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2/25 23:07:58
Name VictoryFood
File #1 1.png (975.7 KB), Download : 17
File #2 2.png (1006.1 KB), Download : 8
출처 슈카월드
Subject [기타] GDP 대비 중고생 교육비 & 대학생 교육비




한국은 중등교육, 고등교육 모두 튀는데
중등교육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게 높고
고등교육은 평균 미달로 낮음

인생이 19살에 치르는 수능으로 결정되는 나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계층방정
24/02/25 23:09
수정 아이콘
잠깐, 공교육비면 국가에서 지출하는 거 말하는 건가요?
Jedi Woon
24/02/25 23:10
수정 아이콘
근데 슈카 모자? 투구? 유독 합성처럼 보여서 더 눈에 띄네요
24/02/25 23:26
수정 아이콘
대학교 잘들어가는게 인생최대업적이 되고 그것에대한 노력만 노력으로 치부하며 그렇게 딴 훈장인만큼 보상심리가 극에 달한 나라인데 당연히 그 전이 중요하지 학벌땃으면 끝이죠. 그게 요즘에도 먹히냐 안먹히냐는 둘째치더라도요.
활화산
24/02/25 23:34
수정 아이콘
공부는 평생하는 건데... 어릴 때 한 철 승부처럼 하니... 1인당 독서량이 전 세계 꼴찌 수준...
2017년 발표한 OECD 국가별 성인 1인당 월간 독서량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의 한 달 평균 독서량은 0.8권으로 미국 6.6권, 일본 6.1권, 프랑스 5.9권, 중국 2.6권 등에 비해 크게 낮다. 독서량 순위에서도 세계 166위로 하위권이다.
Starscream
24/02/26 00:03
수정 아이콘
미국은 모르겠지만서고, 현직 일본인데 일본이 한달 평균 6권이라구요? 전혀 실감이 안되는데.... 잡지를 넣어도 평균 6권이 될거라는 생각이 별로 안드네요.
티아라멘츠
24/02/26 01:57
수정 아이콘
독서 시장은 일본이 훨씬 큰 게 맞아서 맞다고 봐야 할 거 같습니다. 국가 시장 규모 차이 감안해도 일본이 훨씬 커요.
Starscream
24/02/26 06:36
수정 아이콘
본문대로라면 일본이 아무리 못해도 한 열배는 더 커야된다는건데 그 정도로 차이나나요?
한달에 6권이라는게 한주일에 한권 이상이라는건데 원 통계를 어떻게 함건지 진짜 궁금하네요
엄준식
24/02/26 07:42
수정 아이콘
저처럼 한달에 30권씩 읽던 사람들 비중이 많은가봅니다
Starscream
24/02/26 07:55
수정 아이콘
글쎄 그게 체감이 안된다는거죠
엄준식
24/02/26 08:10
수정 아이콘
보통 그런사람들은 집에만 있습니다. 주변인들이 체감을 할 수가없어요
Starscream
24/02/26 08:50
수정 아이콘
제 느낌상으론 일본인들이 더 밖에 많이 나가는데...
일단 일본쪽 자료 검색해보면 이런게 나오네요.
https://titulkykserialum.net/nihonjin-dokushoryou/
한달에 몇권의 책을 읽는지에 대한 대답의 47.3%가 안 읽는다이고 그 뒤로 1-2권이 37.6%
설문조사의 대상이나 내용에 따라 달라지기는 할테지만... 그래서 원 조사가 보고싶다는거구요.
책 많이 읽는 사람들 있는거는 당연히 있어요. 사람 눈이 안 닿는 곳에서 읽는것도 이해가 가구요, 저 자신도 나름 읽는 편이라.
문제는 그런 사람들은 극소수라는거죠.
티아라멘츠
24/02/26 09:58
수정 아이콘
일본인들이 더 밖에 많이 나간다에 애초에 딱히 크게 공감 못하는 쪽이어서.. 인도어 취미 계통 시장이 일본이 제 체감상으론 한국보단 압도적입니다.

