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3/09 18:08:52
Name 고쿠
File #1 20240309_163558.jpg (477.5 KB), Download : 21
출처 예스24
Subject [기타] 드래곤볼 작가 별세 한국 30대 근황.jpg


부조하는 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3/09 18:17
수정 아이콘
작년엔 슬램덩크 극장판으로 슬램덩크 왕창사고
올해는 토리야마 선생님 돌아가셔서 드래곤볼 왕창사고
전기쥐
24/03/09 18:20
수정 아이콘
한국인 30대는 드래곤볼 읽어본 사람이 안 읽어본 사람보다 압도적으로 더 많을 거 같네요.
헝그르르
24/03/09 18:26
수정 아이콘
만화 하나만 꼽으라면 드레곤볼 두개면 슬램덩크 까지 느낌이었죠.. 라고 삼촌이..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3/09 18:29
수정 아이콘
사실: 한국에서 드래곤볼 완결이 1995년이다
55만루홈런
24/03/09 18:38
수정 아이콘
사실 드래고볼 세대는 40대에 더 가깝죠 30후반들은 초딩때 겨우 드래곤볼 몰래몰래 보던 시절 대여점 아니면 보기도 힘들었음...
30대후반들은 오히려 원나블 전성기때가 조금 더 학창시절 중고딩때 관통하고 저도 중딩땐 원피스 나루토 애니 학교에서 봤던 크크
及時雨
24/03/09 18:50
수정 아이콘
저희도 드라곤의 비밀 문방구에서 사 읽었다구욧
말레우스
24/03/09 19:56
수정 아이콘
20대도 드래곤볼 겁나 많이 봤습니다
24/03/10 10:27
수정 아이콘
30대후반은 더편하게봤죠
제가40인데 초등학생때
만화대여점이나 친구들한테
빌려서 보고또보고 했습니다
제시절이 만화전성기였습니다
스터너
24/03/09 19:09
수정 아이콘
30후반도 드래곤볼 세대에 껴주기 힘들죠.
80년 초반생은 되야 마지노선 아닌가요?
버트런드 러셀
24/03/09 21:28
수정 아이콘
30대 후반인데 국민학교 4학년때 42권 완결났던걸로 기억해요. 당시 단행본 기다려서 구매하고 그랬으니 드래곤볼 세대에 껴도 되지않을까요 흐흐
24/03/10 10:35
수정 아이콘
선생님 드래곤볼은 저희아들도
좋아합니다 껴주세요
24/03/11 08:43
수정 아이콘
아니요
저 90년생인데 저 어렸을때도 드래곤볼은 신드롬 같은 인기가 있었어요. 비디오가게 가면 최신화는 항상항상 대여중 상태였습니다. 투니버스에서도 맨날 틀어주고
항구의토끼
24/03/09 19:15
수정 아이콘
저도 조의금을 좀 내야할까봐요.
나름 어릴때 버스멀미를 이겨내고 시골갈수있게 해준 원동력이었는데요...
산이염
24/03/09 19:31
수정 아이콘
닥터슬럼프는 안올라 오나
24/03/09 20:21
수정 아이콘
당시 분위기를 제대로 체감하려면 최소 40대는 되야하긴해요 흐흐
수금지화목토천해
24/03/09 20:5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드래곤볼을 군대도 다녀온 20대 중반에 (2010년 이후) 봐서 그런지 음 재밌네 정도였지만 시대를 감안하면 뛰어난 명작이라고 생각합니다
별개로 원나블은 지금 읽기엔 더 유치하게 느껴질 것 같아서 엄두도 못내고 있네요....
STONCOLD
24/03/09 21:43
수정 아이콘
그래도 한번은 꼭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수금지화목토천해
24/03/09 22:25
수정 아이콘
원피스는 원나블로 묶이면서도 그중 대장 느낌이 나니 그렇다고 친다면, 나블중엔 어떤 걸 더 추천하시는지 들을 수 있을까요?
STONCOLD
24/03/09 23:01
수정 아이콘
나루토가 한수 위라고 보고, 대부분 그렇게 생각하실거라 더 추천드립니다. 오리엔탈적인 면 덕에 서양에서는 원피스보다 더 흥행하기도 했습니다 크크
이웃집개발자
24/03/09 22:18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한땀한땀 돈모아서 샀었드랬죠 지금은 도대체 어떻게 재활용되었을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0883 [유머] (얏후)일본의 전통문화를 무시한다고 분노하는 일본인. [7] 캬라11893 25/01/18 11893
510882 [유머] 일본 연예인 닮은 사람 [2] 길갈8831 25/01/18 8831
510881 [유머] 서버실에 전승되는 전세계적 풍습 [12] 구급킹12214 25/01/18 12214
510880 [방송] 개인적으로 꼽은 멋진 국내 드라마 오프닝 3개 [9] Anti-MAGE9764 25/01/18 9764
510879 [유머] 해킹당한 성심당역시 [7] 코우사카 호노카13245 25/01/18 13245
510878 [유머] 의외로 맛있다는 중국집 조합 [20] EnergyFlow13465 25/01/18 13465
510877 [연예인] 일본배우 "아오이 유우" 인생 장면 [23] Anti-MAGE13612 25/01/18 13612
510876 [기타] 겨울 없는 대한민국 [71] Pika4814031 25/01/18 14031
510875 [유머] 인식과 다르게 사람한테 무해한 동물 [13] 길갈12672 25/01/18 12672
510874 [유머] 전원주택 짓는 거 뜯어 말리는 이유 [53] a-ha14061 25/01/18 14061
510873 [기타] 집에 가족 있을 때 볼륨 최대로 틀면 좋은 음악 [7] 묻고 더블로 가!9978 25/01/18 9978
510872 [기타] 미국, 중국 중 20년 뒤 세계 최강대국은? [46] 크레토스11485 25/01/18 11485
510871 [기타] 양발운전vs정상운전 천만원빵 [22] 톰슨가젤연탄구이9665 25/01/18 9665
510870 [기타] 주식금언 :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마라 [29] Lord Be Goja17222 25/01/18 17222
510869 [유머] 호텔을 너무 좋아하는 여성 [19] 퍼블레인14132 25/01/17 14132
510868 [LOL] 오늘 LCK컵에 나온 보기드문 장면 [7] EnergyFlow9988 25/01/17 9988
510867 [기타] 보이지 않는 불 [5] 어강됴리9630 25/01/17 9630
510865 [기타] 워렌버핏이 손해를 줄인 한수 [14] Lord Be Goja13214 25/01/17 13214
510864 [연예인] 배기성 전성기때 스케쥴 [24] INTJ10930 25/01/17 10930
510863 [기타] 무용론 나온 지 좀 됐지만 여전히 활용되고 있는 것 [52] a-ha14396 25/01/17 14396
510862 [LOL] 한화 응원하러 온 한전드.jpg [18] insane9783 25/01/17 9783
510860 [게임] 이쯤에서 다시보는 스위치 고전소설 [82] 코우사카 호노카10983 25/01/17 10983
510859 [기타] 위고비에 알려진 잘못된 소문 [64] Lord Be Goja13889 25/01/17 138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