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3/27 18:02:16
Name 北海道
File #1 0327173204756523.jpg (952.7 KB), Download : 128
File #2 032717332989401.jpg (1.59 MB), Download : 117
출처 디시
Subject [유머] 태양계 행성 착륙 vs 태양계 바깥 행성에서 고사리 발견.jpg




어떤 과학계 뉴스가 더 임팩트 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3/27 18:02
수정 아이콘
고사리 1표
onDemand
24/03/27 18:03
수정 아이콘
전자가 충족돼도 후자는 충족 안될거같은데, 후자가 충족되면 바로 전자도 충족 되지 않을까.. 싶네요.
츠라빈스카야
24/03/27 18:07
수정 아이콘
목성/토성에 지표가 있는지, 지표로 언급할만한 곳이 있다면 그 지점의 압력이 얼마인지 생각해보면..
물맛이좋아요
24/03/27 19:13
수정 아이콘
가스형 행성의 금속핵까지 들어가면 생물이 버틸 수가...
츠라빈스카야
24/03/27 19:37
수정 아이콘
그러니 전자가 더..라는 거죠...
산밑의왕
24/03/27 18:03
수정 아이콘
이건 무조건 후자 아닌가요?
츠라빈스카야
24/03/27 18:04
수정 아이콘
목성 토성에 살아서 “착륙”하는 게 더 대단할 것 같은데요...
메가트롤
24/03/27 18:04
수정 아이콘
'착륙'이라서 전자
구마라습
24/03/27 18:06
수정 아이콘
목성, 토성에 사람이 착륙한다구요??? 거기서 나올 수 있나요?
24/03/27 18:07
수정 아이콘
목성토성에 사람 착륙이 가능해요...?
24/03/27 18:07
수정 아이콘
목성 착륙은 가오가이거나 제이아크 정도는 필요한거라 목성이요
그냥 지구형 행성 탐사 수준이면 무조건 고사리죠
고사리가 아니라 원생동물 수준이래도 외계생물이죠
24/03/27 18:08
수정 아이콘
목성, 토성에 육지가 있어야 착륙을 할텐데...
VS가 성립을 못합니다 센세....
츠라빈스카야
24/03/27 18:10
수정 아이콘
수소 바다 아래에 암석/금속질 핵은 있을 테니 그걸 육지라고 치도록 하죠...?
24/03/27 18:30
수정 아이콘
수소바다의 수소압을 견디고 초고온 금속질 핵까지 가서 닿으려면 정말 어느 정도의 기술력이 필요할지 감도 안오는군요 크크크크
츠라빈스카야
24/03/27 18:38
수정 아이콘
핵폭탄 정도는 코앞에서 터져도 그까짓것 할 정도로도 부족할 것 같긴 합니다. 크크크
구름달
24/03/27 18:12
수정 아이콘
육지는 없어도 액체수소바다 같은건 있다고 하니..
무적전설
24/03/27 18:17
수정 아이콘
지구에서도 대기권 통과후 바다에 둥둥 띄우는 착륙을 하니깐요. 육지까진 없어도 될 듯 합니다.
부스트 글라이드
24/03/27 18:08
수정 아이콘
착륙이니까 전자입니다. 인간에게 말도안되는 기술력을 가졌다는 뜻이거든요.
김삼관
24/03/27 18:08
수정 아이콘
목성토성에 인간이 살아서 착륙할 수 있는 기술이라면 그깟 고사리생명체 발견따위 상관없을듯 새로운 지적 생명체를 뿌리고 수확할 프로토스 레벨일듯..
무적전설
24/03/27 18: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가스와 액체로 된 행성인.. 목성과 토성에서 최소한 액체로 된 부분까지 둥둥 떠다니는게 착륙이라고 하면
비행선을 탄 상태라 해도 방사능 + 대기압 + 엄청난 온도 + 중력의 한계를 넘기는 것도 임팩트가 엄청나게 크죠.

근데 실생활에서의 파급효과는 태양계 바깥에서 고사리 발견한 것이 더 임팩트는 있겠군요. 당장 종교부터 사라질 위기..
고기반찬
24/03/27 19:31
수정 아이콘
지구 고사리와 동일한 [고사리]가 외계행성에서 발견되면 오히려 지적설계론이 힘을 받지 않을까요? 유전적으로 무관한 수렴진화 생명이라면 모를까...
무적전설
24/03/27 19:57
수정 아이콘
외계에 생명체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현존하는 종교들은 타격이 클 거라서요.