잘 팔리는 도서도 솔직히 한국은 투자 쪽 책인데 일본은 소설이고..
Starscream
24/02/26 10:18
수정 아이콘
독서 포함해서 취미시장이 일본이 더 큰건 이견이 없어요.
문제는 독서량이 8배씩이나 차이가 나냐? 인데 전 아니라고 느끼는거구요.
Starscream
24/02/26 10:24
수정 아이콘
댓글 원문 데이터를 검색해봤더니 청소년 독서량이네요. 성인이 아니라.....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65992.html
그러면 뭐 이상할건 없어보입니다.
망고베리
24/02/26 00:05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때 공부로 인생 다 날로 먹으려고 하는 나라죠. 지금 의사들이 그 정점이구요
이더리움
24/02/26 00:49
수정 아이콘
누가보면 의사들이 수능 이후로는 공부 안하는줄 알겠어요
망고베리
24/02/26 01:15
수정 아이콘
누가보면 다른 전문직, 박사들은 공부 안 하는 줄 알겠어요.
일면식
24/02/26 11:29
수정 아이콘
어린 나이에 공부로 상위 0.5프로 안에 드는 사람이
이후 인생을 엄청 잘 사는건 너무 당연한겁니다.
적어도 한국에서는 70년대 이후로 안 그랬던 시절이 없었고 해외로 까지 얘기해도 그정도 상위권은 언제나 풍족하게 먹고 살만해요.
보상이 과하다는 식의 얘기가 왜 이제서야 나오는지가 이상합니다.
24/02/26 00:49
수정 아이콘
제가 의사도 아니고 의사를 옹호할 맘도 없지만,
의사들 의대가서 고등학교때보다 공부 훨씬 더 많이 하는데요?
의대 못가도 대학생때 의대생들 공부하는것만큼 공부하면
사짜 자격증 하나는 따서 의사 비빌만큼은 먹고 살아요
Rationale
24/02/26 01:11
수정 아이콘
다른 사짜들 무시하시나요?
합격률 90% 이상이 확정된 공부와 리스크를 건 공부는 다릅니다
합격 이후까지 보면 더 다르죠

문과 최고 스펙인 서울대 경영학과 -> 서울대 로스쿨 -> 변호사
대비해서 공부하는 양과 감당하는 리스크, 이후 업무량까지 의사가 더 많다고 자신할 수 있으신가요?
저 라인 타는 사람들보다 소득의 평균도, 하한도, 상단도 의사가 더 높죠
24/02/26 01:49
수정 아이콘
잔 적당히 회계사 생각했는데요 와이프가 회계사라...
의대급 공부머리면 넉넉잡고 3년이면 합격합니다.
애시당초 3년으로 못붙으면 관두라는 시험인데요
수입도 잘 버는 개업의만큼은 못 벌어도 10년차쯤 되면 적게번다는 비인기 과들이랑은 비등비등하게 벌어요
Rationale
24/02/26 02:12
수정 아이콘
저도 주변에 회계사 정말 많고 제 배우자도 로펌 출신 변호사입니다.

10년차에 회계법인에 남아 있으면 파트너라서 투입 노력이 넘사고, 개업해서 비등비등하게 버실 정도면 회계사 중에서 많이 상위 티어이실 것 같습니다. 적게 번다는 개업의들과 투입과 리스크 대비 소득 레벨에서 비교가 되신다고 생각하시나요?
일면식
24/02/26 11:33
수정 아이콘
저는 꿀처럼 보이는게 있으면 욕하지 말고 제발 너가 빨리 하라고 주변인들에게 말하고 다닙니다.
궁금한게 그렇게 말씀하실 정도면 왜 조금 더 해서 의사를 안 하신건가요?
Rationale
24/02/26 12:10
수정 아이콘
97년 이전에 의대를 가지 않은 수많은 이과 고득점자들이 다른 과를 갔던 것과 비슷하겠죠.

