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3/08 20:59:16
Name Heretic
File #1 1709549232699.jpg (53.3 KB), Download : 4
출처 https://www2.deloitte.com/kr/ko/pages/consumer/articles/2024/20240229.html
Subject [기타] 국가별 가솔린,하이브리드,전기차 비율 선호도 통계 (수정됨)






미국인들은 여전히 가솔린을 많이 좋아하는 스타일
알아보니 현재 점유율이 아니라 선호도 통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3/08 21:04
수정 아이콘
전기차와 내연기관차가 거의 동수네 중국은....
더치커피
24/03/08 21:04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랑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이가 뭔가요?
닉네임을바꾸다
24/03/08 2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충전을 따로 해야할정도로 좀 큰 베터리 넣은 친구...(그래서 모터로만으로도 제법 멀리 갈 수 있죠...)
일반 하이브리드는 엔진돌리는거 정도로 채울 수 있는 정도 용량...(뭐 여기서 모터단독으로는 차를 끌고 갈 수 없는 마일드하고 모터만으로 일단 차를 끌고 갈 수는 있는 풀 하이브리드가 또 나눠짐...)
츠라빈스카야
24/03/08 21:09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 기름이 메인이고 전기가 보조. 전기 따로 충전은 보통 안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전기가 메인이고 기름이 보조. 전기 따로 충전 가능

아주 간략하게 보자면 이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티오 플라토
24/03/08 21:11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는 외부전기 충전이 불가능하고 기름만 넣는 거고, 플러그인은 배터리 비율이 늘어서 전기로도 충전이 가능하고 기름도 넣을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은 사실 좀 애매한 것 같은...
nm막장
24/03/08 23: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참고로 제가 하이브리드 사고 나서 안건데...
하이브리드 배터리 용량 : 대략 1.2kWh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배터리 용량 : 대략 17kWh~
순수전기차 : 대략 77kWh~

아이 등원용으로 하이브리드 사서 전기만 쓰고 다녀야지~ 했는데 대략 20km/h 만 넘어도 부~웅 하고 엔진돌아갑니다.(무거워진 차체덕에 내연기관만 있는 버전보다 기름을 더 먹음... 생각보다 회생제동으로 충전 얼마 안되며... 배터리 수명때문에 항상 충전율을 30~70%로 유지하려고 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전기로 30km ~ 70km 까지 걍 다닐 수 있습니다. 시속 100km/h 밟아도 엔진 안돕니다.
(전기 주행 가능거리는 차종별로 배터리 용량에 따라 상이) (BEV는 300km ~500km 정도까지 다닐 수 있음 배터리 용량에 의존)

BEV(순수전기차) 대비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단점은... 대부분 고속충전이 안됩니다.
즉 집이랑 직장 거리가 30km ~ 70 km 안쪽이면서 집(아파트포함)에 충전기가 충분히 확보되어 완속으로 5~6시간 충전에 꽂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PHEV로 경제성 확보하기가 어렵죠.
24/03/08 21:05
수정 아이콘
저정도 팔렸나.. 포터때문에 그런가..
산밑의왕
24/03/08 21:05
수정 아이콘
기름값 싸고 오지 갈 일 많은 미국에서 내연기관 비중 높은게 이상한게 아니라 땅이 넓은데도 전기차 비중이 높은 중국이 신기한거라..
어강됴리
24/03/08 21:05
수정 아이콘
기타는 뭘까요 차에 캐로신을 넣는것도 아닐테고 부카니스탄도 아닌데 목탄차가 다니나
아.., LPG가 있구나

바이오디젤 생각하다가 그냥 그건 디젤 엔진이지..
24/03/08 21:08
수정 아이콘
몇몇 버스의 수소연료전지도 있습니다.
안아주기
24/03/08 21:08
수정 아이콘
수소차도 있죠.
츠라빈스카야
24/03/08 21:17
수정 아이콘
원문 보니 CNG, 수소, 에탄올 등 포함이네요.
티오 플라토
24/03/08 21:08
수정 아이콘
아마 2023년에 팔린 신차의 비율일 것 같아요. 전체 비율로 따지면 전기차가 저렇게 높을 수 없죠
츠라빈스카야
24/03/08 21:12
수정 아이콘
링크 가서 원문 파일을 받아봤는데, "다음에 살 차는 뭘로 살거냐"에 대한 답이네요.
엑세리온
24/03/08 21:14
수정 아이콘
이게 맞는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전기차 비율이 전체 차량중에 2프로가 안될거에요 아마
(윗 댓글 보고) 아, 어쩐지 잘 모르겠음은 왜 있나 했는데 그래서...
아엠포유
24/03/08 21:11
수정 아이콘
한일에서 하브, 플하브 비중이 높네요
츠라빈스카야
24/03/08 21:12
수정 아이콘
링크 가서 원문 봤는데, 저게 지금 전체 차량이나 최근 판매차량 비율이 아니라 '다음에 살 차는 뭘로 살래?'에 대한 대답이네요.
ComeAgain
24/03/08 21:24
수정 아이콘
전기차는 시기상조입니다. (전기차 보유중)
55만루홈런
24/03/08 21:24
수정 아이콘
전기차 쓰기엔 아직 너무 불편한... 충전부터 추운 겨울날 배터리 나가는 문제... 사고나서 불나면 확 불타버리는 문제 크크.. 세개 다 해결 되면 그 때 타는걸로 크크크
손꾸랔
24/03/08 21:25
수정 아이콘
독일이 의외네요. 유럽이라 전기/하이브리드가 대세일 줄 알았는데... 대세는커녕 한중일은 물론이고 인도 동남아보다 한참 떨어지는군요
24/03/08 21:5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도 그렇고 단종추세에 들어가는 디젤세단 여전히 꼬박꼬박 만들어 수출까지 하는 얘들이 유럽이죠.
24/03/08 21:5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하브 정말 좋아하긴하죠. 쏘렌토로 대표되는 suv 붐도 얘들이 하브모델이 나오면서 전성기가 왔다고봐도 무방하고요.
하아아아암
24/03/08 22:09
수정 아이콘
한중일이 친환경 제알 앞서나가네요 크크

