 이름 모를 무협 소설들이 참 재밌었습니다.
24/04/09 12:23
수정 아이콘
이 글 볼때마다 적는건데 게임판타지는 탐그루가 먼저 나오지 않았나
24/04/09 12:31
수정 아이콘
탐그루는 게임판타지로 부르기엔 좀 장르가 애매해서 ;;;
일단 작중에서 묘사되는 게임 자체가 RTS장르라서, 보통 얘기하는 가상현실과는 좀 차이가 컸죠..
거기다 액자식 소설이라, 판타지 부분 묘사되는건 또 게임과 상관없는 별도의 이야기였고요..
시린비
24/04/09 12:34
수정 아이콘
게임판타지라는 장르자체가 좀 애매한면이 있지 않았나 싶기도 하고..
24/04/09 12:39
수정 아이콘
탐그루는 아예 독자장르라고 보긴 합니다. 보통 게임판타지를 생각할때 가상현실 RPG게임을 중심으로 생각하니까요.
현재에 있어서 게임판타지는 거의 정립된 장르라고 보고, 시작은 일본의 크리스크로스-닷핵-소드아트로 이어지는 계보죠. 국내 기준으로는 유레카 - 더월드 - 달빛조각사의 계보고요.
키스 리차드
24/04/09 13:19
수정 아이콘
유레카 더월드 참 오랜만이네요
시린비
24/04/09 13:56
수정 아이콘
그럼 알피지게임소설 아닌가... 하고 싶은적이 있었어서 그만
몽쉘통통
24/04/09 12:35
수정 아이콘
탐그루..되게 그립네요.

한동안 게임속 아이디는 항상 비류 였습니다.

그러다가 비뢰도 나온다음부터 '비류' 아이디 항상 뺏김. 췟췟췟
서린언니
24/04/09 12:39
수정 아이콘
탐그루 프로게이머 묘사부분은 지금봐도 ...
MissNothing
24/04/09 16:41
수정 아이콘
달조는 달조식(?)겜판을 유행시킨거고, 그전에도 양산형 겜판이 판을쳣죠
어느정도 장르가 정립되고 나온 올마스터가 2005년작이니...
약설가
24/04/09 12:24
수정 아이콘
진짜 이쪽 계열에서는 고전으로 부를 수 있은 작품들이네요. 개인적으로 이영도 작가를 좋아하지만, 가장 사랑하는 작품은 하얀늑대들입니다.
몽쉘통통
24/04/09 12:30
수정 아이콘
안본작품이

세월의돌, 피마새, 눈마새, 월야환담 4개.. 각잡고 볼까..
24/04/09 12:40
수정 아이콘
눈마새, 피마새 안본 뇌 삽니다!
Jedi Woon
24/04/09 15:17
수정 아이콘
여기 안 본 뇌 있습니다!
선제시요!
24/04/09 12:50
수정 아이콘
눈마새는 꼭 한 번 일독 추천드리고요...
월야환담은 채월야만 보셔도 충분하지 싶습니다.
멸천도
24/04/09 12:55
수정 아이콘
저는 창월야도 재미있었다고 생각합니다.
larrabee
24/04/09 12:58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한표드립니다
눈마새 강추하구요. 이거보고나면 피마새 참기 힘드실겁니다.
그리고 세월의돌도 충분히 추천할만한 작품이라 생각하고, 월야환담도 준수하긴한데 채월야로 충분할듯 하고 이후 작품은 보고 괜찮으시다면 보는걸 추천드립니다.
고등어자반
24/04/09 12:53
수정 아이콘
모두 각을 잡고 보셔도 후회 없을 작품들이네요.
몽쉘통통
24/04/09 18:36
수정 아이콘
오오오..눈마새 시리즈로 선결제 했습니다.

내일 휴일 달리겠습니다.
mooncake
24/04/09 12:30
수정 아이콘
묵향 첫 번째 무협 부분은 참 재밌었는데
24/04/11 11:31
수정 아이콘
환타지 세계로 가기 전, 묵향 1부는 진짜 재밌었어요.
시린비
24/04/09 12:32
수정 아이콘
다른거 시작이 저거면 드래곤라자도

…따라서 이상의 예에서처럼 드래곤 라자와 드래곤의 관계
는 인간의 주종의 계약으로 이해되기 곤란한 점이 많다. 드
래곤 라자가 드래곤을 가리켜 '나의 충직한 친구여.'라고 말
했을 때 이를 국왕이 가신을 향해 하는 말과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곤란할 것이다. 그러나 드래곤 라자가 보여주
는 애매모호한 태도로 인하여 많은 이들이 드래곤과 드래곤
라자의 관계를 주종관계로 착각하고 있다. 이 드래곤 라자의
애매모호한 태도는 훗날 그들의 재앙이자 바이서스의 재앙
인…

