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3/08 20:59:16
Name Heretic
File #1 1709549232699.jpg (53.3 KB), Download : 19
출처 https://www2.deloitte.com/kr/ko/pages/consumer/articles/2024/20240229.html
Subject [기타] 국가별 가솔린,하이브리드,전기차 비율 선호도 통계 (수정됨)






미국인들은 여전히 가솔린을 많이 좋아하는 스타일
알아보니 현재 점유율이 아니라 선호도 통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3/08 21:04
수정 아이콘
전기차와 내연기관차가 거의 동수네 중국은....
더치커피
24/03/08 21:04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랑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이가 뭔가요?
닉네임을바꾸다
24/03/08 2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충전을 따로 해야할정도로 좀 큰 베터리 넣은 친구...(그래서 모터로만으로도 제법 멀리 갈 수 있죠...)
일반 하이브리드는 엔진돌리는거 정도로 채울 수 있는 정도 용량...(뭐 여기서 모터단독으로는 차를 끌고 갈 수 없는 마일드하고 모터만으로 일단 차를 끌고 갈 수는 있는 풀 하이브리드가 또 나눠짐...)
츠라빈스카야
24/03/08 21:09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 기름이 메인이고 전기가 보조. 전기 따로 충전은 보통 안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전기가 메인이고 기름이 보조. 전기 따로 충전 가능

아주 간략하게 보자면 이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티오 플라토
24/03/08 21:11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는 외부전기 충전이 불가능하고 기름만 넣는 거고, 플러그인은 배터리 비율이 늘어서 전기로도 충전이 가능하고 기름도 넣을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은 사실 좀 애매한 것 같은...
nm막장
24/03/08 23: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참고로 제가 하이브리드 사고 나서 안건데...
하이브리드 배터리 용량 : 대략 1.2kWh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배터리 용량 : 대략 17kWh~
순수전기차 : 대략 77kWh~

아이 등원용으로 하이브리드 사서 전기만 쓰고 다녀야지~ 했는데 대략 20km/h 만 넘어도 부~웅 하고 엔진돌아갑니다.(무거워진 차체덕에 내연기관만 있는 버전보다 기름을 더 먹음... 생각보다 회생제동으로 충전 얼마 안되며... 배터리 수명때문에 항상 충전율을 30~70%로 유지하려고 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전기로 30km ~ 70km 까지 걍 다닐 수 있습니다. 시속 100km/h 밟아도 엔진 안돕니다.
(전기 주행 가능거리는 차종별로 배터리 용량에 따라 상이) (BEV는 300km ~500km 정도까지 다닐 수 있음 배터리 용량에 의존)

BEV(순수전기차) 대비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단점은... 대부분 고속충전이 안됩니다.
즉 집이랑 직장 거리가 30km ~ 70 km 안쪽이면서 집(아파트포함)에 충전기가 충분히 확보되어 완속으로 5~6시간 충전에 꽂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PHEV로 경제성 확보하기가 어렵죠.
24/03/08 21:05
수정 아이콘
저정도 팔렸나.. 포터때문에 그런가..
산밑의왕
24/03/08 21:05
수정 아이콘
기름값 싸고 오지 갈 일 많은 미국에서 내연기관 비중 높은게 이상한게 아니라 땅이 넓은데도 전기차 비중이 높은 중국이 신기한거라..
어강됴리
24/03/08 21:05
수정 아이콘
기타는 뭘까요 차에 캐로신을 넣는것도 아닐테고 부카니스탄도 아닌데 목탄차가 다니나
아.., LPG가 있구나

바이오디젤 생각하다가 그냥 그건 디젤 엔진이지..
24/03/08 21:08
수정 아이콘
몇몇 버스의 수소연료전지도 있습니다.
안아주기
24/03/08 21:08
수정 아이콘
수소차도 있죠.
츠라빈스카야
24/03/08 21:17
수정 아이콘
원문 보니 CNG, 수소, 에탄올 등 포함이네요.
티오 플라토
24/03/08 21:08
수정 아이콘
아마 2023년에 팔린 신차의 비율일 것 같아요. 전체 비율로 따지면 전기차가 저렇게 높을 수 없죠
츠라빈스카야
24/03/08 21:12
수정 아이콘
링크 가서 원문 파일을 받아봤는데, "다음에 살 차는 뭘로 살거냐"에 대한 답이네요.
엑세리온
24/03/08 21:14
수정 아이콘
이게 맞는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전기차 비율이 전체 차량중에 2프로가 안될거에요 아마
(윗 댓글 보고) 아, 어쩐지 잘 모르겠음은 왜 있나 했는데 그래서...
아엠포유
24/03/08 21:11
수정 아이콘
한일에서 하브, 플하브 비중이 높네요
츠라빈스카야
24/03/08 21:12
수정 아이콘
링크 가서 원문 봤는데, 저게 지금 전체 차량이나 최근 판매차량 비율이 아니라 '다음에 살 차는 뭘로 살래?'에 대한 대답이네요.
ComeAgain
24/03/08 21:24
수정 아이콘
전기차는 시기상조입니다. (전기차 보유중)
55만루홈런
24/03/08 21:24
수정 아이콘
전기차 쓰기엔 아직 너무 불편한... 충전부터 추운 겨울날 배터리 나가는 문제... 사고나서 불나면 확 불타버리는 문제 크크.. 세개 다 해결 되면 그 때 타는걸로 크크크
손꾸랔
24/03/08 21:25
수정 아이콘
독일이 의외네요. 유럽이라 전기/하이브리드가 대세일 줄 알았는데... 대세는커녕 한중일은 물론이고 인도 동남아보다 한참 떨어지는군요
24/03/08 21:5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도 그렇고 단종추세에 들어가는 디젤세단 여전히 꼬박꼬박 만들어 수출까지 하는 얘들이 유럽이죠.
24/03/08 21:5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하브 정말 좋아하긴하죠. 쏘렌토로 대표되는 suv 붐도 얘들이 하브모델이 나오면서 전성기가 왔다고봐도 무방하고요.
하아아아암
24/03/08 22:09
수정 아이콘
한중일이 친환경 제알 앞서나가네요 크크

