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1/27 14:45:23
Name 이호철
File #1 TL1.png (445.0 KB), Download : 19
File #2 TL2.png (304.8 KB), Download : 10
출처 루리웹
Subject [게임] TL 베타에서 보는 과금모델




엩?
유료 퀘스트?
이게 그 BM 변화의 의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한가인
23/11/27 14:48
수정 아이콘
막내야 또 속냐??
페스티
23/11/27 15:25
수정 아이콘
하하하! 또 속았구나 막내야
호시노 아이
23/11/27 14:48
수정 아이콘
엔씨게임 한달60이면 엄청 싸보이는 마법이 크크
Mattia Binotto
23/11/27 14:50
수정 아이콘
그럼 그렇죠 크크
23/11/27 14:53
수정 아이콘
개가 똥을 끊지..
23/11/27 14:53
수정 아이콘
이런식으로 살짝 꼬아서 말장난 하면 비호감 스택만 계속 쌓일텐데..
리니지W 쇼케이스때 한 이야기 다 개소리인거 김실장이 인증했는데 이걸 또..
능력있는 기획자 관리자는 다 런 했나봐요.
23/11/27 14:55
수정 아이콘
저 루센트는 빡빡하게나마라도 인게임 수급이 되나요?
락샤사
23/11/27 15:16
수정 아이콘
전혀요 거래하려고해도 구매해야 가능할겁니다. 그래야 택진이 형이니깐 크크
최종병기캐리어
23/11/27 15:58
수정 아이콘
여태껏 NC의 행보라면 루센트는 유료재화일 확률이 높습니다. 인게임 수급이 되는건 다른 형태로 존재하고...
겨울삼각형
23/11/27 14:55
수정 아이콘
퀘스트 받는데 내야하는 돈이 있다?
Karmotrine
23/11/27 14:57
수정 아이콘
엔씨치곤 혜자로 냈지만 타게임 하던사람에겐 얼토당토없어보이는 크크크크
동굴곰
23/11/27 14:57
수정 아이콘
성장 인밀릴려면 필수로 질러야 하는 기본이 60에서 시작. 크크크.
??? : 그래서 그게 돈이 되나?
닉네임바꿔야지
23/11/27 14:58
수정 아이콘
저기서 안 늘리면 nc치곤 혜자 맞네요.
23/11/27 14:58
수정 아이콘
강원랜드 가는게 나을 듯..
flowater
23/11/27 15:01
수정 아이콘
강원랜드에 가장많이 꼬라박은 사람하고 리니지에 가장많이 현질한 사람이랑 비교해보면 리니지가 훨씬 금액이 많을것 같긴 하네요
23/11/27 14:58
수정 아이콘
유료퀘라 이것 또 신박하네요.
23/11/27 14:59
수정 아이콘
뭐 기대도 안했습니다
23/11/27 14:59
수정 아이콘
PC게임으로서의 퀄리티가 10년전 블소만도 못한데 이걸 이제와서 내봐야..
23/11/27 14:59
수정 아이콘
기본 깔린게 60+패스값이군요. 리니지m이 달에 3천이던가 사냥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돈도 더 빨리 녹는..
담배상품권
23/11/27 15:02
수정 아이콘
저런거 없으면 애당초 기획을 못했을겁니다.
엔씨는 그런회사죠.
23/11/27 15:02
수정 아이콘
속는게 바보인수준....크크크크
미드웨이
23/11/27 15:03
수정 아이콘
어차피 BM이 중요한게 아닙니다. 저거 공짜로 완전히 풀면 피지알러들은 할건가요? 아니죠.

10년 넘은 블소도 지금 만들라면 못만들정도로 게임 개발능력이 퇴화해버린 이상 린저씨들말고는 엔씨게임 해줄 사람없고 그러면 린저씨들에 맞는 BM이 나올수밖에 없죠. 높은 월급 좋은 복지 많은 직원을 두고 어떻게 개발능력이 박살났는지 기이할정도긴 한데 돈벌이에만 혈안이 되어 뜻있는 개발자들을 무시한 결과겠죠.
23/11/27 15:09
수정 아이콘
유튜브 한번 보고왔는데 인겜이 처참하기 그지없습니다. 말씀하신 블소는 물론 오래된 게임인데 조작의 재미가 분명 있었는데 TL은 음,,, 솔직히 폰겜으로 나와도 거를만한 조작감인데..
고세구
23/11/27 15:04
수정 아이콘
뭐 리니지라이크 게임이면 그럴 수도 있지 싶은데 뭐 논타겟을 만드니 변신 과금을 없애니 합리적인 어쩌고 이번엔 다를 것처럼 말하더니 결국 또 리니지라이크였네요...