《품위 있고 고상한 켄턴 시장 말레스 츄발렉의 도움으로 출
간된, 믿을 수 있는 바이서스의 시민으로서 켄턴 사집관으로
봉사한 현명한 돌로메네 압실링거가 바이서스의 국민들에
게 고하는 신비롭고도 가치 있는 이야기》
제 3 권. PP. 527 (770년 돌로메네 作)

이게 도입부죠 흐
24/04/09 12:32
수정 아이콘
달조가 겜판의 시초라고 하기에는...
잉차잉차
24/04/09 12:34
수정 아이콘
SKT, 달빛조각사 빼곤 다 읽어봤는데

눈마새와 월야환담(채월야)을 가장 높게 쳐주고 싶네요.
24/04/09 12:35
수정 아이콘
사이케 델리아가없네
멸천도
24/04/09 12:5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이고깽의 시작이라고 할만한 작품이죠.
그렇게치면 우리나라 판타지 드래곤의 교과서 카르세아린같은 것도
없으니까 그냥 없는게 많습니다.
24/04/09 13:14
수정 아이콘
카르세아린도 재미있었는데 크크
24/04/09 12:35
수정 아이콘
추억돋네요
별가느게
24/04/09 12:38
수정 아이콘
SKT는 2부 생각하면 아직도 이가 갈리네요...작가나 작품 둘다 다시는 꼴도 보기 싫은 작품입니다.
몽쉘통통
24/04/09 12:42
수정 아이콘
바람의마도사, 하얀로나프강

둘다 엔딩이 제기준에 너무 완벽해서 (로나프강은 비극이지만, 정말 완벽한 결말이였다 생각합니다)

2부를 엄청 기대했는대, 너무 별루였던걸로 기억해요. 특히 바람의마도사 후속작 흑기사는...보다가 하차했습니다.
류지나
24/04/09 12:46
수정 아이콘
달빛조각사 빼고는 다 봤네요.
미드웨이
24/04/09 12:48
수정 아이콘
달조가 겜판의 시초는 아닌데. 이게 뭔가 장르내에서 대박난 작품들이 초기작인 경우는 시초라고 왜곡되는 경우가 있던데 달조도 그러네요.
24/04/09 12:49
수정 아이콘
전민희 작가를 빼고는 다 읽어본 소설입니다만,
저 리스트 중 대상은 역시 눈물을 마시는 새 입니다.(눈마새 피마새 아직 안 읽으신 분들.. 정말 부럽습니다.... T_T)
그 다음은 역시 월야환담 채월야입니다.(창월야부터는 안 읽으셔도 무방)
예정된 파멸을 향해 달려가는 주인공 한세건 이야기.. 읽는 맛이 있지요.
진순스프70퍼
24/04/09 12:54
수정 아이콘
영화,넷플릭스화 기준으로 하면 퇴마록은 참고할 영화도 없고 난이도가 높을 것 같구요,
월야환담 시리즈가 언더월드처럼 만드면 대박날것 같아서 한번 기대해봅니다.

다만 장르 영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연출진이 만들어야 될 것 같은데,
정 안되면 강풀처럼 원작가가 직접 각본에 참여하는 것이 어떨지...
24/04/09 13:01
수정 아이콘
언더월드도 WoD 설정 도용한 거 아니냐는 소리 듣는 작품이라, 아마 만들면 비슷하게 나오긴 할 겁니다 크크.
포프의대모험
24/04/09 12:54
수정 아이콘
여왕의 창기병도 좋았어요
제주용암수
24/04/09 12:54
수정 아이콘
묵향이 아직 완결이 안났군요.. 워...
만성두통원딜러
24/04/09 12:57
수정 아이콘
하얀로냐프강 이제 기억은 희미하지만 원탑으로 남아있습니다 뭔가 기사의 맹세하는 장면을 보면서 울었던 기억이...
HealingRain
24/04/09 12:57
수정 아이콘
음... 이영도 작가 팬심 빼고 생각해도 눈마새가 뭔가 느낌있는 도입부 같습니다
24/04/09 13:09
수정 아이콘
달조가..의외로 해외에서 인기 끈듯하던데요.
gamelit라고 해서..아에 장르의 시초격인 소설로 불리더라구요..
해외 유명 lit소설 사이트 이름이 로열로드(달조의 게임 이름)일 정도로..
미카미유아
24/04/09 13:13
수정 아이콘
다들 묵향은 무협이 더 나았다고 하던데
전 반대로 무협은 별로고
타이탄 나오는 2부 초반부가 더 좋았음
24/04/09 13:38
수정 아이콘
저도 2부가 좋았습니다
FSS같아서...
위원장
24/04/09 13:14
수정 아이콘
바람의마도사 눈마새 피마새
이 3개 빼고 다봤네요
드래곤라자를 재밌게 봤음에도 선뜻 손이 안가는 이영도작가...
왜 그럴까
카마인
24/04/09 13:58
수정 아이콘
어차피 독, 물을 찾게 될 거라는 미래 예견 . . ?
iPhoneXX
24/04/09 13:17
수정 아이콘
피마새 게임화 한다고 들었는데 기대가 큽니다.
설윤아
24/04/09 13:30
수정 아이콘
탐그루가 없네요