못 간게 아니라 그 당시에는 의사가 이런 수준으로 벌지도 않았고, 변호사 라이센스도 이렇게 많이 확대하지 않았었습니다.

지금 가기에는 다시 10년 이상 투자해야 한다는 건데 그건 사회경력 10년 넘어가는 그 누구에게 말하더라도 무리 아닐까요?
일면식
24/02/26 14:08
수정 아이콘
그 당시에는 다른게 높아보여서 했는데 지나고 나니 가치가 바뀌는게 한 둘이 아니지 않나요.
그런거 억울하게 생각하면 90년대에 한의학과나 서울대물리학과 간 사람들도 다 억울한거죠.

돈은 시대에 따른 수요에 따라 달라지는거지, 노력을 비슷하게 했다고 대우도 비슷하게 받아야 한다는건 너무 꿈 같은 생각 같아서 그렇습니다.
Rationale
24/02/27 16:50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의사 라이센스의 가치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거지 계속해서 유지되어야 한다는 건 너무 꿈 같은 생각 같아서 그렇습니다.
24/02/26 09:00
수정 아이콘
근데 의대 졸업 바이탈 응급실 테크타면 그 변호사보다 업무량 훨씬 높을걸요. 주당 88시간인데요
Rationale
24/02/26 09:40
수정 아이콘
문과 중 대형로펌이나 IB는 주당 90~100시간 찍는 부서도 꽤 있습니다. 의사 직종에서 아주 힘든 근무 조건인 건 알겠는데, 다른 직종도 힘든 파트는 마찬가지로 힘듭니다.

그리고 그러한 노력의 대가 대비 기대수익률과 하한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특히나 의사 하한과 회계사, 변호사 하한은 어떤가요?
맥스훼인
24/02/26 10:05
수정 아이콘
대형펌 어쏘 중 주6.5일 새벽3시퇴근 10시출근하는분들 보면 주당 88시간은 애교입니다.
24/02/26 11:16
수정 아이콘
의사말고는 52시간제 적용받는걸로 아는데 아닌가요?
맥스훼인
24/02/26 11:21
수정 아이콘
주 52시간 해당은 되는데 실무적으로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설문조사상 주52시간 준수가 12퍼인가 그랬죠.
전공의들은 반발이라도 하는데 여긴 그런것도 어렵습니다. 법을 다루지만 정작 법에서 보호는 못 받는...
24/02/26 10:26
수정 아이콘
업무량으로 끌고가면 문과 최상위층에게 못 비빕니다.
현 대통령이 괜히 120시간 말한거 아니에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4/02/26 09:48
수정 아이콘
근데 문과 최고 스펙인 서울대 로스쿨 .. 쪽이.

평균/하한/상위권 평균 모두 의사가 높긴한데, 상한은 서울대로스쿨쪽이 훨씬 높긴 한거 같은데.... 의사는 어쨌든 잘되봐야 교수나 자영업자 느낌..
24/02/26 09:51
수정 아이콘
의사도 정치 트리 타면 되지 않나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4/02/26 09:54
수정 아이콘
아.. 꼭 정치만 말한건 아니고.. 흠...

투자자문이나 사변 하시는 분들도 확 수입이 좋은것도 많고 그래서.. 흠.. 그리고 아무래도.. 의사출신 정치인...? (안철수님도 막상 의사로서는 별로 근무안하셨잖아요???) .. 별로 안떠오르고 해서.. 여튼... 최상류로 가면 의사보다 조금은 나은 느낌이 있긴..해서요.. 뭐.. 여튼 의사가 현재 기준 최강 메타라는건 저도 인정..
24/02/26 09:57
수정 아이콘
큰병원 하시는 분들 보면 또 어마무시해서...

