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3/01 19:24:42
Name 서귀포스포츠클럽
File #1 s0Y6X60fhe7lj8tti1.png (426.4 KB), Download : 2
출처 https://m.slrclub.com/v/hot_article/1228621?&page=31749
Subject [기타] 제로백 1초 미만이라는 테슬라 로드스터


일반인은 풀악셀도 못밟겠는데요 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3/01 19:28
수정 아이콘
몇 g걸리는거죠?
덴드로븀
24/03/01 19:30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cSp2CN-XQX8
[리막 네베라] 1914마력 전기차
가속성능
[0→60 mph 1.74초]
[0→100 km/h 1.81초]
0→200 km/h 4.42초
0→300 km/h 9.22초
0→400 km/h 21.31초
24/03/01 19:34
수정 아이콘
일반인이 운전이 가능할까요?
아침노을
24/03/01 19:38
수정 아이콘
아 글쎄 차량 급발진 맞다니까요!
그게 아니면 순식간에 속도가 빨라지는 게 말이 안되잖아요!
ComeAgain
24/03/01 19:38
수정 아이콘
볼륨조절식으로 속도를 제어하나...?!
https://pgr21.com/humor/494316
24/03/01 19:42
수정 아이콘
제로백 1초면 대충 4G? 정도일텐데 건강 나쁜사람은 잠깐 기절할수도 있겠네요
유료도로당
24/03/01 19:44
수정 아이콘
아직 안나온거라서 뭐.. 크크
탑클라우드
24/03/01 19:51
수정 아이콘
뭐 일단 지르고 보는 경우가 한두번이었어야... 허허허
한방에발할라
24/03/01 19:54
수정 아이콘
로드스터 계약금을 대체 몇년 전부터 받았던 거지...
DogSound-_-*
24/03/01 19:55
수정 아이콘
나와봐야 알지 않을까요
홍보도 조작했는덴
VictoryFood
24/03/01 19:55
수정 아이콘
제로백 1초면 항공모함이 함재기 쏴올리는 속도 아닌가요?
알파센타우리
24/03/01 20:02
수정 아이콘
공도에서는 불가능할거 같은데요
24/03/01 20:05
수정 아이콘
스펙은 그렇다 치고 나오긴 합니까...
사트 보니 테슬라 양산 능력이 한계치에 다다른 것 같던데
내년엔아마독수리
24/03/01 20:15
수정 아이콘
일단 주작이 한번 걸려서...
느낌이좋아
24/03/01 20:22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X 로켓 추진기 옵션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가능할지도 크크
회색사과
24/03/01 20:22
수정 아이콘
니콜라? 처럼 기운데서 굴리는 거 아닌가요? 하려했더니
자유낙하해도 10초..
츠라빈스카야
24/03/01 21:00
수정 아이콘
그러면 1초면 10G라는거군요. 사실상 자의적 교통사고..
퀀텀리프
24/03/01 20:50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X의 기술로 만들었습니다만..
24/03/01 20:57
수정 아이콘
제로백 1초 이하는 말이 안되는게;;

2톤 가까이 되는 차가 제로백 1초 되려면 모터가 3천 마력은 넘어야 할 거 같은데요;
라파엘
24/03/01 21:07
수정 아이콘
한번 발사할 때 수천억원이 드는 인공위성을

국가도 아닌 한 개인이
300억원 가지고 회사를 만들어 4만개가 넘는 위성을 쏘아올린게 일론머스크에요.

수천억 들여 인공위성 발사한 모든 선진국들을 바로로 만들었죠.

일론머스크가 인류 역사상 가장 말이 안되는 업적을 가장 다양하게 쌓은 인물일 겁니다.
소독용 에탄올
24/03/01 21:16
수정 아이콘
로드스터 컨셉카를 화성 보내는게 정식 출시보다 빠를지도.....
라파엘
24/03/01 23:41
수정 아이콘
2018년 2월 6일 스페이스X 팰컨 헤비 초도비행의 화물로 선정되었다. 최신 모델은 아니고 2008년부터 일론 머스크가 개인용으로 타던 로드스터 1세대 차량이다

이미 일론머스크는 자기가 타던 로드스터를 우주로 보냈습니다. 기네스북에 우주에서 가장 빠른 차로 등재까지 되었죠.