게화만 봐도 게랑 생김새는 정말 비슷하지만 유전적으로는 다른 종인 애들이 있기도 해서 고사리 비슷한 생명체가 고사리랑 같은지 알아보는 것이 더 임팩트가 있을것 같긴 합니다.
만약 DNA도 똑같다면 음.. 상상만 해도 무섭군요
자두삶아
24/03/27 18:11
수정 아이콘
너무 벨붕인데요.
닥 후입니다.
눈물고기
24/03/27 18:12
수정 아이콘
전자가 가능할 정도면, 진짜 젤나가 급인데..
24/03/27 18:12
수정 아이콘
목성 토성에 "착륙" 요???? 고사리는 따위죠;;
고사리가 아니라 현 시점 인류 문명 레벨의 외계 문명을 발견해도 그따위 발견이 될 겁니다. 인류는 이미 중력까지 제어하는 은하제국급 초월문명일테니까요.
겨울삼각형
24/03/27 18:12
수정 아이콘
전자는 어찌어찌 해볼만한건데

후자는 인류의 생활권이 바뀌는거죠
구름달
24/03/27 18:16
수정 아이콘
지구형 행성이 아니라 목성, 토성이면 후자 따위죠..
24/03/28 06:55
수정 아이콘
거긴 인간이 견딜 수 있는 자기장하고 방사능이 아니라서…
이부키
24/03/27 18:14
수정 아이콘
제목보고 무조건 후자라고 생각했는데

목성 핵에 착륙할 정도면 전자죠 이건...
너T야?
24/03/27 18:16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후자는 그냥 발견만 할수도 있을 것 같고
전자는 뭔가 차원이 다른 존재가 된 것 같은 느낌
고무장이
24/03/27 18:19
수정 아이콘
목성에 착륙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력이면 화성도 테라포밍해서 인간 생활권으로 살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소재 기술력이 반드시 생명공학이랑 비례하진 않더라도 화성 정도 환경의 온도와 압력 정도는 그냥 개껌이란 소리니까요.
태양계 밖에 고사리 군락지를 발견 하는 것까진 탐사선 수준으로 가능하더라도 이 정도 기술력으론 인간을 거기까지 데려가는 것 자체가 문제니까
인류의 생활권 확장까지는 힘들지 않을까 싶기도하네요.
블리츠크랭크
24/03/27 18:19
수정 아이콘
전자가 되면 후자는 인간이 할 수 있습니다
고기반찬
24/03/27 18:22
수정 아이콘
1. 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하면 언젠가는 될거같음
2.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24/03/27 18:24
수정 아이콘
문과가 만든 이과 vs의 한계
24/03/27 18:26
수정 아이콘
그 뜻으로 문제 낸게 아닐텐데 크크
24/03/27 18:27
수정 아이콘
저 고사리도 생으로 먹으면 안되는거죠?
몽키매직
24/03/27 18:30
수정 아이콘
근데 진심 궁금한게 생겼는데, 인간이 목성/토성에 어느 거리까지 죽지 않고 접근 가능할까요
옥동이
24/03/27 18:31
수정 아이콘
저는 후자 쪽이 임팩트있네요

