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2/21 10:19:23
Name Lord Be Goja
File #1 Screenshot_20231221_101640_Chrome.jpg (1.73 MB), Download : 14
File #2 Screenshot_20231221_101729_Chrome.jpg (507.4 KB), Download : 6
출처 퀘이사존
Link #2 https://quasarzone.com/bbs/qb_free/views/8356515
Subject [기타] 의외로 pd충전을 시도하면 안되는 130만원짜리 노트북






참고로 번들충전기는 pd충전기이며 단자도 pd단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산밑의왕
23/12/21 10:2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선 삼성 lg제품을 사야하는 이유..
23/12/21 10:28
수정 아이콘
괜히 놋북 삼성 엘지 사라는게 아닙니다...
물론 가격이 문제긴 합니다만
제주산정어리
23/12/21 10:30
수정 아이콘
글쎄요... 번들 충전기 썼으니까 괜찮은게 아니고, 충전기가 같이 고장났는지, 그걸 확인해야 맞죠. 충전기에 관한 얘기가 없네요.
타츠야
23/12/21 11:01
수정 아이콘
그것도 서비스 센터에서 확인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요? 소비자가 별도로 충전기를 구매한 것이 아닌 이상 번들 충전기가 이상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해야 할 의무는 없어 보입니다만.
제주산정어리
23/12/21 11:07
수정 아이콘
그 사정은 저도 모르죠; 갖고 오라고 했는데 깜빡한건지, 아니면 안내를 안 했던지... 인터넷에는 자기 유리한쪽으로 적기 마련이잖아요. 적어도 제가 겪어본 바는, 제대로 된 사설 업체라면, 그 업자들 조차도 어댑터 쓰는 제품에서 저런 고장이 생기면 일단 같이 들고 오라고 신신당부를 합니다. 사실 그게 당연한거고요.
타츠야
23/12/21 11:09
수정 아이콘
아 그 관점에서 적으신 거군요.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포켓토이
23/12/21 11:08
수정 아이콘
정품 충전기 안썼다고 자백하는 소비자는 없죠...
특히나 요즘처럼 알리에서 나온 위험한 초저가형 PD 충전기가 난무하는 세상에선...
그러다보니 저런 미친 정책도 나오게 된게 아닌가 싶긴 합니다만...
그리고 초저가형이 아니더라도... 대개 시중의 PD 충전기가 65W 한계인데
노트북은 그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도 잦다보니..
타츠야
23/12/21 11:10
수정 아이콘
아 그 생각은 못 했네요. 오로지 번들 충전기만 썼을거라는 전제를 했네요. 감사합니다.
승승장구
23/12/21 10:32
수정 아이콘
레노버 고민하다가 얼마전에 노태북 핫딜떠서 104만원인가에 샀었는데 칭찬해
다시마두장
23/12/21 10:34
수정 아이콘
우리 폰은 고속충전 지원하지만 고속충전 하지 마세요 이런것것도 아니고
23/12/21 10:38
수정 아이콘
크크 역시 애수스
앙몬드
23/12/21 10:39
수정 아이콘
우리폰 방수는 되지만 수분으로 인해 고장나면 유상입니다
23/12/21 10:40
수정 아이콘
최악의 사과 젠에 이어 최악의 노트북 젠북!
우주전쟁
23/12/21 10:46
수정 아이콘
제가 예전에 에이서 노트북 한번 샀었는데 그때 느낀 점이 역시 저 같은 사람은 삼성, LG 노트북 사야되는구나 였습니다.
아지매
23/12/21 10:46
수정 아이콘
옛날에는 싸기라도 했는데 요즘은 애수스 가격도 비싸서 삼성 안쓰고 굳이 쓸 이유가 없죠.
Lord Be Goja
23/12/21 10:53
수정 아이콘
아수스가 싼적이 있었나요?
아지매
23/12/21 11:30
수정 아이콘
2010년도 이전엔 쌌었습니다.
탑클라우드
23/12/21 11:1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아수스를 신뢰하지 않아요. 경험이 별로 좋지 않은지라...
그런 의미에서 저는 샤오미도 이제는 안삽니다.
고장은 잘나는데 AS 엉망이면 뭐...
23/12/21 11:29
수정 아이콘
샤오미는 싼맛에 그냥 쓰다 터지면 버리고 새로 사는 형태가 되어야 됩니다 그럴러면 가격이 비싸면 안됨..
탑클라우드
23/12/21 12:44
수정 아이콘
네, 저도 키토님 말씀에 동의하는데...
요즘 샤오미가 마냥 저가 제품만 내놓지는 않더라구요.