리니지라이크가 나쁘다는 게 아니라(그것도 한 장르인데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하면 되는 거죠) 엔씨는 이쯤이면 거의 리니지라이크 아닌 게임을 만들 능력이 없어진 게 아닌가 싶은...
블레싱
23/11/27 15:04
수정 아이콘
60이면 어느정도 무리할 생각있는 사람이면 지불할 수 있는 액수라서 한달에 소소하게 과금 3~10만원 정도 과금하면서 열심히 할 생각있는 유저에겐 지옥이죠. 저게 기본이 되버리니까... 크크 걍 도타식 과금이네요
피아칼라이
23/11/27 15:05
수정 아이콘
나 : 저 일반 임무 받으러 왔습니다! 보상이 어떻게 되나요??
??? : 전설의 드래곤을 잡아오면 자네에게 299exp를 주겠네!
나 : 그럼 유료임무는 뭔데요?
??? : 집앞에 편지좀 가져다주게! 그럼 자네에게 20000exp를 주겠네!
최종병기캐리어
23/11/27 15:5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일반 임무는 하루에 한번밖에 못하네.
유료 임무는 '재화가 존재하는 한' 무한대로 가능하지.
23/11/27 15:11
수정 아이콘
엔씨의 문제는, 이미 회사의 체질 자체가 리니지수익에 길들여져있다는 겁니다.
신작을 아무리 만들어봐야, 회사차원에서는 '리니지만큼의 수익'이 나기를 기대할거니까요.
그리고 '리니지만큼의 수익'을 위해서는 유료모델을 빡시게 잡을수밖에 없고요.
이건 단순하게 회사 체질개선하고 어쩌고 이런걸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이미 구르기 시작한 판은 쉽게 뒤집을수가 없죠.

넥슨이 잘했던건, 수익이 나던 안나던간에 투자하는 게임을 '다양하게' 꾸준히 만들어왔다는거고요.
그러니 새로 런칭한 게임들이 기대만큼 수익이 안나더라도, 그걸 용납하고 다른 게임을 또 만드는게 가능한거죠.
민트로켓처럼 수익성보다 게임성에 집중한 게임도 만들어볼 수 있는거고요. 평상시 게임에 투자하던 범위 안의 행보니까요.
23/11/27 15:13
수정 아이콘
이럴거면 속이려고하기보단 당당하게 까고 고래들이 지를 유인을 만드는게 훨씬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크크
미드웨이
23/11/27 15:18
수정 아이콘
사실 전 그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엔씨가 저지른 큰 잘못은 BM을 과도하게 만든것이 결코 아니라고 봐요.

리니지에 의존하지 않을려면 게임 개발 능력에 막대한 투자를 해서 시장개척을 통해서 린저씨 없어도 되는 회사로 나아가던가
리니지에 의존할려면 VVIP고객님들인 린저씨들에게 좋은 대우를 해주었어야했는데 현실은 무전취식범 마냥 막대했죠.

회사의 전략을 짰으면 잘못된전략이라도 최소한 거기에 맞게 행동이라도 해야하는데 그조차 못한거죠.
23/11/27 15:18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에 동의. 이젠 아무도 안 속는 데 왜 저러는 지..
23/11/27 15:22
수정 아이콘
중국게임사들이 vip대우를 그렇게 확실히 해준다는데, 욕먹을거 감수하고 그렇게 가는게 더 나을거라는점에는 공감합니다.
네~ 다음
23/11/28 21:46
수정 아이콘
일겅