미국은 그렇다치고 유럽조차 한참 인식이 멀었군요?
김삼관
24/03/08 22:17
수정 아이콘
전기차가 주류가 될 수 있으려나..?
24/03/08 23:46
수정 아이콘
단독주택이신분은 무조건 전기차 타세요.. 자가 충전기만 있으면 안살이유가 없습니다
24/03/09 00:25
수정 아이콘
전기차 주류 되려면 15년은 더 남았다고 봅니다
24/03/09 03:07
수정 아이콘
남자는 죽을때까지 가솔린이다..
시무룩
24/03/09 06:29
수정 아이콘
일본은 하브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을줄 알았는데 의외로 선호도 자체는 생각만큼 높지는 않네요
마찬가지로 phev 차량이 많은 독일도 phev 선호도가 그리 높지 않구요
지켜보고있다
24/03/09 23:21
수정 아이콘
Phev가 왜이렇게 많나 했더니 선호도였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6900 [스타1] 여수도련님 소리듣는 김성대 개집.jpg [3] insane8433 24/03/15 8433
496898 [유머] 밤양갱 대박으로 신난 밤양갱 회장님 표정 [9] Davi4ever9807 24/03/15 9807
496896 [유머] 동물들이 뻔한 함정과 덫에 걸리는 이유.jpg [15] Myoi Mina 8386 24/03/15 8386
496895 [유머] 기업이 PPL에 목숨 거는 이유 [16] 길갈9744 24/03/15 9744
496894 [게임] 비리비리 한국시장 철수각? [11] 묻고 더블로 가!9003 24/03/15 9003
496893 [유머] 삼국지 인재 선택 밸런스 게임.jpg [114] 北海道10996 24/03/15 10996
496892 [유머] 반려견을 위해 마당에 개집 지어준 남자.jpg [15] 北海道9524 24/03/15 9524
496891 [유머] 러시아의 깨끗하고 투명한 투표 [16] Myoi Mina 10117 24/03/15 10117
496890 [기타] AI 그림 근황 [9] 물맛이좋아요10172 24/03/15 10172
496889 [유머] 당근마켓에 65년 된 물건이 올라옴 [13] Myoi Mina 15212 24/03/15 15212
496888 [유머] 일본에서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이상한 시선을 받았다는 사람 [12] Myoi Mina 12240 24/03/15 12240
496887 [유머] 명나라 주원장이 사람을 덜 죽였던 이유.jpg [11] 北海道11517 24/03/15 11517
496886 [유머] (후방) 어제 잠실터미네이터 [29] 삭제됨13338 24/03/15 13338
496885 [기타] 애플 가격이 떡상하고 있습니다. [23] 자칭법조인사당군10615 24/03/15 10615
496884 [유머] 운불운 갈리는 상황 [9] 길갈7485 24/03/15 7485
496883 [기타] 영국, 일본, 멕시코, 브라질에서 최근 1년간 시청한 OTT 영상 콘텐츠의 제작 국가는? [18] 내설수10536 24/03/15 10536
496882 [유머] 아재판독 전화기.jpg [30] 北海道10984 24/03/15 10984
496881 [스포츠] 진정한 상남자 [2] 아몬9537 24/03/15 9537
496880 [서브컬쳐] 포켓몬 애니 근황 [3] 아드리아나6218 24/03/15 6218
496879 [기타] 스페이스X 스타십 3번째 발사, 적당한(?) 성공 [5] 덴드로븀7763 24/03/15 7763
496878 [서브컬쳐] 넷플릭스 '시티헌터' 실사화 영화 공식 예고편 [33] EnergyFlow10183 24/03/15 10183
496877 [기타] 허허 이번 기부는 익명으로 해주세요 [26] Lord Be Goja11575 24/03/15 11575
496876 [기타] 의외로 하면 안된다는것 [9] Lord Be Goja8235 24/03/15 82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