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1/24 19:35:33
Name 주말
File #1 20211122151615758966.jpg (79.1 KB), Download : 26
File #2 Screenshot_20231124_193719_YouTube.jpg (209.1 KB), Download : 8
출처 슈카월드
Subject [기타] 우리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건 '돈' (수정됨)






솔직히 돈이 중요하다고느끼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민들레
23/11/24 19:36
수정 아이콘
돈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에 불과한데..
문문문무
23/11/24 19:40
수정 아이콘
가장 유동성이 높은 수단이라 그런듯요
Bronx Bombers
23/11/24 19:38
수정 아이콘
그리스 영국은 5위 안에도 돈이 없네요.....
똥진국
23/11/24 19:38
수정 아이콘
세상의 모든 갈등의 원인은 결국 돈 때문이죠
누가 뭐래도 돈, 돈이 최고입니다
인민 프로듀서
23/11/24 19:42
수정 아이콘
돈이 전부가 아니라는걸 스티브 발머를 보면서 느낍니다.
우승을 못 사 ㅠㅠ
우스타
23/11/24 19:48
수정 아이콘
그 분은 모발도...
Janzisuka
23/11/24 19:56
수정 아이콘
발머라...발모로 개명을
사람되고싶다
23/11/24 19:43
수정 아이콘
이게 '돈 = 생존'이던 시절이 얼마 전이라 그런가 악착같이 일단 벌고 보는 느낌이긴 해요.
돈을 생존선으로 보느냐 재화나 서비스 향유를 위한 수단으로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달라서.
23/11/24 19:43
수정 아이콘
돈 너무 좋아 돈 덮고 잘래
23/11/24 19:44
수정 아이콘
유럽에서 체제가 공고한 국가는 계급이 거주지/인맥부터 공고하거나, 일자리가 없어서 (동유럽과 남유럽) 누가 갑자기 돈 많이쓰면 체제에 대한 광적인 충성심이 없어도 경찰에게 "어디서 한탕이라도 했나봐요. 이상해요"라고 말한다죠.

어쩌면 한국이 아닌 나라에서 돈이 못 높은 이유도 알것 같네요.
밤에달리다
23/11/24 19:44
수정 아이콘
진짜 어딜가든 돈돈돈 거리긴 하죠.
그렇다고 꿈이나 낭만을 쫒으면 그거해서 어떻게 먹고 살건데 소리 평생 들어야하고.
나 혼자 행복은 돈이 전부가 아니란 말이에요 해봐야 전방위적인 압력이 ..
VictoryFood
23/11/24 19:49
수정 아이콘
??? : 돈에 관심없다는 사람은 돈에 미친 사람이에요
일모도원
23/11/24 20:00
수정 아이콘
돈도 좋지만 몸 건강한게 최고 입니다
대류 건강이 최고다~!!
완전연소
23/11/24 20:02
수정 아이콘
돈만 중요한건 아니지만 돈도 중요하죠.
하고 싶은 일일 하게 해줄 수도 있고, 하기 싫은 일을 안하게 해줄 수도 있으니까요.
이쥴레이
23/11/24 20:02
수정 아이콘
웃긴게 이영상보고 나온게 방구석 1열인가.. 음식남녀 영화 이야기 나오더니...