그냥 자기들게임해주는고래잡는게맞지 애초에 아무도안속는걸왜
애기찌와
23/11/27 15:14
수정 아이콘
패키지 게임으로 치면 DLC가 계속 공급되는 그런 느낌일까요?? 꽤 비싼 가격으로??
블레싱
23/11/27 15:21
수정 아이콘
5만원짜리 패키지 사서 걸어다니고 있는데 옆집 철수는 30만원짜리 DLC 질렀더니 날아다니고 있음.
애기찌와
23/11/27 16:03
수정 아이콘
으으..날아만 다니면 어쨌든 나도 걸어서 갈 수 있어!! 하겠는데 탈것이 막 미사일쏘고 울음소리로 버프주고 그러면 허탈하겠네요..
23/11/27 15:17
수정 아이콘
일퀘의 시작인 와우도 일퀘 포기했다는데 일퀘를 돈받고 파네요 와우의 30달치 가격으로 크크크
니나브동인지
23/11/27 15:21
수정 아이콘
원신이나 블아도 하트(?) 풀충하면 꽤 돈 들것같긴한데 말이죠
시간을 사는 개념의 BM은 큰 문제가 아닐것 같긴한데
그렇게 얻은 결과물로 남을 찍어주르는게 가능한 게임이냐 혼자 만족하고 노는 게임이냐의 차이가 클것 같네요
23/11/27 15:23
수정 아이콘
원신은 PvP가 없지만 블아는 PvP가 있는 게임이라 남을 찍어누르는건 다를게 없죠.

그냥 자기가 좋아하는 게임에는 돈 쓰는거고 싫은 게임은 욕하는거라
23/11/27 15:26
수정 아이콘
제가알기로 블아PvP는 핵과금도 무과금한테 죽창맞을 수 있는 게임입니다. PvP 자체가 랜덤성이 엄청 짙어요
23/11/27 15:28
수정 아이콘
리니지도 모든게 확률판정이라 죽창이 아예 불가능한 게임은 아닙니다;

확률이 극도로 낮을 뿐이지 가능성 자체는 존재하는 게임이에요.
RedDragon
23/11/27 15:40
수정 아이콘
블아는 어느정도 플레이 타임이 쌓이면 무과금이나 핵과금이나 5대 5 입니다.
애초에 PVP 보상 차이가 거의 안나서 신경 쓰는 유저도 별로 없고,
PVP 리셋 시즌에는 1위 보상 받으라고 방덱도 오픈 해놓는 문화도 있습니다.
23/11/27 15:44
수정 아이콘
총력전도 랭킹을 통한 줄세우기기 때문에 간접적인 PvP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술경연대회만 PvP라고 할 수는 없죠.
RedDragon
23/11/27 16:50
수정 아이콘
그런거로 치면 경쟁 컨텐츠 없는 원신 빼고 모두 다 해당되는데요...
경쟁 컨텐츠가 있다고 다 리니지스러운게 아니죠.
그게 게임의 핵심이냐 아니냐가 중요한거죠.

리니지도 당연히 무과금으로 레벨업을 즐기시는 분들이 있기야 하지만, 게임의 핵심 컨텐츠와 게임사가 바라는 방향은 전혀 다릅니다.
블아 같은 서브컬쳐 게임 류는 기본적으로는 캐릭터가 주요 메인 과금 요소이고, 리니지는 사람과의 경쟁 유발이 메인 과금 요소 입니다.

총력전에 경쟁 요소가 있는건 분명하지만, 스펙업을 위해 돈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블루 아카이브의 엔드 스팩은 돈을 적게 써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고, 결국 수많은 리트가 경쟁 요소죠. 리니지는 시간도 써야되지만, 돈을 안쓸 수가 없죠.
블루아카이브에 경쟁 요소가 있다고 해서 그것이 절대로 과금 유도로 이루어지진 않습니다.
23/11/28 10:34
수정 아이콘
네 원신 제외하면 거의 다 해당되죠.

그리고 캐릭터 뽑기는 과금이 아닌가요. 아무리 미래시 있다 해도 그게 한두푼이 아닌데요..
RedDragon
23/11/28 11: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신 제외 대부분의 서브컬쳐류 게임이 경쟁 요소 있다고 리니지와 같이 찍어누르는 게임이라고 생각하시면 더이상 할 말은 없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빛
23/11/27 19:09
수정 아이콘
제가 오픈때 히비키 못먹어서 며칠만에 접었다가 페스때만 로그인해서 캐릭만 먹고나오는 식으로 하는 중인데, 서방님 찾는 여우랑 힘센 공주님은 어케어케 전장을 달아줬습니다만.. 전술대회는 늘 1만등 대에다 총력전은 하드코어를 넘어가본 적이 없습니다.
그래도 뭐.. 원하는 캐릭을 얻어서 행복하면 그걸로 그만이지요, 블아는.
아니 근데 이번 픽업을 돌렸는데 왜 철지난 로봇청소기가 나오냐고..
23/11/28 10:35
수정 아이콘
리니지도 분재게임처럼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런 분들이 아래 깔아주는것도 똑같구요.
23/11/27 16:33
수정 아이콘
음 리니지 무과금은 핵과금한테 죽창 꽂을 확률이 0으로 알고있는데(데미지가 안 들어감) 제가 잘못 알고있나보네요
23/11/27 16:40
수정 아이콘
데미지가 안 들어갈 확률이 매우 높아서 그렇죠.