최상위권은 별차이 없고, 하방 평균에서 서울대 법대 출신들 보다 그냥 의사가 더 나은 거 같습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24/02/26 10:07
수정 아이콘
그것도 맞는 말씀입니다
Rationale
24/02/26 12:35
수정 아이콘
최상위 티어의 사업소득으로 넘어가면 아예 다른 이야기 아닌가 싶습니다. 그럼 직종이 중요한가 싶기도 하구요.

명예나 권력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법조계가 유리한 면이 있는 건 맞는 말씀 같습니다. 고위 법관에서 정치계로 넘어가는 테크는 다른 직종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우니까요. 대신 명예나 권력을 정상적으로 추구하면 경제적으로는 상당히 궁핍해야 하기는 합니다.

물론 저렇게 넘어가는 테크는 그 중에서도 또 소수이기는 하죠.
맥스훼인
24/02/26 10:02
수정 아이콘
상한이 서울대로스쿨쪽이 훨씬 높다뇨 크크
서울공대-서울대로스쿨 나와서 대형펌 있는 친구가 의대갈걸 하는게 현실입니다.
의사들 힘드니뭐니 하는데 그것보다 힘든게 대형펌인데도, 급여는 의사 못 따라가니까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4/02/26 10:06
수정 아이콘
아 그건 맞죠… 음 근데 제가 40살 넘어가니 조금 달라지긴 하네요. 상위권 평균은 20-30대 상한은 의사 윈 맞는거 같습니다.
티아라멘츠
24/02/26 09:56
수정 아이콘
오우 의사는 시험 확정이라고 학창시절에 못 놀긴 합니다. 의사 국시 확정이라고 진짜로 적당히해도 이런것도 아닌데다 학점이 좋아야 원하는 과를 갈 수 있으니까요.
하한이 좋으니 상관없지않냐..는.. 그런 식으로 사는 의사는 별로 없을걸요;;;
Rationale
24/02/26 12:26
수정 아이콘
로스쿨생들의 변시 합격률은 50%라서 이 분들도 합격할 생각이 있다면 못 놀기는 합니다. 개업이 아니라 조직 커리어를 밟으려면 마찬가지로 학점이 좋아야 하구요.

이 정도 공부했을 사람이면 다들 향상심이 있으니 열심히 하겠지만 안 풀렸을 경우의 상황 차이는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겠지요.

사람이 경제적 선택을 하는 동기는 기대수익률이 가장 커 보이지만, 최악의 경우에 대한 안전보장은 가치관에 따라 가장 큰 요인이 되기도 하니까요. 많은 사람들이 공기업에 취업하거나, 투자도 나스닥이 아닌 예금에 하기도 합니다.
티아라멘츠
24/02/26 12:38
수정 아이콘
원댓글이 고교 이후 공부안하고 날로먹는다고 써있길래요. 좋은 직업은 맞는데, 그런 거랑은 거리가 멀다는거죠. 14년 제대로 몸 갈고나서 잘 버는 거지
Rationale
24/02/27 16:49
수정 아이콘
제 댓글에 달아두셨길래요.
티아라멘츠
24/02/27 20:14
수정 아이콘
원댓글에 달린거라서 원댓글 신경을 안 쓸수가 없긴 하더라구요;;;
엄준식
24/02/26 07:44
수정 아이콘
사짜중에 의사비비는 직업이 치과의사말고는 모르겠네요
소금물
24/02/26 01:00
수정 아이콘
그렇게 말하면 다들 대입 후 학점이나 스펙 관리 안한다는 소리인가 싶은데... 너무 나간 주장 같아요. 어차피 공교육 퀄리티가 어떻건 간에 상대평가에는 영향을 안주니까 상대우위에 이득이 되는 곳에만 돈을 쓴다고 보거나 하는게 낫지 않을까 싶은데.
24/02/26 16:48
수정 아이콘
적절한 시점에 진로를 결정해서 전문적인 지식과 스킬을 익히고 사회에 배출되어야 하는데, 그럼 그걸 서른살에 해요 마흔살에 해요.
본인이 받아든 성적이 마음에 안 들면 그 다음해에 다시 한번 기회가 있죠.
망고베리
24/02/26 22:14
수정 아이콘
의사만큼 진로가 정해진 순간부터 미래가 보장된 직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부르즈할리파
24/02/26 00:09
수정 아이콘
귀족이든 평민이든 배타고 항해하고 전쟁하고 건축물 짓고 성과가 좋으면 거기에 보상하던 종류의 능력주의가 아니라
동아시아의 과거제 입신양명을 능력주의로 생각해버린지라...
항즐이
24/02/26 00:34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대학 학비가 싸죠. 억제되어왔고. 그러다보니 1인당 교육비(대학이 교육에 쓴 비용) 역시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몇몇 연구중심 대학들은 교육비 규모가 제법 크지만, 그래도 경쟁해야 할 세계적인 대학들에는 못 미치는 상황이고.
소금물
24/02/26 00: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학벌주의 타파 같은 주장이 별로 힘을 못받는 이유기도 하죠. 일단 사람들이 대입에 쓰는 비용은 마음껏 쓰면서, 막상 대학 간 후에 등록금은 최대한 적게 내기를 원하는 문화나 인식이요. 대학 가는 간판 따면 됐지, 교육에 힘 쓸 필요 있냐? 같은 인식이 있다고 봐야죠 어느정도는. 그런 인식이니 국가에서도 그쪽으로 돈을 별로 안쓸테고.