식구가 왜 식구인지 아냐 밥을 한상에서 같이 먹어서 식구이다... 라는 내용인데... 이것도 유튜브 알고리즘이겠지.. 합니다.
영상이 연속으로 나에게 가족을 대해서 기승전결로 알려주는 느낌이었네요 크크
(여자)아이들
23/11/24 20:04
수정 아이콘
돈이 없으면 불행..그리고 생존도 할 수가 없어요.
23/11/24 20:06
수정 아이콘
거지처럼 살라는 의미가 아닌데 이렇게 곡해해서 받아들이시면....
23/11/24 20:26
수정 아이콘
사실 그건 다른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유독 우리나라만 튀니까요
아침노을
23/11/24 20:10
수정 아이콘
재물을 허상처럼 여긴다는 유교국가를 조심해야 합니다. 그런 나라는 돈에 미친 나라입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3/11/24 20:14
수정 아이콘
물론 돈이 중요한데 요즘은 돈보다 중요한 게 있다고 하면 십선비 취급하는 풍조라 짜증납니다
João de Deus
23/11/24 23:12
수정 아이콘
22222
시린비
23/11/24 20:16
수정 아이콘
뭐 다른나라는 미쳐서 패밀리가 1위라 하겠나요 가식떨 여유가 있던 뭐가 있던 있으니까 다른게 아닐런지..
23/11/24 20:18
수정 아이콘
인스타보면 진짜.. 돈 없으면 세상 못 살 것 같죠.
대단하다대단해
23/11/24 20:20
수정 아이콘
돈이 꼭 최우선이 아닐수는 있는데 돈이 없으면 건강 가족 정신 자유 다 쉽게 유지할수가 없긴하죠.
손금불산입
23/11/24 20: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댓글을 보니 저 설문 결과에 신뢰성이 가네요. 개인적으로 돈만 많으면 행복할 것 같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이미 어느정도 행복한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진짜 중요한게 안갖춰지면 그런 생각조차 잘 안들어요.
23/11/24 20:26
수정 아이콘
돈이 알파이자 오메가이긴 하죠. 나의 자기만족과 행복의 지표를 떠나서 돈이 많다는것만으로도 타인들의 시선이 확실히 호의적이고 돈이 없다는것 만으로도 그동안 내가 무슨 노오력을 해왔든 간에 무능한 인생패배자로 볼 확률이 높으니까요.
23/11/24 20:26
수정 아이콘
평균이 높은 것도 이유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국룰도 그렇고요.
23/11/24 20:27
수정 아이콘
돈이 중요한건 당연한데 아닌척 하는게 문제죠. 남을 위하는 척, 공정함을 위하는 척 하면서 하는 주장은 결국 본인 금전적 이득, 남의 것을 빼앗거나 자기보다 잘난 사람을 망하게 하는 것일 뿐인 경우가 너무나 많으니.
23/11/24 20: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통적으로 동서고금의 진리이자 많은 종교의 입장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질수록 행복하기 어렵다'
'물질주의와 행복은 반비례 관계이다'이며, 긍정심리학 연구결과에서 반복적으로 확인되는 내용입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권석만 교수의 저서 <긍정심리학>을 참고 바랍니다)

이 진리와 연구결과는 한국을 통해서 정확하게 반복증명되고 있습니다.
경제적 수준과 생활의 질은 선진국 수준으로 명백히 올라왔지만,
그게 물질주의적 토대 속에서 세워진 것이라 가장 많은 비율의 사람이 자살하며, 가장 적게 아이를 낳는 나라가 됐죠.
바이바이배드맨
23/11/24 20:36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돈이 안 중요하다는게 아니라 제일 중요할 필요는 없는건데.
23/11/24 20:29
수정 아이콘
출산율 낮고 국민 행복도 낮은 이유
23/11/24 20:3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그냥 돈에 미친 나라입니다..
탑클라우드
23/11/24 20:38
수정 아이콘
현재도 베트남에 거주 중이고, 동남아 국가에 출장도 다니면서 느끼는게,
자본주의가 급격하게 전파되는 과정에서 소위 돈으로는 못하는게 없다는 믿음이 전 사회에 팽배한 느낌입니다.
특히 젊은이들은 수단과 방법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듯 해요.
R.Oswalt
23/11/24 20:40
수정 아이콘
돈이야 뭐 다른 것들을 이룰 수 있는 충분조건 같은 개념으로 보니까 그럴 수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진짜 특이점은 (스페인, 독일 제외한)다른 곳에 있지만 동아시아권에는 없는 Friends라는 개념 아닐까요.
23/11/24 20:42
수정 아이콘
돈이 중요하지만, 돈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남들보다 많은 돈" 또는 "남들에게 뒤쳐지지 않는 돈"이죠.
23/11/24 20:48
수정 아이콘
이 자료 보면 항상 드는 생각은
제국주의 시절에 한탕 거하게 해먹어 놓은 나라들, 땅 파면 자원 나오는 나라들, 달러 찍으면 되는 나라하고 비교하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돈밖에 모른다 하는게 맞는 비교인가? 예요