기술의 발전 은 항상 봐온건데 신세계는 처음이자나요?
Janzisuka
24/03/27 18:32
수정 아이콘
...전자가 가능한 수준이면...
후자는 찾기 쉬우려나
24/03/27 18:33
수정 아이콘
가스형 행성인거 빼고 생각하면 전 후자~
분명 다른 생명체가 있긴하겠지만 존재를 실제로 확인하면 임팩트가 엄청 날 것 같아요.
대신 화성 착륙같은 건 머스크 때문에 살짝 시시하네요 크흐
붕붕붕
24/03/27 18:36
수정 아이콘
토성에서 살아나오는게 어렵지, 토성바다 다이빙까진 어찌어찌 된다고 봅니다. 태양도 아니고 닥닥닥후라 봅니다.
24/03/27 18:41
수정 아이콘
고사리죠.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될 수 있는 걸요.
땅땅한웜뱃
24/03/27 18:41
수정 아이콘
무과금으로도 시간(쵸오큼 많이...) 갈아넣으면 뽑을수있는 템 vs 현질 안하면 못뽑는 템 같은 느낌이라 후자 할래요
스토리북
24/03/27 18:42
수정 아이콘
후자에 한 표 던집니다.
인간이 놀라운 전진을 이루는 건 몇 번 봤지만, 외계생물이 있다는 건 역사상 단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일이니까요.
강문계
24/03/27 18:48
수정 아이콘
문과가 만든 이과 vs의 한계 222
하루사리
24/03/27 18:49
수정 아이콘
일단 vs 만든사람이 관련지식은 없군요
24/03/27 18:50
수정 아이콘
전 전자요
기술적 난도가 비교 불가라고 생각합니다

후자는 지금도 우주선 무자비하게 날리면 하나는 얻어 걸릴덴데 전자는 답이 안 보이거든요
도발제트어퍼
24/03/27 18:55
수정 아이콘
후자죠 고사리 발견한 곳 어딘가에 외계인 아주머니들이 뜯고있을거임 분영
김아무개
24/03/27 20:14
수정 아이콘
말려서 쪄서 독빼고 계신가요 크크
24/03/27 18:57
수정 아이콘
삼겹살이랑 고사리같이 구운걸 포기한다구요?
안군시대
24/03/27 18:57
수정 아이콘
문과가 만든 이과 vs의 한계 333
24/03/27 18:58
수정 아이콘
외계인 땅주인이 지구인 아주머니가 주말이면 몰려와 고사리 다 뜯어간다고 전우주협회에 신고해서 유니버스 심판의 빛 가동 들어갔다고 하네요.
이웃집개발자
24/03/27 18:58
수정 아이콘
애초에 착륙이 가능한가? 그걸 감안한 vs인가?
소주파
24/03/27 19:00
수정 아이콘
궁극적으로는 전 후자같습니다. 기술력의 문제가 아니라, 이주가 가능성을 타진해볼 만한 외계 행성을 찾았다는 거 아니겠습니까.
24/03/27 19:13
수정 아이콘
전자는 무슨 행성이든 이주가 가능한 기술력을 갖췄다는 의미라서요.
24/03/27 20:25
수정 아이콘
전자 기술력을 가진 문명이라면 이미 테라포밍 행성을 백단위로 거느리고 있을겁니다.
외계 생명체 발견은 일상일거구요
고기반찬
24/03/27 20:43
수정 아이콘
외계 생명체가 얼마나 흔할지는 알 수 없죠. 더군다나 그게 지구 고사리와 동일한 식물이라면?
아이군
24/03/27 19:02
수정 아이콘
전자는 어떻게 해야 가능하지.... 싶은데...
24/03/27 19:15
수정 아이콘
고사리가 맛있긴 하죠
덴드로븀
24/03/27 19:25
수정 아이콘
[착륙 着陸]
陸 뭍 륙(육)
1. 뭍(지구의 표면에서 바다를 뺀 나머지 부분. 섬이 아닌 본토]