물론 화성까진 아직 안보냈지만요.
소독용 에탄올
24/03/01 23:52
수정 아이콘
그것보다 출시예정 발표는 더 빨랐습니다.

2세대가 약속한 스팩으로 양산되는 것보단 스타쉽 쪽이 더 빠를것 같네요.....
라파엘
24/03/02 00:16
수정 아이콘
아 저도 머스크의 출시 예정일은 안믿습니다.

이번에도 몇년 더 늦어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24/03/01 22:50
수정 아이콘
전기차 구동계에서는 최고의 기술을 가진 리막의 리베라가 1900마력으로 제로백 1.8초인가 걸립니다.
라파엘
24/03/01 23:37
수정 아이콘
전기 슈퍼카 회사 리막 CEO가 1초만에 ‘0-60mph(100km/h)’ 달성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마테 리막 ‘부가티-리막’ CEO는 테슬라가 1초 이내에 0-60mph를 이뤄낼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가능하지만 엄청난 전력과 아주 적은 무게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https://www.g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973
24/03/01 23:41
수정 아이콘
바퀴만으로는 사실 상 어렵고, 보조적인 추진기가 필요한 건데;

그걸 양산차에 적용시키는 건 완전히 다른 문제라고 봐서;;
라파엘
24/03/01 23: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머스크는 지난 2018년 로드스터 발표 당시 “차량 주위에 10개의 작은 로켓 추진기가 원활하게 배열될 것”이라고 밝혀 이론적으로 로드스터가 1초 미만의 시간으로 0-60mph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됐다

인공위성 4만개 띄워 본 머스크 입장에선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기 보다는 차가격 얼마에 만들 수 있느냐의 문제겠죠.

PER 이 50인 회사 오너 입장에선 실제로 로드스터를 통해 얼마의 이익을 낼 수 있느냐 보다 투자자들에게 어떤 미래를 상상시킬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전 불가능하다고만 보지는 않습니다
24/03/01 23:55
수정 아이콘
뭐 1년에 몇십대 수준이라면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의미의 양산차로 가능할 거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라파엘
24/03/02 00:14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컨셉카 이후에 일반인들에게 판매하면 양산차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님이 예로든 리막 네베라 도 양산차로 발표되었죠. 아마도 테슬라 로드스터가 리막 네베라 보다는 많이 팔릴테니 양산차로 봐줄 수 있죠.
DogSound-_-*
24/03/02 00:20
수정 아이콘
포르쉐 달고도 포르쉐 이긴다고 홍보하던
사이버트럭이 실은 구라로 밝혀진지 몇달 안되었네요
라파엘
24/03/02 00:41
수정 아이콘
저도 머스크 이야기를 다 믿는다는건 아니에요.

워낙 허무 맹랑한 이야기들도 (일부는)현실화 해내니

무조건 안된다고 볼 일은 아니라는 말이죠.
아우구스티너헬
24/03/02 07:56
수정 아이콘
제로백이 1초인 차를 만들이유도 없고 그걸 소비할 수요도 없습니다.

승용차의 제로백이 1초에 대한 소비자의 효용이 무엇인가요?

가능해보이지도 않고 시장성도 없어보이지만 뭐 했다고 치다라도 그건 혁신이 아니고 그냥 돈xx일 뿐이죠
라파엘
24/03/02 08:02
수정 아이콘
제 차가 타이칸인데 효용성만을 따지면
제로백 2초 차도 필요없고 2억짜리 차도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아주 가끔 느껴보는 가속도의 짜릿함은 큰 쾌감을 줍니다. 그래서 다음 차는 더 빠른 차를 타보고 싶어요.
츠라빈스카야
24/03/01 21:25
수정 아이콘
일단 테슬라 로드스터 1세대 스펙을 기준으로 볼 때, 중량은 1.3톤 정도네요. 그걸로 추정해보면...100km/h는 대충 27.78m/s니까..
1300kg짜리 차가 시속 100km일 때의 운동에너지는 0.5mv^2에서...0.5*1300*(27.78*27.78) = 501,623.46(J)이군요. 대충 50만 줄이라고 치고...
이만큼을 1초에 차에다가 때려박아야 하니, 즉 일률은 50만 와트(W)네요.
마력으로 환산하려면..나무위키 찾아보니 영국 와트 기준 1마력이 대충 745.7와트. 나눠보면 670마력쯤 되는군요. 생각보다 적네요.