옆나라 일본만 해도 노인세대가 쌓아놓은 부는 압도적이고 음식 가격 싸게 유지하는 비결이 늙은 주인이 연금받고 젊은 시절에 대출금 다 갚은 가게에 운영해서 싸게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하는데
유럽 미국은 뭐 오죽하겠어요?
근데 우리나라는 이미 노인빈곤 답이 없어서 벌써부터 국민연금 더 내고 예전만큼 받으라는걸 검토하는 나란데요.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잖냐
느그 나라엔 박물관 뒤적여보면 뭐 "직지" 같은거 없어? 우리는 정 팔아먹을거 없으면 이런거라도 팔아먹으면 되는데?
하는 티배깅 당하는 기분이에요.
23/11/25 02:43
수정 아이콘
이걸 방탄소년단 RM이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아주 세련되게 말했죠 크크
스테인
23/11/25 10:14
수정 아이콘
꼭 그렇다고 하기에는 똑같은 조건에 똑같은 테크트리 밟고 올라온 대만도 한국정도는 아닙니다 한국이 미국식자본주의+유교문화로 극도의 황금만능주의된건 사실이죠
짐바르도
23/11/24 20: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행복과 성취감을 느끼기 위해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되뇌는 일은 최면 상태에 드는 것과 아주 비슷하다. 실제로는 사실이 아닌 메시지를 믿는다는 점에서 말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인생에서 [아기나 사랑하는 연인, 돈, 성공, 친구 같은 특정한 대상을 원하는 건] 전혀 잘못이 아니다. 하지만 원하는 것을 [필요한 것으로 격상시킬 때, 우리는 우울증을 향해] 방향을 틀게 된다.

한국에서 돈은 원하는 것도 필요한 것도 아니라
없으면 안 되는 생명 같은 대상이죠. 괜히 자살하고 애 안 낳는 게 아닙니다.
아스날
23/11/24 20:57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들이 솔직하지 못한듯
양현종
23/11/24 21:04
수정 아이콘
돈이 행복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라면
우리나라는 21세기에도 비교적 고성장을 했으니
그만큼 국민들의 행복감도 높아져야겠지만... 현실은 글쎄요...
나무위키
23/11/24 21:09
수정 아이콘
돈 이상의 가치가 무엇인지를 사람들에게 납득시키지 못하고 있으니 우리나라가 이렇게 삭막해지고 있는거 같네요
종말메이커
23/11/24 21:13
수정 아이콘
좋아하는 관심사나 가치있게 여기는 일을 물어보려고
좋아하시는게 어떤건가요? 물어보면
돈 좋아하죠 하는 사람이 최근에 많아요
좀 놀라워요
그리고 솔직히 그런 사람보다는 다른 가치를 더 높게 여기는 사람을 가까이 두고 싶습니다
장마의이름
23/11/24 21:25
수정 아이콘
사실 돈만 많고 그걸 누릴 여유도, 시간도, 사람도 없으면 별로 즐겁지 않을 것 같아요. 막말로 통장에 천억이 있어도 무기징역으로 감옥에 죽을 때까지 살아야한다면 (=내가 그 돈을 활용해서 즐거움을 누릴 수단이 없다면) 의미가 없을 테니까요.