)
2. 육지(陸地)
3. 땅

목성/토성 = 뭍이 없다
구름달
24/03/27 19:31
수정 아이콘
목성의 수소바다 예상 환경입니다.
온도 1만도, 중력 2.5배, 수초 내 즉사수준 방사선량, 핵 주변은 3억 기압..
기술적으로 착륙이 상상이 될 수준이 아니죠; 태양표면 유영도 가능할 듯요
개념은?
24/03/27 19:48
수정 아이콘
온도가 1만도인데 증발안되고 있는것도 신기하네요 덜덜
츠라빈스카야
24/03/27 20:49
수정 아이콘
압력이 그만큼 높은 거죠. 증발하고 싶어도 찍어눌러서 못함..
24/03/27 19:49
수정 아이콘
허공답보 만독불침 한서불침의 경지면 가능합니다!
물맛이좋아요
24/03/27 21:38
수정 아이콘
만독불침이 방사선까지도 막아주는 경지였다니!!
옥동이
24/03/27 21:12
수정 아이콘
코리아맨의 자생슈트를 아시나요
자급률
24/03/28 23:47
수정 아이콘
크크크
24/03/27 19:48
수정 아이콘
인간이 한 것 vs 인간이 하지 못하는 것
칼라미티
24/03/27 19:54
수정 아이콘
전자가 가능하면 그깟 후자... 그냥 자체 기술력으로 다른 행성 막 테라포밍하면 됩니다...
고기반찬
24/03/27 20:03
수정 아이콘
고사리가 서식가능한 행성을 발견한게 아니라 고사리가 자생하는 행성을 발견한거라면 외계생명체의 존재가 증명된건데, 사회적 임팩트는 이쪽이 거대하지 않을까요.
칼라미티
24/03/27 21:27
수정 아이콘
우주는 너무 넓으니까 우주 어딘가는 반드시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굳이 그걸 증명하지 않아도, 뭐 전자가 가능한 문명 수준에서 고사리 정도의 외계 생명체는 그냥 일반인들에게는 가십 정도로 소모되고 끝나지 않을까요
고기반찬
24/03/27 22: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문제에 전자가 가능한 시점에서 후자의 발견이 이뤄진다는 전제가 주어지지 않았죠. 그리고 후자가 수 없이 많은 외계생명체 중 하나가 발견된건지, 아니면 외계생명체의 최초 발견이라는 순간을 의미하는건지도 분명하지 않구요. '과거의 달착륙'+a에 비교하는 글쓴이의 의도라면 후자 아닐까요? 굳이 그런 조건을 단다면 '인류는 목성보다 덜 가혹한 목성형 행성 내핵에 미리 착륙해본 뒤 목성에도 착륙해보았다'는 조건을 붙이는 것도 가능하고, 불합리하지도 않죠. 둘 다 최초 착륙vs최초 외계생명발견을 의미하는게 맞다고 보이고, 그럼 후자의 사건이 임팩트가 대단하겠죠.

그리고 '고사리'가 자라는 행성이 '발견'된거면, 인류가 진출한 바 없는 외계행성에 지구 생명체와 동일한 생명체가 발견된건데, 외계생명체가 발견된 상황을 전제하더라도 당연히 그 자체로 엄청난 이슈겠죠. 설령 외형만 동일하고 유전정보가 다른 고사리라도 치더라도 서로 독립한 복수의 행성에서 동일한 외형의 수렴진화생물이 발견된거 자체가 생물학적으로 큰 의의가 있지 않을까요?

마지막으로 목성 착륙이 가능한 시점이면 이미 인류가 관련 기술도 다 확보하고 있고(이미 외부탐사, 무인탐사는 진작 됐을 것이고) 목성 내부 정보도 다 수집했을텐데 거기다 굳이 사람 보내는건 퍼포먼스 이상의 의미는 없을거 같습니다.
눈물고기
24/03/27 19:54
수정 아이콘
전자가 가능하면 그깟 외계생명체 우리가 만들수도 있을듯
24/03/27 20:02
수정 아이콘
목성착륙이 가능하면 피지알러도 영생수준이라 아직도 여기서 키배뜨고 있을 듯 크크크크
츠라빈스카야
24/03/27 20:27
수정 아이콘
외계생명체 : 어딘가 있긴 할텐데 우리가 못가서 못찾는 것 같은 느낌. 어찌어찌 가면 찾긴 할 것 같음.

목성 착륙 : 그걸 달성할 기술이라는 게 있긴 한가? 아무리 기술이 발전해도 안될 것 같은데...