아 나의 코드프리 청소기는 그렇게...
23/12/21 11:24
수정 아이콘
잘버텨주셔서 감사합니다 므시 겜트북님님..
랜슬롯
23/12/21 12:08
수정 아이콘
저는 학창시절부터 지금까지 쭈욱 노트북들을 사용해왔는데, 제 경험상 기본적으로 노트북들은 진짜 케바케가 매우매우 심하기떄문에 AS가 중요한거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정말 못만든다고 소문난 회사나, 아예 대놓고 문제가 있는 노트북들이 아니면 이름있는 회사들 (삼성, LG, ASUS, HP, DELL 등등) 다 나쁘지 않게 만들지만 케바케라, 내가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어서, 이때 크게 다가오는게 AS의 유무에요. 왠만하면 AS 괜찮은 회사 제품 하는게 좋습니다. 아무리 평가 좋은 노트북이더라도 내 노트북이 문제가 없을 거라는 보장은 없어서..
탑클라우드
23/12/21 12:45
수정 아이콘
저도 랜슬롯님 말씀과 비슷한 생각인데,
그런 의미에서 노트북은 LG, 삼성이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랜슬롯
23/12/21 13:45
수정 아이콘
뭐 막말로 근데 또 운에 맡기고 지르고 샀는데 문제없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긴합니다.. 저만해도 멋도 모르고 처음에 노트북 두번 세번샀을때 고장난적 없었거든요. 성인되고 산 노트북들은 잡다한 문제 생기는 경우 종종있었는데.. 그냥 이거야 어느정도는 운의 문제이니 운좋으면 문제없이 넘어갈수도(?). 하지만 내가 정말 특정 노트북에 꽂혀있다면, 예를 들어서, 델 XPS시리즈나 레이저 블레이드, 마소의 서피스 랩탑같은 고가의 비주류인데 AS잘 안되는 제품들. 한번 운믿고 그냥 질러볼만하고 그대신 문제 생기면 좀 귀찮은거 감수해야하고... 돈좀 날릴 수도 있는것도 알아야하고.

그냥 뭘 해야할지 모르겠다 난 특별히 끌리는 제품없다 하면 무조건 안정적으로 LG,삼성 AS 잘봐주는쪽이 말씀하신대로 이득이라고 봅니다.
23/12/21 13:02
수정 아이콘
국내 한정으로는 걍 삼성이나 엘지 제품 사는게 맞죠.....외산 노트북 as 생각하면 무조건이라고 봅니다.
23/12/21 13:21
수정 아이콘
저도 아수스 g14 쓰는데.. 담에는 무조건 삼성이나 엘지 살껍니다. ㅠㅠ
23/12/21 15:32
수정 아이콘
운에 맞기고 국내중소기업, 삼성, ASUS 순으로 사서 쓰고 있는데 저는 세가지 모두 아직 아무 문제가 생긴적이 없습니다.
23/12/21 16:22
수정 아이콘
솔직히 요즘 아수스 사는거면 as 편의성을 그냥 포기하겠다는 말과 다름없게 보여서..
유부남
23/12/21 17:03
수정 아이콘
노트북 가격차이는 as받을때 너무 체감되는 부분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501 [유머] 겨울에 커플들 공감? [11] 메롱약오르징까꿍12235 23/12/23 12235
492500 [유머] 소원을 빌면 복이 온다는 눈사람 [51] 메롱약오르징까꿍13371 23/12/23 13371
492499 [기타] 사람들이 보통 잘못알고 있는 기업 [31] 닉넴길이제한8자12974 23/12/23 12974
492498 [기타]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엄청난 기업 [23] 우주전쟁14197 23/12/23 14197
492497 [유머] 송유근 근황.jpg [59] lexicon16965 23/12/23 16965
492496 [유머] 친구인 척 카톡으로 말거는 담임쌤 [4] 김삼관12554 23/12/23 12554
492495 [기타] 오늘 아침부터 1km 줄 섰다는 성심당 [50] 아롱이다롱이14854 23/12/23 14854
492494 [기타] 5년뒤에 나올 VGA는? [8] 닉넴길이제한8자11217 23/12/23 11217
492493 [기타] 유튜브 프리미엄 가격인상 공지 현황 [26] 츠라빈스카야16082 23/12/23 16082
492492 [LOL] 르블랑이 되어버린 페이커 [4] 제가LA에있을때9179 23/12/23 9179
492491 [유머] 자칭 찐따 솔로남의 몰입감 지리는 알찬 하루.jpg [20] 궤변17169 23/12/23 17169
492489 [유머] 머라이어 캐리 비켜! [4] 김삼관13007 23/12/22 13007
492488 [기타] (약후?) 북풍이 졌다고만 볼 수는 없는 이유 [9] 묻고 더블로 가!17158 23/12/22 17158
492487 [유머] 은혜갚은 스파이더맨 [1] 메롱약오르징까꿍11797 23/12/22 11797
492486 [기타] 어떤 회사의 쩌는 사내 카페 [58] Pikachu18559 23/12/22 18559
492485 [연예인] 배우 박정민 오늘 개인방송 엔딩 [17] kapH17303 23/12/22 17303
492484 [기타] 요즘(?) 차에 스페어타이어 대신 있다는 거.jpg [16] VictoryFood13450 23/12/22 13450
492483 [LOL] 강찬밥이 정리한 본인의 커리어 [7] Leeka11512 23/12/22 11512
492482 [LOL] [이구동성] 젠G? 박G? [7] Leeka9234 23/12/22 9234
492481 [LOL] 3년째 중국만 특혜받은 MSI [6] Leeka11270 23/12/22 11270
492480 [유머] 겁나 진지하게 결근 사유를 털어놓는 회사원.jpg [21] 캬라16749 23/12/22 16749
492479 [유머] 베트남 친구랑 생선먹다가 생긴 일 [50] 메롱약오르징까꿍14747 23/12/22 14747
492478 [서브컬쳐] 4도류 침착맨 [22] BTS10908 23/12/22 109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