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2/25 12:29:06
Name 크레토스
File #1 20592_21111_5958.png (71.4 KB), Download : 18
File #2 20230829144003032bdmc.jpg (821.0 KB), Download : 9
출처 인터넷
Link #2 .
Subject [기타] 의외로 불법인 것




그건 외국문자로만 간판 표시
법으로는 한글과 외국 문자를 병기해야 하고
처벌도 명시되어 있음
하지만 3층 이하 건물이거나 간판 크기가 작으면 간판 신고 대상도 아니며 영어 상호일 경우 병기할 필요가 없음
또 현실에선 4층 이상 건물에서 큰 간판의 한글 상호명인 가게가 영어로만 표시해도 처벌 받는 사례가 없어서 사실상 의미 없는 법 조항..


밑에 짤은 중국어 조선어 간판 병기가 법으로 의무화 되어 있는 연변의 거리 간판
중국이라 그런가 공안 무서워서 다들 법을 잘 지키나 봅니다
뭐 연변뿐만 아니라 중국의 소수민족 자치구는 다 소수민족 언어와 중국어 병기가 의무화 되어 있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25 12:32
수정 아이콘
현수막도 게시대말고는 불법이긴한데 그냥 다들 하고있다보니 신고없는 조항이라도 있는 간판보다 더 제도적 수준이 애매하죠.
23/12/25 12:34
수정 아이콘
영어 못 읽는 분이 한글 못읽는 분보다 훨씬 더 많을텐데 이런건 좀 아쉽죠
크레토스
23/12/25 12:41
수정 아이콘
자랑스러운 한글이라 그러지만 영어 사대주의가 심해서 그런가 점점 알파벳이 거리에서 자주 보이죠
이런 거 보면 조선시대 때 한글 발명됐어도 왜 한자가 훨씬 대접받은지 알 수 있습니다
한글이 이미 공식 문자로 자리 잡고 있어도 알파벳이 이렇게 점점 힘 받는데
한자는 한반도서 한글보다 무려 2000년은 먼저 쓰인 공식 문자니...
포도씨
23/12/25 18:58
수정 아이콘
영어간판이 사대주의라고 하기엔 이제 영어쓴다고 있어보이는 시기조차 지났죠.
영어는 단순구조의 알파벳 특성으로 디자인 측면에서의 장점이 큽니다. 사대주의에 뇌가 쩔어서 영어가 멋져보이는게 아니라 다양한 폰트와 두께를 가졌다는게 치트키급이에요.
Starscream
23/12/25 19:38
수정 아이콘
폰트로 치면 한글이 모자란것도 아니고 뭐 그냥 핑계죠. 아마 과거의 사람들도 한자 쓰는게 중국을 사대한다고 뭐라하면 비슷한 이유를 대지 않았을가 싶습니다.
포도씨
23/12/26 00:32
수정 아이콘
당장 책표지 디자인한다고 생각하시고 같은길이의 영어단어와 한글단어 이리저리 조합해보세요. 폰트의 갯수문제가 아니라 글자의 두께가 일정수준이상 올라갈 수 없다는건 엄청나게 핸디캡을 안고가는겁니다. 예를들자면 알파벳은 가로건 세로건 획이 3개를 넘지 않는데 한글, 한자의 경우에는 7~8개는 물론이고 두자리 숫자도나오죠. 그래서 폰트두께를 일정수준이상 올릴수가 없어요.
Starscream
23/12/26 06:56
수정 아이콘
그래서 키릴문자도 멋있어보이나요? 아랍문자나 타이문자도?
포도씨
23/12/26 10:31
수정 아이콘
영문이 멋있다가 아니라 획의 구조상 디자인구성과 가독성이 우수하다는겁니다. 키릴 아랍어가 가독성이 좋은 문자가 아니죠? 아랍문자에 고딕체가 있나요?
23/12/25 21:19
수정 아이콘
가독성이 떨어질수록 디자인적인 가치가 늘어납니다. 영어나 한자, 그리고 알아보기 어렵게 쓴 한글이 눈에는 디자인적으로 더 뛰어나 보이는 거죠.
포도씨
23/12/26 00:19
수정 아이콘
무슨소리를 하시는건지요?
이상봉씨처럼 글자로 옷만드는게 아닌이상 간판, 패키징, 출판인쇄 그 모든 산업디자인은 가독성이 최고의 가치에요.
종말메이커
23/12/25 12:56
수정 아이콘
노키즈존 노시니어존도 가게맘이라는 분위기인데
간판을 규제하기란 더 어렵겠죠
공공 사이니지나 잘 관리했으면 합니다
23/12/25 13:25
수정 아이콘
사진은 간판 알록달록한게, 글자 자세히 안보곤 한국 중심상가 건물인줄 알았어요
다시마두장
23/12/25 15:43
수정 아이콘
연변은 왜 중국어 조선어 병기가 의무화돼있는건가요? 동북공정의 일환같은건가요?
Starscream
23/12/25 17:15
수정 아이콘
본문도 그렇지만 그냥 중국이란 두 글자만 붙으면 일단은 까려고 드는 경향이.....