물론 서양이라고 대단한 자아실현을 하진 않겠지만, 한국은 옛날 부자 되세요 광고도 그렇고 돈이 참 중요한 나라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직업도 공부도 대학도 다 돈 벌러 하는거니깐.. 그러니 독서 할 생각도 별로 안할테고.
으랏차
24/02/26 00:58
수정 아이콘
교육재정교부금이 주요 원인이지 않나요? 교육재정교부금(내국세의 20% 정도)을 초중고에만 써야해서요.
MissNothing
24/02/26 02:1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사교육비가 어쩌고 하지만, 외국 사립학교들 보면.....
24/02/26 07:59
수정 아이콘
그렇죠. 외국 보딩 스쿨이랑 비교하면... 그런데 외국은 공립 보내는 계층은 거의 안써서 확실히 국민전체적으로 쓰는 돈은 한국이 더 많기는 할 겁니다.
갤러리
24/02/26 03:06
수정 아이콘
입시란 특정 나이의 국민들 대부분이 참여하여 경쟁을 함으로써 티어를 나누는, 경쟁 그 자체에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단지 그 경쟁에서 사용된 도구가 공부일 뿐이지요.
24/02/26 07: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여기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대학교 등록금을 국가에서 찍어눌러 왔기 때문이죠. 고등학교때 공부하고 인생 날로먹니 하는건 아재들 대학교 다니던 시절이나 통하던 이야기고...공교육비 지출과 딱히 상관있지도 않고.
24/02/26 08:00
수정 아이콘
한동안 관심 두지 않았는데 한국 대학들이 미국 대학들이랑 비교하면 등록금이 확연히 낮을텐데 유럽이나 일본 등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어떨까요?
24/02/26 09:25
수정 아이콘
10년전에는 사립대 등록금이 세계 2~3위 수준으로 어마어마했어요. 10년간 동결이니 적정 수준이 된 듯.
24/02/26 09:49
수정 아이콘
그렇죠. 우리가 주로 미국 대학들하고 비교해서 그렇지 전세계적으로 보면 등록금이 그리 낮지는 않을 거 같더군요.
24/02/26 07:41
수정 아이콘
지금 대학 등록금 진짜 싼편이죠
10년전과 비슷하지 않나요?
맥스훼인
24/02/26 10:11
수정 아이콘
10년간 동결에 가깝죠. 그래서 대학교직원 인기가 떨어진 중이구요..(임금문제)
크레토스
24/02/26 07: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 출판시장은 만화책도 비중 크지 않나요
그거도 종이책이니 독서 통계에 들어갈 거 같네요
뭐 문학상 같은 것도 우리보단 훨씬 권위 높은 거 같고
라노벨도 예전만 못해도 계속 종이책으로도 나오고요
비주얼 노벨 같은 것도 많이 나오는 거 보면 우리보다 독서를 좋아하는 건 맞는 거 같습니다
Starscream
24/02/26 07:58
수정 아이콘
네 소년점프같은 주간지를 다 넣어도 월 6권이라는 평균치는 허들이 높아보인달까….
뭐 제 딸래미도 매주 북오프라고 헌책방에 가서 책사고 하는데 글쎄말입니다 평균으로 6은…
앙겔루스 노부스
24/02/26 22:55
수정 아이콘