그리고 무과금 핵과금도 서버초기와 후기는 또 다르구요.
비오는풍경
23/11/27 15:40
수정 아이콘
어차피 듣지도 않을 거 같지만 블아는 PvP가 메인인 게임도 아닙니다
괜히 정공전이라고 하는 게 아닌데요
23/11/27 15:46
수정 아이콘
전부가 진심은 아니지만 일부는 진심이라는 점에서 다를거 없죠.

리니지 하는 사람도 전부가 핵과금 박고 PvP 하는게 아니라 과금 적게 하고 사이버 분재 다마고치처럼 굴리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런 분들이 아래를 깔아줘야 생태계가 돌아가기 때문에 나름 리니지라이크에서도 신경을 쓰는 부분이고... 이점은 블아나 다를것도 없죠
이선화
23/11/27 18:36
수정 아이콘
리니지라이크랑 단순 경쟁이랑은 좀 다르게 봐야죠. 리니지라이크식 경쟁의 핵심은 성장독점, 이권독점, 그리고 PK인데 블아는 어느 곳에도 해당되지 않잖아요. 클랜전 같은 게 열려서 클랜 순위 5위 내만 돌 수 있는 특수 던전 같은 게 열리던가 해야 리니지스러워 지는 거죠.. 지금은 걍 분재겜이고 수익의 대부분은 잘 빠진 씹덕 미소녀 캐릭터 + 싱글 성능캐 픽업에서 나오는 걸요.

리니지에서 분재돌리면 보스는 구경도 못하지만 블아는 분재돌려도 주간 보스 점수보상은 꼬박꼬박 받아갈 수 있지 않나요?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23/11/28 10:38
수정 아이콘
리니지라이크가 각종 시스템으로 경쟁을 심화시켜 과금을 유도하는 것은 맞습니다만

정도의 차이일뿐 경쟁 자체로 과금을 유도하는건 다른 게임들도 비슷하다는겁니다

말씀하신대로 '성능'캐 왜 뽑나요. 총력전에서 더 잘하려고 뽑는거 아닙니까.
말딸 서포트카드는 왜 뽑겠습니까. 챔미에서 이기려고 뽑는거죠.

결국 자기가 그 경쟁에서 이기는게 '재미'있기때문에 뽑는거죠. 결국 핵심은 돈을 쓸 만큼 재미를 얼마나 주느냐는거죠. 지금까지 리니지라이크는 그정도 재미를 주는 것에 성공했고, 그렇기에 큰손들이 지갑을 연 거구요.

물론 TL이 그것에 성공할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선화
23/11/28 10: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언급하신 가챠게임들에게 P2W적 측면이 있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리니지라이크에 대한 비토는 단순히 P2W 때문이라기보다는 장르 특성에 기인하고 있는 점이 커서요.

리니지라이크가 되려면 반드시 PK, 이권 독점이 가능해야 합니다. 강한 캐릭터가 보스든 사냥터든 이권을 독점하고 이를 토대로 재화를 뽑아내는 게 핵심 BM이에요. 단순히 "경쟁에서 이기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에 이기기 위해서 돈을 쓴다"라고 단순화시키기에는 너무 일반화된 이야기 아닐까 생각합니다. 리니지라이크에서 성장과 승리는 물론 명예욕도 크지만 그에 준하는 서버 내 이권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사활을 걸고, 수천만원이 오가는 거거든요.

일반적으로 P2W 게임과 리니지라이크는 분명히 구분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검은사막은 리니지라이크를 의도했다가 PK를 없애버리면서 "탈" 리니지라이크화를 시도했다는 평인데 여전히 캐시템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경험칙적인 사례를 설명하기에는 문명님의 말씀은 조금 아쉬운 정의라고 생각합니다.
23/11/28 11:06
수정 아이콘
승리를 통해 많은 이권을 얻는 것은 맞지만. 현 리니지라이크는 그 이권을 얻기 위해선 그 이상의 돈을 써야죠.

타 가챠겜의 PvP들도 이기면 더 보상을 주는건 똑같죠. 하지만 그 보상이 이기기 위해 써야하는 돈보다 훨씬 가치가 적기에 보상을 위해 움직인다는 말이 틀렸듯이 린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기면 보상을 더 주지만, 그 보상이 이기기 위해서 필요한 투자보다 훨씬 적습니다.