병기를 하는건 소수민족 자치를 인정해주고 문화를 존중해주는 일환이죠. 저기 보면 조선어를 위 혹은 왼쪽 즉 상석에 쓰고 있죠?
뭐 그게 소수민족들을 사랑해서 그런게 아니라 그냥 불만이 안 나도록 하는거다 하면 당연히 맞는 말인데.....
지금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만 중국은 소수민족 공립학교가 해당 언어로 수십년간 교육을 해왔어요. 같은 다민족 국가들중에서도 독보적이죠.
소수민족의 존재감을 줄일거라면 병기를 의무화하는게 아니라 금지해야죠.
다시마두장
23/12/27 05: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답변 감사합니다.
저 정책에 소수민족의 존재감을 줄이려는 목적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간 중국은 국제적으로 소수민족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어필하고 그 또한 중국의 일부라는 스탠스를 취해왔기에, 정작 조선어가 통하지 않는다는 저 지역에서 굳이 병기를 의무화까지 하는 이유가 저 스탠스의 일환이 아닐까 하는데 까지 생각이 미쳤네요.
나이브하게 생각해보면 말씀해주신대로 지역 문화 보존 차원에서 저걸 강제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Starscream
23/12/27 07:08
수정 아이콘
나이브하게 생각하면?
다시마두장
23/12/27 17: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해주신 이유만으로는 병기를 강제하는 게 설명되지 않는 것 같아 문화보존의 의미, 예의 스탠스의 일환 두 가지가 혼재해 있는 정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제 머릿속에서) 좋게 해석하면 전자의 의미로 조명하게 되겠다는 이야기지, 저걸 호의적으로 해석하는 사람이 나이브하다는 의미는 아니었습니다.
블래스트 도저
23/12/25 18:08
수정 아이콘
대림동 같은데 가보면 간판이 중국어뿐인데 이런건 불법 아닌가요?
크레토스
23/12/25 18:19
수정 아이콘
불법이겠지만 영어간판만 쓰는 것도 처벌 안하는데 그것도 처벌하긴 그렇겠죠
장만월
23/12/25 18:30
수정 아이콘
창문에 상호 스티커로 붙이거나 하는것도 전부다 불법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857 [기타] 중국 올해 인구 감소 300~500만명 예상 [38] Bronx Bombers14071 23/12/30 14071
492826 [기타]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의 놀라운 반전 [19] 삭제됨14208 23/12/29 14208
492784 [게임] 넷이즈-블리자드 근황 [10] 김티모11778 23/12/28 11778
492763 [유머] 중국집 볶음밥의 퇴화과정.jpg [52] 핑크솔져15809 23/12/28 15809
492712 [유머] [더러움주의] 치팅이 적발된 중국 장기 [29] 김유라14800 23/12/27 14800
492711 [기타] ??: 러시아놈들,몰수한 자동차공장들 설비기술로 전기차 찍는구나 [18] Lord Be Goja14463 23/12/27 14463
492703 [기타] 중국정부의 투자자 위로 정책 [18] Lord Be Goja15646 23/12/27 15646
492616 [텍스트] 중국에도 상륙한 MBTI열풍 [44] 삭제됨12273 23/12/25 12273
492602 [기타] 의외로 불법인 것 [20] 크레토스11864 23/12/25 11864
492546 [기타] 중국이 역사공정을 하는 이유.shorts [21] VictoryFood14284 23/12/24 14284
492544 [기타] 가챠 금지한 벨기에 상황 [43] 크레토스16078 23/12/24 16078
492529 [유머] 중국 도시 이름 10개 말해보세요.jpg [46] 구상만13462 23/12/23 13462
492528 [유머] 지금 난리난 중국 게임규제 최신근황...jpg [84] Myoi Mina 14777 23/12/23 14777
492502 [기타] 이번에도 급발진한 게이머가 나타난.. [14] Lord Be Goja11780 23/12/23 11780
492481 [LOL] 3년째 중국만 특혜받은 MSI [6] Leeka11262 23/12/22 11262
492474 [기타] 역대급할인을 하는 중국의 보조배터리 [6] Lord Be Goja11923 23/12/22 11923
492471 [게임] 오늘자 멸망해버린 중국 모바일게임들.jpg [54] 굿럭감사12205 23/12/22 12205
492416 [LOL] LCK가 2부리그인 이유 [23] Leeka10902 23/12/21 10902
492414 [LOL] 한국 vs 중국 국제대회 Bo5 다전제 상대전적 정리 [16] Leeka9613 23/12/21 9613
492368 [LOL] 젠지가 말한 "영토의 무결성"을 이미지로 보게 되면.jpg [25] 매번같은11852 23/12/21 11852
492282 [기타] 한국인 VS 중국인 토론배틀 [86] 아롱이다롱이12627 23/12/19 12627
492255 [기타] 조선시대 길거리 똥 사진의 진실은 주작일까? [61] 주말16010 23/12/18 16010
492167 [기타] 의외로 중국에서 인기있는 한국 캐릭터 [20] 톰슨가젤연탄구이14997 23/12/17 149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