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1/05 15:05
    
        	      
	 누구를 조사했는지도 모르겠고.. 슈퍼 부자들이 시간이 남아서 저걸 한다고? 시급이 얼마인 사람들이??
 
조사는 이상한 기관에서 했군요. 
	24/01/05 15:08
    
        	      
	 http://www.hanaif.re.kr/boardDetail.do?hmpeSeqNo=35625
 
하나은행(은행장 이승열) 하나금융경영연구소(소장 정중호, www.hanaif.re.kr)는 대한민국 부자들의 금융행태를 분석한 「2023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을 발간했다. - 2023. 4. 9 ■ 부자의 MBTI는 TJ형! 슈퍼리치는 ‘ESTJ’형 비율이 가장 높아 
	24/01/05 15:08
    
        	      
	 슈퍼리치 중에 자신을 ESTJ, ISTJ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군요
 
저도 일 할 땐 ESTJ, 동료들은 ISTJ, 친구들이랑 있을 땐 ESFJ입니다. 물론 제가 보이고 싶은 제 모습이죠 
	24/01/05 15:18
    
        	      
	 저는 I는 고정인데(7-80프로 나옴)
 
뒷 3개가 엄대엄이라 ISTJ~INFP 까지 나오더군요 처음 했을땐 INFP였는데 INTJ 나오다가 얼마전에 유료로 해봤는데 ISTJ 나옴 뭔가 직급이 올라가면서 STJ 성향이 강해지는듯 
	24/01/05 15:23
    
        	      
	(수정됨) 바뀌는 게 당연합니다. 감사합니다. 다만 '매번 고정해서 나오는 유형'이란 것도 존재한다는 게 mbti의 매력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INFP도 STJ가 될 수 있긴 하죠. 근데 그 반대는... 음..? 위에 댓글단대로 '스위치' 개념으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역시 돈벌려면 'STJ Trait'를 달아야하는가....!ㅠ (아무래도 이번 생은...) 
	24/01/05 15:18
    
        	      
	 ENTJ 입니다.
 
종종 같이 일 하는 분들이랑 이야기 해 보면, INTJ, ISTJ 가 정말 많고, 그 다음이 ENTJ, ESTJ 정도... 숫자를 다루다 보니 아무래도 TJ가 많은 것 같다고 생각을 
	24/01/05 15:25
    
        	      
	 -ST- 분들이 아무래도 좀 대화에서 냉소적인 경향이 많다고들 해서 (잡담중에 가정/망상이 섞이면 그런걸 왜 생각하냐는 등) 실제로 결정사에서도 비선호 MBTI로 제일 많이 꼽힌다고 들었는데, 돈은 제일 많다 이거군요? 크크 
 
	24/01/05 15:30
    
        	      
	 INFP는 상상력, 창의성, 이상, 완벽, 게으름, 낭만, 고집, 신념, 개인주의 이런 키워드로 보통 나열되는데.. 돈이랑 거리가 멀 수 밖에 없는 느낌이 들긴 합니다 크크크
 
전형적으로 돈이 뒤에 따라오는 경우에 벌리는 유형인 것 같습니다. 
	24/01/05 16:12
    
        	      
	 슈퍼리치는 아닌데 친구들끼리
 
돈 그럭저럭 모은놈과 소비가 많은 친구 비교하면 전자가 s 후자가 n 이렇게 나뉘더라구요 일반화는 어렵지만 일명 '시발비용' 지출이 n이 높지 않나 생각하긴 합니다 
	24/01/06 12:01
    
        	      
	 ISTJ입니다 크크크 부자는 아니구요 
 
심지어 I와 E만 6:4고 나머지는 90%가 넘는 찐......그 성격... 냉소적이고 현실적이라 노력을 하는 편인데 그게 부자되기 좋은 펀이긴 하죠....내가 부자가 아닐뿐 .... 
	24/01/06 14:29
    
        	      
	 업무 수행에 있어 I/E는 업무 성격 상 차이가 있겠지만, 웬만하면 S,T,J 유형적 사고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강한 ISTJ인데, S성향이 업무에 있어서 불필요한 Loss를 감소시켜주는 것 같고, T성향은 비판적 사고 능력과, 공/사 구분 능력에 영향을 주고 J성향은 저는 계획형보다 통제형이라고 생각하는데, 업무 확장에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NFP성향도 각각 장점이 있지만, STJ가 일반적인 회사 생활의 기준에서는 직책자, 관리자에 더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