다만 이건 순수하게 차 가속에 쓰이는 힘 얘기고, 구동계에서의 동력전달손실이나 타이어 마찰력 문제 등등 이런저런 손실 생각하면 그보다는 훨씬 더 들겠네요. 그래도 3천까진 안가고 한 1500~2천마력 선에서 달성 가능하지 않을까 싶기도....
츠라빈스카야
24/03/01 21:31
수정 아이콘
음 근데 여기저기 찾아보니 2세대는 차급이 스포츠카급에서 GT급으로 바뀌면서 2톤 정도라고 하는군요?
그럼 전체적인 수치가 대충 1.5배씩이니...호오....
24/03/01 22:51
수정 아이콘
리베라 보면 2천마력으로도 제로백 1초 이하는 택도 없어요;
소독용 에탄올
24/03/01 21:08
수정 아이콘
출시한다는 말한 해 태어난 아이들이 입학도 할 때가 되가는데.....
포프의대모험
24/03/01 23:52
수정 아이콘
머 샘플차 한대에 분사장치같은거 붙여서 오바하는거 아닐까요
24/03/02 00:07
수정 아이콘
저런거는 보통 준비모드 하고 몇분 세팅하고 빵 쏘는 방식일거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7284 [유머] 간지나는 고인물 업적작 [39] 인간흑인대머리남캐7958 24/03/22 7958
497283 [유머] 당신은 조부모의 부모와 만난 경험이 있나요.jpg [26] 北海道6681 24/03/22 6681
497282 [유머] 인간은 45도 이상의 언덕을 걸을 수 없다 [28] 인간흑인대머리남캐7762 24/03/22 7762
497281 [LOL] T1 숙소 근황? [12] 6579 24/03/22 6579
497280 [LOL] ??? : 기인형 LCK 1500킬이 대단한거에요? [17] Leeka6315 24/03/22 6315
497279 [LOL] 팬미팅과 광동의 성적 [11] Leeka4169 24/03/22 4169
497278 [기타] 의외로 26개월째 붕 떠있다는 사람 [13] Lord Be Goja8233 24/03/22 8233
497277 [스포츠] 양궁계에서 카리나 윈터라고 불리는 선수 [16] 물맛이좋아요10050 24/03/22 10050
497276 [유머] 조조의 대인배 코스프레 실체.jpg [41] 北海道7511 24/03/22 7511
497275 [게임] 풍월량 in 게임 [3] 이호철4399 24/03/22 4399
497274 [유머] 남성분들 하루에 몇 분이나 컴퓨터 앞에 앉아계신가요? [24] 닉언급금지6986 24/03/22 6986
497273 [유머] 요즘 초딩이 쓴다는 표현? [49] 아드리아나7113 24/03/22 7113
497272 [유머] 관리실 "차량등록 때문에 그러는데 차종 좀 알려주세요" [34] EnergyFlow10907 24/03/22 10907
497271 [유머] 친구 남친 애 임신한 채로 등교한 여학생.everytime [100] 궤변11442 24/03/22 11442
497270 [유머] 다시 40살로 돌아가신다면 뭘하실건가요.jpg [54] 北海道8142 24/03/22 8142
497269 [유머]  마켓컬리 130만원 손해배상 청구 논란.jpg [45] 아롬8388 24/03/22 8388
497268 [유머] 귀신이 출몰하는 하숙집.jpg [12] 北海道6564 24/03/22 6564
497266 [방송] 또 하나 제작 결정된 게임 원작 영화 [13] 롤격발매기원6793 24/03/22 6793
497265 [유머] 24학번) 오늘은 21학번 할아버지랑 같이 밥을 먹었다 [54] EnergyFlow8819 24/03/22 8819
497264 [유머] 어려운 회사 사정을 듣고 눈물을 흘린 중소기업갤러 [26] Myoi Mina 8055 24/03/22 8055
497262 [유머] 글로벌 선구자 한국! [16] 이호철7849 24/03/22 7849
497261 [서브컬쳐] 반다이에서 오늘 발표한 신작 건프라 [45] 웃어른공격6759 24/03/22 6759
497260 [기타] 공개된 KIA의 K4 [39] 서귀포스포츠클럽7951 24/03/22 79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