마법은 마음이다 마음은 칼이다
24/04/09 13:4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동천이~
이게대체
24/04/09 14:04
수정 아이콘
다른 건 몰라도 달조가 겜판 시초는 아니죠.
24/04/09 14:41
수정 아이콘
와 추억 돋네요...
24/04/09 15:40
수정 아이콘
전 채월야 한표 크크크
24/04/09 16:26
수정 아이콘
탐그루보다는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이 현 겜판의 원류에 가깝다고 보는데 언급이 전혀 없다니 흑흑...
24/04/09 17:23
수정 아이콘
저기 팔란티어 나와있는게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이죠.
근데 사실 한국의 겜판은 유레카를 원류로 봐야하긴 합니다.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은 좀 매니악했던 소설이라 ;;
이선화
24/04/09 22:54
수정 아이콘
윈터러는 "에메라 호수에는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이 산대요"가 도입이 되어야...
엘케인
24/04/10 07:13
수정 아이콘
바람의 마도사가 언급되다니! 
세 회사에서 이메일도 엘케인으로 만들었는데
아무도 궁금해하지 않아서(?) 서운했는데
괜히 뿌듯하네요
졸려죽겠어
24/04/10 10:25
수정 아이콘
더 로그 없는거 아쉽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8688 [유머] 부침가루로 크림수프 해먹었더니 계속 설사 나오네.dc [8] Myoi Mina 10465 24/04/19 10465
498687 [유머] 요즘 테슬라 주주들 상황.jpg [44] 보리야밥먹자13682 24/04/19 13682
498686 [기타] 한 지방소재 대학의 특수한 학과 [13] 우주전쟁11573 24/04/19 11573
498685 [유머] 4살 아이를 차에 혼자 두었다고 혼남 [10] 이호철10865 24/04/19 10865
498684 [서브컬쳐] 버추얼 주의 / 나 하나 꽃피어 - 비쥬 / 요즘 자기 전에 듣고 자는 노래 [2] 물맛이좋아요5897 24/04/19 5897
498683 [유머] 가끔은 무서운 한국의 AS 속도 [44] 천영16604 24/04/18 16604
498682 [기타] 성인 페스티벌 취소 오피셜 [89] 묻고 더블로 가!14770 24/04/18 14770
498681 [방송] 티키타카가 좋은 부부 [26] style17104 24/04/18 17104
498680 [기타] 오늘자 공연중인 여성용 19금 뮤지컬 공연수위 + 더쿠에 올라온 후기글 [45] 아롱이다롱이15747 24/04/18 15747
498679 [방송] 한국수자원공사 금지된 사랑....'충격' [19] 원숭이손15329 24/04/18 15329
498678 [음식] 오타쿠들이 용기내서 먹어보고 있는 치킨 실물 [52] 묻고 더블로 가!15482 24/04/18 15482
498676 [기타] 여고생이 기부하고 욕먹은 이유.JPG [14] 실제상황입니다11904 24/04/18 11904
498675 [기타] 정든 한국을 떠난 푸바오의 속마음 [2] 묻고 더블로 가!9456 24/04/18 9456
498674 [기타] 165cm 47kg라는 히밥 예전에 찍은 바디프로필.jpg [12] insane12562 24/04/18 12562
498673 [기타] 뭔소리야 무슨 동네 빵집 매출이 천억을 찍어 크크 [42] 덴드로븀12283 24/04/18 12283
498672 [기타] 여자만 갈 수 있는 와일드 와일드쇼 놀라운 할인. [40] 카루오스12211 24/04/18 12211
498671 [게임] 사우디컵 공개된? 상금 [43] 아드리아나10280 24/04/18 10280
498670 [유머] 오타니와 블랙핑크 로제의 공통점 [11] Starlord9818 24/04/18 9818
498668 [동물&귀욤] 바다괴물의 정체 [10] 퍼블레인8284 24/04/18 8284
498667 [스포츠] 백날 전술 깎아봐라~ [6] 묻고 더블로 가!8848 24/04/18 8848
498666 [기타] 정말 진심인 강남구청 [76] 묻고 더블로 가!15328 24/04/18 15328
498665 [스포츠] NC-한화 야구 경기 취소된 이유.jpg [12] 캬라9295 24/04/18 9295
498664 [기타] 유튜브에서 정확히 엄대엄으로 갈리는 투표 [39] pecotek10364 24/04/18 1036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