이런 느낌입니다.
스톰윈드수비대장
24/03/27 20:30
수정 아이콘
전자가 가능할 경우 예상되는 인류 문명의 기술력 수준은 최소 프로토스 수준 아닌가요 크크크 은하를 몇개 거느리고 우주의 패자로 군림하던 전성기 프로토스 생각해보면 당연히 전자일듯...
24/03/27 20:48
수정 아이콘
전자를 하는 과정에서 후자를 할듯 크크 기술발전은 점진적인것이니 충격이야 외계생물체 발견이 더 하겠지만요.
손꾸랔
24/03/27 20:55
수정 아이콘
저 고사리를 물에 데쳐 섭취하면 토성에 착륙할 생명력이 솟아납니다.
유념유상
24/03/27 20:55
수정 아이콘
전자가 가능한 수준에서 이미 타행성을 테라포밍해서 지구화 가능한 기술..
주파수
24/03/27 22:16
수정 아이콘
문과가 만든 vs 사절.
24/03/27 22:49
수정 아이콘
우주최강 자생슈트와 함께라면!
Fred again
24/03/27 23:32
수정 아이콘
우주 고사리 듣기만 해도 군침 싹 도는데요
전기쥐
24/03/27 23:43
수정 아이콘
"목성 착륙"이라는 게 무슨 의미인지 안다면 vs가 성립 못합니다.
24/03/28 02:19
수정 아이콘
전자가 가능하면 외계생명체를 왜 찾아야하며, 지구밖 인간 서식지는 탐사도 필요없이 가서 살 수준이겠죠.
24/03/28 10:08
수정 아이콘
댓글애서 문 이과 뿐 아니라 mbti s와 n도 구분되는 느낌이네요. 크크크크
그렇구만
24/03/28 10:29
수정 아이콘
전 후자.. 후자 발견하면 너도 나도 탐사선 보내려고 난리날텐데 목성은 성공해도 달탐사 처럼 1, 2회성 프로젝트 아닐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8024 [텍스트] 만우절날 수업있는데 친구에게 휴강이라고 거짓말친 후기 [9] 주말9467 24/04/05 9467
498023 [기타] 아빠처럼 보이는 인스타그램 필터 [3] 물맛이좋아요8107 24/04/05 8107
498022 [연예인] izi-응급실 일본 상륙.. [16] 김삼관9682 24/04/05 9682
498021 [동물&귀욤] 바닷가 노숙자들.mp4 [10] kapH10637 24/04/05 10637
498020 [유머] 단 세컷으로 전체 스토리 전개 설명하기.jpg [24] 캬라11877 24/04/05 11877
498019 [서브컬쳐] "땡큐! 토리야마 아키라" 추억행사 및 특별전 안내 [4] 고쿠7039 24/04/05 7039
498017 [동물&귀욤] 30년전 에버랜드에서 진행한 밍밍X리리 판다 결혼식 [15] VictoryFood11385 24/04/04 11385
498016 [유머] 까마귀에 막걸리 혼술 준비하는 BJ [14] Myoi Mina 14646 24/04/04 14646
498015 [유머] 스티븐 유 근황.jpg [83] Myoi Mina 16174 24/04/04 16174
498014 [기타] 서양 건축물들의 내부 천장 모습들 [13] 우주전쟁10337 24/04/04 10337
498013 [LOL] 씨맥 曰 광동에서 멘탈이 가장 강한사람은 xxx이다.mp4 [3] insane8338 24/04/04 8338
498012 [스포츠] [야구] 한화가 10경기 1위 인 이유 [23] 겨울삼각형10606 24/04/04 10606
498010 [유머] 드디어 이뤄진 월드게이 삼자대면 (이러지마 제발) [1] 매번같은7152 24/04/04 7152
498009 [텍스트] 이해할 수 없는것들의 총합 [42] 주말11712 24/04/04 11712
498008 [LOL] 페이커의 시간을 600만원에 산 정지민군 근황.jpg [4] Starlord11182 24/04/04 11182
498007 [기타] AV 시선강탈 레전드 [22] 묻고 더블로 가!13182 24/04/04 13182
498006 [LOL] 오늘 경기에서 끊긴 티원 선수들의 연승기록 [5] 껌정7447 24/04/04 7447
498004 [LOL] 오늘 티한전 3경기 딜량 [9] 차은우9334 24/04/04 9334
498003 [기타] 고대 시대의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map [12] VictoryFood8254 24/04/04 8254
498002 [유머] 미국 흑인들을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 분류하는건 부적절함.jpg [18] 北海道11381 24/04/04 11381
498001 [게임] 개발진이 밝힌 유니콘 오버로드의 단점 [21] 한입9382 24/04/04 9382
498000 [유머] 사장환장곡 - 계약 종료 [14] kapH9373 24/04/04 9373
497999 [LOL] 갑자기 아버지를 부르짖는 클템 [12] 카루오스8361 24/04/04 83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