지금 한국의 학벌, 자격증은 이미 지대추구화된지 한참 됐죠. 자식에 대한 투자를 통한 상속이기도 하고. 월세에 목매다는 나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5964 [유머] 김용 작품중 최고의 재미를 선사하는 작품은? [109] Pika4812875 24/02/27 12875
495963 [유머] 바퀴만 보면 못참는 엄복동의 민족.JPG [10] Starlord11962 24/02/27 11962
495962 [유머] 대서양 해류 순환 시스템이 멈출 조짐이 있네요 [54] 요키와 파피용15357 24/02/27 15357
495961 [기타] 뜻을 알면 쓰지말아야할 단어 [107] 껌정16351 24/02/27 16351
495960 [텍스트] 무협팬이 읽으면 발작하는 글.txt [55] lexicon13709 24/02/27 13709
495959 [유머] 당신은 닉네임을 희생시키고 100억을 받으시겠습니까?.jpg [206] 北海道11230 24/02/27 11230
495958 [연예인] [약후방] ITZY 유나의 동탄룩 [21] Croove15506 24/02/27 15506
495957 [유머] 부산 지하철 학교폭력 공익광고.jpg [5] 北海道11541 24/02/27 11541
495956 [유머] 연인 사이에 이 정도는 당연한 거다 vs 좀 빡세다 [108] 핑크솔져16081 24/02/27 16081
495955 [기타] ??: 내가 빙다리로 보이냐? 그걸먹게? [1] Lord Be Goja9005 24/02/27 9005
495954 [유머] 침착맨의 트위치 막방.jpg [22] Thirsha13031 24/02/27 13031
495953 [기타] (미국주식)ai투자는 골드러쉬 때 청바지 파는 기업 찾듯이 해라 [15] 기다리다10773 24/02/27 10773
495952 [기타] 중2 아들이 게이라면?.jpg [63] 핑크솔져12278 24/02/27 12278
495951 [기타] (약후) 최근 AI 필터 성능 [23] 묻고 더블로 가!15238 24/02/27 15238
495950 [유머] 턱걸이 6개월차 인증샷.jpg [27] 핑크솔져13676 24/02/27 13676
495949 [유머] 2시 엠바고 국가대표 뭉쳐야 찬다가 접수한다. [45] 윤석열15982 24/02/27 15982
495948 [유머] 호불호 갈리는 개발자 채용공고 [79] lexicon14225 24/02/27 14225
495947 [연예인] 아무도 예상 못햇던 서지수의 인스타.jpg [28] insane17711 24/02/27 17711
495946 [기타] 세계 에너지시장 추이 [85] 크레토스14818 24/02/27 14818
495945 [유머] 당신이 PGR21을 이용하는 이유는?.jpg [65] 北海道10494 24/02/27 10494
495944 [유머] 살면서 사람 시체 본 적 있나요.jpg [31] 北海道13039 24/02/27 13039
495943 [스포츠] 류현진 오고나서 제2의 최영필이 되버린 장민재 근황.jpg [17] insane12057 24/02/27 12057
495942 [기타] 애플의 빈티지 케이스,드디어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 [21] Lord Be Goja10883 24/02/27 108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