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2/28 11:24:38
Name 아롬
File #1 0228111552723799.jpg (323.1 KB), Download : 6
File #2 ezgif_4_f99ef38003.gif (2.24 MB), Download : 3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FNx5nWiGmmI
Subject [유머] 의대 등록금이 무료!




미국의 한 의과대학에 1조 원 넘는 돈이 장학금으로 기부돼 모든 학생이 등록금을 안 내고 다닐 수 있게 됐습니다. 이 돈을 기부한 자산가는 장학금에 자신의 이름을 앞세우지 말라는 조건까지 달았습니다.

뉴욕 김범주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루스 가데스먼/1조3천억 원 기부 : 올해 8월부터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 학생들은 등록금이 없어진다는 소식을 알려 드리게 돼서 기쁩니다.]

1년에 8천만 원 하던 등록금을 이제는 안 내도 된다는 말에 일제히 환호가 터져 나옵니다.

미국 뉴욕에 있는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에서 벌어진 일입니다.

이 대학 명예교수인 루스 가데스먼 박사가 10억 달러, 우리 돈 1조 3천억 원을 기부한 덕분입니다.

세계 최고 투자가 워런 버핏에게 초기부터 투자를 해 온 남편 데이빗 가데스먼 씨가 남긴 유산입니다.

2년 전 96살로 숨지면서 이 돈으로 옳은 일을 하라는 말을 남긴 데 따른 결정인데, 자녀들도 앞장서서 지지했습니다.

루스 박사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도 의사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93살인 루스 박사는 이 학교에서 50년 넘게 학습장애를 겪는 어린아이들을 도울 방법을 연구해 왔습니다.

[루스 가데스먼/1조 3천억 원 기부 : 대학에 갈 때 제가 하고 싶었던 일은 소외된 사람들과 일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아동재활센터에서 일을 하게 됐죠.]