그런데도 하는 이유는 재밌으니까 하는거죠
벌점받는사람바보
23/11/27 15:22
수정 아이콘
옛날에 엔씨는 과금 너무하고 게임 취향에 안맞아도
개발능력 있는 회사처럼 보였는대
테오도르
23/11/27 15:23
수정 아이콘
이 회사는 갱생의 가능성이 안보이는걸로...
23/11/27 15:26
수정 아이콘
이제 즉완권 팔면 되겠네요
반반치킨
23/11/27 16:09
수정 아이콘
상술이 2배!
23/11/27 15:27
수정 아이콘
항상 과금모델 효율계산기가 머릿속에서 돌아가는 리니지 형님들...
23/11/27 15:32
수정 아이콘
근데 주식은 오르는 거보니 사람들이 NC에 기대하는게 이런 신박한 BM이 아닌가 싶어요.
23/11/27 15:33
수정 아이콘
사실 신박할것도 없고 기존에 다 팔던거라..
덴드로븀
23/11/27 15:41
수정 아이콘
[NC소프트 주가]
2018년 11월27일 : 485,000
2019년 11월27일 : 505,000
2020년 11월27일 : 822,000
2021년 11월26일 : 695,000
2022년 11월28일 : 453,000
2023년 11월27일 : 271,000
23/11/27 15:37
수정 아이콘
제가 엔씨직원이라고 치고 돈벌리는 지금의 bm말고 돈적게쓰는 bm기획안 같은거 올릴자신이 없는데...
23/11/27 15:39
수정 아이콘
하루 일퀘가 와우 한달요금이네
앙몬드
23/11/27 15:41
수정 아이콘
엔씨게임 많이들 하시나요? 1999년에 리니지 한달정액 29700원 주고 한 이후로 엔씨게임엔 단한번도 손을 대본적이 없는데
대부분 와우때 아이온정도나 블소정도까지는 꽤 하셨을꺼 같은데 그이후로 엔씨겜 하는 분 계세요?
23/11/27 15:52
수정 아이콘
이 사이트 연령대 생각하면 알음알음 있을지도
이선화
23/11/27 18:39
수정 아이콘
계셔도 여론이 이런데 나와서 나 리니지 합니다.. 하실 분이 많이 없죠. 분명 계시긴 할 겁니다.
앙몬드
23/11/27 18:42
수정 아이콘
아니 뭐 딱히 하시는분을 질타하는 분위기는 아닌것같은데..
이선화
23/11/27 18:44
수정 아이콘
흐흐 당장은 그런데 보통 엔씨겜은 엔씨를 욕하다 결국 여기에 돈 써주는 사람이 문제다 식으로 발전되는 경우가 많아서... 저라도 그냥 훌쩍 지나갈 것 같아요
그러지말자
23/11/27 15:54
수정 아이콘
서부개척시대처럼 무주공산에 깃발 꼽으려는 린저씨들이 초기 매출은 담보해줄듯 합니다만, 린W가 그러했듯 낙폭은 크겠지요. 상대적으로 순한 과금모델이 매몰을 약화해서 더 빠르게 망하는 방향도 기대해봅니다.
티오 플라토
23/11/27 15:55
수정 아이콘
소과금러도 할 게 있다면 나름 잘 만든 게임이겠죠 뭐 크크
리니지식 BM은 pvp위주에 1억 지른 캐릭터를 소과금러 20명이 모여도 못 잡는 형태인데... 이걸 하면 전작들과 똑같은거겠구요..
하지만 일단 소과금러도 재밌을 거란 기대가 안 되긴 하네요...
이부키
23/11/27 16:25
수정 아이콘
와우는 진짜 일퀘 싹 개편되어서 하나도 안해도 별 문제 없어졌는데

저겜은 일퀘가 대체 몇개인가요 와...
신사동사신
23/11/27 16:27
수정 아이콘
진성 린저씨인데
이번엔 하는게임이 있어서
못 해볼것 같네요.

그래도 재미는 있어 보이는데
과금이 바꼈다고는 하나
그걸 믿진 않습니다.