미국은 그렇다치고 유럽조차 한참 인식이 멀었군요?
김삼관
24/03/08 22:17
수정 아이콘
전기차가 주류가 될 수 있으려나..?
24/03/08 23:46
수정 아이콘
단독주택이신분은 무조건 전기차 타세요.. 자가 충전기만 있으면 안살이유가 없습니다
24/03/09 00:25
수정 아이콘
전기차 주류 되려면 15년은 더 남았다고 봅니다
24/03/09 03:07
수정 아이콘
남자는 죽을때까지 가솔린이다..
시무룩
24/03/09 06:29
수정 아이콘
일본은 하브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을줄 알았는데 의외로 선호도 자체는 생각만큼 높지는 않네요
마찬가지로 phev 차량이 많은 독일도 phev 선호도가 그리 높지 않구요
지켜보고있다
24/03/09 23:21
수정 아이콘
Phev가 왜이렇게 많나 했더니 선호도였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8826 [기타] 드래곤볼 브랜드전_고급 일러스트 보드 증정 [1] 고쿠3612 24/04/22 3612
498819 [기타] 상상초월 호주 방목장.jpg [37] Myoi Mina 9833 24/04/22 9833
498817 [기타] 얼마전 화제였던 라이브 무대 대참사 [36] Lord Be Goja9845 24/04/22 9845
498811 [기타] 중국산과 비교당해 매장당할 위기의 삼성로청을 구하기 위해 [39] Lord Be Goja9050 24/04/22 9050
498810 [기타]  스마트워치의 놀라운 효능 [30] Lord Be Goja9029 24/04/22 9029
498797 [기타] 박평식 평론가가 만점 준 영화 [33] 무딜링호흡머신9172 24/04/21 9172
498795 [기타] 뉴욕 맨하탄 다운타운에 오픈한 한국식 기사식당 [25] 매번같은9266 24/04/21 9266
498792 [기타] 피식쇼에 출연을 원하는 유튜버 [21] 슬로9958 24/04/21 9958
498788 [기타] (약후?) 처음으로 청바지 산 힘숨찐 [18] 묻고 더블로 가!14219 24/04/21 14219
498785 [기타] 사랑하는 아내을 위해 PC 전원버튼을 개조해준 남편.MP4 [14]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359 24/04/21 9359
498782 [기타] X-Japan을 삼킨 부장님.mp4 [1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5843 24/04/21 5843
498774 [기타] 무언가 다른게 생각나는 상품 [2] 닉넴길이제한8자5327 24/04/21 5327
498770 [기타] 조르지오는 정말로 메이드 인 이태리 [26] Lord Be Goja9697 24/04/20 9697
498765 [기타] 겨드랑이 제모 노하우 알려주는 경북대생 [26] 묻고 더블로 가!11411 24/04/20 11411
498764 [기타] 삼성물산이 요즘 레미안 안짓는 이유 [44] 무딜링호흡머신10949 24/04/20 10949
498756 [기타] 증권가 연봉 TOP10에서 유독 눈에 보이는 한 분 [29] 물맛이좋아요9689 24/04/20 9689
498752 [기타] 머스크: 서로에게 로켓을 쏘지 말고 별에 쏘세요 [13] Lord Be Goja6386 24/04/20 6386
498751 [기타] 우크라이나에 있는 인공 산 500개의 이야기.jpg [15] Myoi Mina 8128 24/04/20 8128
498750 [기타] 아버지를 주장하는 4명이 전부 친부가 아닌 아이 [14] 이호철6997 24/04/20 6997
498746 [기타] 오은영 교수의 30년 전 모습.jpg [18] Myoi Mina 8903 24/04/20 8903
498741 [기타] 충청남도 공공부문 출산시 주4일제 도입 [61] 무딜링호흡머신8084 24/04/20 8084
498737 [기타] 만 33살의 신입 호스트를 응원하는 댓글란 [7] 김삼관9278 24/04/20 9278
498735 [기타] 최근 일본 지진 발생 현황 [23] 아롱이다롱이9690 24/04/20 96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