루스 박사는 자신이 한 일을 사람들이 알 필요가 없다면서 자신과 남편의 이름을 따서 장학금 이름을 짓지 말라는 기부 조건도 걸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위원장
24/02/28 11:26
수정 아이콘
멋지네요
24/02/28 11:29
수정 아이콘
의과대학에 아인슈타인 붙은거 신경쓰이면 이상한가요
퀀텀리프
24/02/28 11:39
수정 아이콘
특수 상대성 의학
일반 상대성 의학
24/02/28 11:47
수정 아이콘
사고…실험?
귀여운호랑이
24/02/28 11:55
수정 아이콘
광전 치료
중력 치료
아침노을
24/02/28 14:1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슈뢰딩거 붙은 것 보다는 나은 것 같아요 크크
율리우스 카이사르
24/02/28 11:29
수정 아이콘
미국 최고 명문의대가 되는 것인가!!
애플프리터
24/02/29 00:31
수정 아이콘
이걸 미리 실천한 다른 부자대학들이 있습니다. NYU만해도 몇년전부터 등록금전액면제+소소한 용돈.
율리우스 카이사르
24/02/28 11:31
수정 아이콘
근데 1조가 큰돈같아도 단순계산으로 1억원 학비 1만명이면 끝이긴 하네요. ( 단순히 연 200명이면 50년인건가? )
꿈트리
24/02/28 11:35
수정 아이콘
재투자 계속 하겠죠.
feat. 쿠팡에 물린 MIT 고마워~
율리우스 카이사르
24/02/28 11:38
수정 아이콘
끄덕.. 이제 고이자 시대니까.. 끄덕.
티나한
24/02/28 11:41
수정 아이콘
보수적으로 4프로 수익률만 잡아도 720억이 매년 들어오는 돈인데요. 학교 규모는 모르겠지만 그정도면 학비 감당하고도 남을 것 같습니다. 어마어마한 투자실패를 하지 않는 이상 영원히 등록금 없는 학교 가능할 듯..
김유라
24/02/28 11:42
수정 아이콘
???: TQQQ랑 SOXL에 몰빵하겠습니다
무냐고
24/02/28 11:45
수정 아이콘
??? : 이제부터 학비 뿐만 아니라 용돈도 지급하겠습니다.
아케르나르
24/02/28 11:43
수정 아이콘
미 국채에만 투자해도 1년 수익률이 대충 5퍼센트가 넘어서 연간 650억이 들어와요. 미국쪽 세금은 어떻게 떼는진 몰라도...
안군시대
24/02/28 12:18
수정 아이콘
저런 돈이 있으면 재단 만들어서 마르고 닳도록 굴릴 수 있죠.
소금물
24/02/28 21:28
수정 아이콘
미국 의대 숫자는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가장 큰 서울대 의대라고 해도 정원이 140명이 안되서... 넉넉잡고 200명 있다고 해도 1만명이면 50년은 가능하죠. 50년 후면 뭔가 지금이랑은 엄청 바껴있을텐데.. 투자 등 굴려서 더 오래가기도 할거고요.
퀀텀리프
24/02/28 11:41
수정 아이콘
천조국은 기부금도 1조
24/02/28 11:4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면 학교 건물부터 올릴 생각하겠죠?
24/02/28 11:54
수정 아이콘
기부자가 장학금으로 써 달라고 명시하면 장학금으로만 쓰이지 않을까요?
그런데도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고 그럴까요?
로오나
24/02/28 12:13
수정 아이콘
기부 받은 돈으로 장학금을 쓰고 원래 장학금으로 쓰던 돈으로 건물을 올리는거죠...!
왓두유민
24/02/28 12:25
수정 아이콘
정확하십니다
사람되고싶다
24/02/28 11:50
수정 아이콘
저동네 의대 등록금은 학기당 억씩 찍지 않나요. 진짜 잭팟이네...
신사동사신
24/02/28 11:59
수정 아이콘
본문엔 연8천이라 나와있네요
신사동사신
24/02/28 11:59
수정 아이콘
버핏옹의 위엄?
24/02/28 12:19
수정 아이콘
1년 팔천;;;
24/02/28 12:30
수정 아이콘
천조국 클라스 헐
No.99 AaronJudge
24/02/28 12:58
수정 아이콘
멋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7548 [유머] 아빠는 대머리가 아니야 [3] 인간흑인대머리남캐4603 24/03/27 4603
497547 [유머] 70년대 고등학교 교권 약했음.jpg [25] 北海道7720 24/03/27 7720
497546 [게임] 의외로 2004년 뉴스가 아닌것 [13] Lord Be Goja5330 24/03/27 5330
497545 [서브컬쳐] 과거와 현재의 거유 속성 차이 [25] 묻고 더블로 가!6093 24/03/27 6093
497544 [서브컬쳐] 미래가 몹시 우려된다는 요즘 오타쿠들 [14] 인간흑인대머리남캐5444 24/03/27 5444
497543 [기타] 아무래도 테뮤가 알리보다 마케팅비를 많이 쓰는거같은 이유 [9] Lord Be Goja6523 24/03/27 6523
497542 [유머] 국내외 항공사 항공기 보유대수.jpg [14] 핑크솔져6445 24/03/27 6445
497541 [기타] 사담 후세인 최후의 은신처 모습 [31] 우주전쟁10225 24/03/27 10225
497540 [유머] 라떼는 훨씬 척박한 환경에서 진짜 피지컬로 게임했다고 발끈하는 중년게이머들 [86] Myoi Mina 7290 24/03/27 7290
497539 [유머] 직장 상사로 두면 호불호 갈린다는 삐돌이 스타일.jpg [13] 北海道7733 24/03/27 7733
497538 [동물&귀욤] 엄마 쫓아가는 멧돼지 애기들.gif [17] insane5458 24/03/27 5458
497537 [기타] 최근 10년간 인텔 vs 엔비디아 시가총액 비교 [24] Heretic6637 24/03/27 6637
497536 [기타] 신동엽 청담동 집 인테리어 (2002년) [17] insane7267 24/03/27 7267
497535 [기타] 오프닝 시퀸스 만큼은 역대급인 한국영화 [48] insane7639 24/03/27 7639
497534 [스포츠] 어제 손흥민이 카메라맨과 하이파이브 한 이유 [4] EnergyFlow6423 24/03/27 6423
497533 [유머] 정치 성향이 다른 사람이랑 깊은 인간관계 가능한가요?.jpg [76] 北海道7125 24/03/27 7125
497532 [기타] ??: 야 넌 그거 써먹지도 못할거 왜 사냐 [15] Lord Be Goja6227 24/03/27 6227
497531 [게임] 아래에 올라온 MS게이밍 제작가이드의 전문을 ai에게 해석/평가시켜봤습니다 [9] Lord Be Goja4945 24/03/27 4945
497530 [기타] '상대적 박탈감' 이라는 표현을 싫어하는 이유.jpg [81] 北海道9665 24/03/27 9665
497529 [LOL] 왜 이렇게 빨리 올리나요! [17] 카레맛똥5887 24/03/27 5887
497526 [기타] ??:저런, ai하시겠다고 그 비싼 엔비디아 H100을 잔뜩 사모으셨나요? [26] Lord Be Goja7157 24/03/27 7157
497523 [방송] 스포없음)고대콩 외국후기 [17] 롤격발매기원5854 24/03/27 5854
497522 [게임] 풍월량 유투브 드래곤즈 도그마 특징 [3] 이호철6521 24/03/27 65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