재미있으면 해요.
23/11/27 16:35
수정 아이콘
한달에 60이면 리니지라이크 중에서는 완전 혜자인데요?
유유할때유
23/11/27 16:41
수정 아이콘
변한거 맞지....???
더 악랄하게 변한건가.....????
달빛기사
23/11/27 16:45
수정 아이콘
??? : 돈이 될까?
23/11/27 16:50
수정 아이콘
블소는 와우 이후의 MMORPG 계보를 이을 수 있는 혁신이었는데, 그 좋은 게임의 배를 갈라서 카지노로 만들었으니 NC가 게임계에 대해 업보가 큽니다. 블소를 뛰어넘는 또다른 혁신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모르겠지만, 게임사로서의 NC는 소비자와의 신뢰가 완전히 무너져 어지간해서는 이제 가망이 없는 듯 보여요.
terralunar
23/11/27 16:50
수정 아이콘
저는 아마 엔씨에선 이정도면 합리적이다 라고 생각하고 저렇게 냈을거라 생각합니다
의사결정 과정에 엔씨물이 안 든 사람이 있어야 할텐데 가능할것 같진 않아보여요
클로우해머
23/11/27 16:58
수정 아이콘
린저씨들 목숨거는 랭킹 까지 있어서 저거 과금 안 하면 아예 도태되게 해놨어요.
진짜 개가 똥을 끊지...
23/11/27 17:39
수정 아이콘
리니지m2까지만 하고 다른 쪽 게임에도 투자를 했어야 되는데.
리니지m1,2가 벌어준 돈으로 다른 게임사라도 샀어야 합니다.
23/11/27 20:52
수정 아이콘
보상이 뭔지는 모르겠지만
경험치가 있으면 아인이랑 똑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818 [게임] 축제인가요? [8] 묻고 더블로 가!11018 23/12/29 11018
492808 [게임] 역대 최고 승률 기록에 도전하던 세계랭킹 1위 신진서 근황 [8] 물맛이좋아요12226 23/12/29 12226
492802 [게임] 소울워커스튜디오 폐쇄결정 60명 당일 권고사직 [13] Lord Be Goja11093 23/12/29 11093
492798 [게임] 철권8 최고의 반전 [20] 어강됴리12759 23/12/29 12759
492784 [게임] 넷이즈-블리자드 근황 [10] 김티모11593 23/12/28 11593
492773 [게임] 핵사용 의심 받는 스트리머 feat.타르코프 [10] 아드리아나9904 23/12/28 9904
492771 [게임] 95세 노인의 취미 생활 [20] 롯데리아13256 23/12/28 13256
492759 [게임] GTA6 슬슬 출시 서둘러야 하는 이유 [1] Lord Be Goja9474 23/12/28 9474
492747 [게임] 판매 금지되어버린 미연시 게임 [32] 퍼블레인11331 23/12/28 11331
492744 [게임] 최근 이슈화 된 스팀 성인게임, 결국 지역락 처리 [71] 묻고 더블로 가!13985 23/12/28 13985
492740 [게임] 철권8) 드뎌 공개된 쿠마 트레일러.youtube [31] Thirsha8085 23/12/28 8085
492739 [게임] 본인이 가장 좋아했던 탱크 모델은? [64] 묻고 더블로 가!10821 23/12/27 10821
492734 [게임] 올해의 GOAT 게임 '발더스게이트3'가 꿀잼인 이유 [9] 수퍼카10143 23/12/27 10143
492724 [게임] 블루아카이브 일본판에 나왔다는 한국요리 [10] 묻고 더블로 가!9518 23/12/27 9518
492622 [게임] 원신 비행선 시위 거래명세서 [35] lexicon12655 23/12/25 12655
492620 [게임] (후방) 브더2 캐릭터디자인 담당 '색종이'에 대해 알아보자 [17] 묻고 더블로 가!12972 23/12/25 12972
492606 [게임] 디씨 게임갤들 근황 [22] 코우사카 호노카12246 23/12/25 12246
492596 [게임] 크리스마스에 난리난 러브 딜리버리 2 [61] 이호철12462 23/12/25 12462
492583 [게임] 토드 하워드가 더 게임 어워즈에 도착했습니다 [7] 인간흑인대머리남캐7670 23/12/25 7670
492560 [게임] 바람의나라 클래식 버전 부활? [54] 훈남아닌흔남11523 23/12/24 11523
492556 [게임] 서렌더 김정수 은퇴선언.jpg [8] Thirsha10638 23/12/24 10638
492549 [게임] 게임에 진심인 백종원.jpg [22] 캬라12886 23/12/24 12886
492531 [게임] 싱글벙글 철권8 근황 [10] 아드리아나10490 23/12/23 104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