결국 돈이 좋은 건, 돈이 가장 손쉽게 우리에게 즐거움과 행복을 주는 가치들과 교환이 되는 중간 매개체라 좋은 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그중에 나에게 가장 행복하고 즐거움을 주는 게 무엇인가, 라는 생각으로 나아갔으면 좋겠어요. 가족이든, 여행이든, 미식기행이든, 사치품의 구입이든 뭐든 간에요.
23/11/24 21:29
수정 아이콘
돈이 알파고 건강이 오메갑니다.
다들 팔팔하셔서 체감을 못 하시는 듯 크크
살려야한다
23/11/24 21:39
수정 아이콘
와 댓글도 돈 이야기 밖에 없네요
wish buRn
23/11/24 21:40
수정 아이콘
지인중 40대초반 아이없는 이혼남있는데
매년 1억넘게 저축하며 사니까
주변에서 타박안받고 잘살더라구요
베르톨트
23/11/24 21:50
수정 아이콘
이 글과는 좀 핀트가 어긋날 수 있지만..
어떤 유튜버가 한 말이 떠오르네요
'돈을 좋아하는 게 아니라 돈을 싫어하는 거다
돈을 싫어하니까 들어오자마자 다 소비해버리는 거 아니냐'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3/11/24 21:56
수정 아이콘
부유층에 마약 퍼지고 있다는 뉴스를 보면서 돈 그렇게 끌어안고 한다는 짓이 마약인거 보면 여러 생각이 들더군여
마일스데이비스
23/11/24 22:36
수정 아이콘
사실상 한국 사회가 자신의 욕망이 아닌 남의 욕망을 욕망하다 보니 그 끝에 할 게 없어지는 경우가 많죠.
남들이 부러워할 만큼 돈을 벌었다. 근데 인제 뭐함?
남들이 가고 싶어하는 학교, 회사에 갔다. 근데 인제 뭐함?
남들이 사고 싶어하는 집에 산다. 근데 인제 뭐함?
남들이 타고 싶어하는 차를 샀다. 근데 인제 뭐함?
결국 할 거 없으면 섹스도박마약으로 도파민이나 갈구하는 엔딩이 되기 십상이라
이 사회는 다수가 원하는 걸 내가 함으로서 가치를 증명하려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좀 들어요.
가치를 증명했다. 근데 인제 뭐함? 결국 이렇게 빠지는 거죠..
환상회랑
23/11/24 22:12
수정 아이콘
저는 건강>자유>돈>가족>사회적 지위 이런 순입니다. 건강은 무엇보다 중요한데, 자유는 돈보다 앞에 있긴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서 내가 원하는 자유로움을 얻기 위해선 물질적 풍요가 반필수적이라...
23/11/24 22:17
수정 아이콘
이 나라는 imf가 엄청 타격이 커서 저런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나 그런 생각도 드네요
돈 중요한거 다 알죠.. 누가 모릅니까
근데 요즘 너무 대놓고 그걸 피력하는 분들이 많아서 현실에서 돈돈돈 외치는 이성이든 친구가 있으면
속물로 보이고 이 사람과 더 깊은 관계를 맺고 싶지는 않다 그런 생각이 들어요
물론 10년 넘은 초중고 친구들이 그러면 봐온 세월이 있으니 그러려니 하고 흘려듣긴 하지만
23/11/24 22:23
수정 아이콘
근데 imf 얘기하기에는 또 다른나라들도 역경 고난 없었던건 아니라서요 거기다 지금으로부터 10년도 더 된 이야기이고...
23/11/24 22:26
수정 아이콘
그러면 진짜 왜 그런걸까요?? 캡쳐 화면처럼 한국은 버그인가..
23/11/24 22:28
수정 아이콘
잘모르겠습니다
열혈둥이
23/11/24 22:21
수정 아이콘
생각이 극단적이여서 그런거 같아요.
저한테 돈은 굉장히 후순위긴한데
그게 거지같이 살겠다는 뜻은 아니거든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없이 어떻게 살아요.

근데 가족 건강 꿈 이런 거랑 비교해선 덜 중요한것 뿐이죠
라울리스타
23/11/24 22:21
수정 아이콘
돈이 안 중요하다는게 아닙니다...다만 돈 빼고는 아무것도 안 중요하게 여기는게 문제죠...그렇게 현 세대를 쥐어짠 결과가 저출산 고령화가 된거죠.
재활용
23/11/24 22:24
수정 아이콘
솔직히 계층상승욕구 경쟁심리를 한국의 발전원인이라며 교육 단계부터 장려하면서 공동체의식을 가지라는 건 모순같습니다. 거기에 공개경쟁이 공정함으로 포장되어 받아들여지니 의식하지 않더라도 생애주기 전체에서 사회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으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어요.
유료도로당
23/11/24 22: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제 그 무슨 강사 짤때문에 돈이 제일중요한건 아니라는 얘기하면 '너같은 놈이 진짜 돈에 미친놈'이라고 비아냥까지 듣게되죠 크크
오늘 뭐 먹지?
23/11/24 22:33
수정 아이콘
아파 본 사람들은 돈보다 건강이라고 생각할꺼에요.
진짜 건강이 최고에요..
건강에 돈을 아끼지 마세요..
23/11/24 22:35
수정 아이콘
계급사회를 인정하란 소리죠.
마일스데이비스
23/11/24 22:38
수정 아이콘
전 이런 결과를 보면 시니컬한 사람들의 위악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정말 악에 받쳐서 이렇게 믿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파프리카
23/11/24 22:48
수정 아이콘
Money Money Make Her Smile
맹렬성
23/11/24 22:52
수정 아이콘
전 사실 한국인이 아니었던걸로...
모르는개산책이다
23/11/24 22: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pewresearch.org/global/2021/11/18/what-makes-life-meaningful-views-from-17-advanced-economies/

동아시아에 돌린 설문지 번역이 이상한게 아니었을지 모르겠습니다. 한국과 일본만 유독 여러 가치를 적어내지 않고 하나의 가치만 기술한 사람이 많아서...

다른나라는 물질적웰빙과 직업및커리어가 2~4위에 각각 랭크되어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하나만 선택하면서 전부 물질적웰빙 하나로 몰빵때려진듯한...
성야무인
23/11/24 23:01
수정 아이콘
저는 돈이 중요한게 아니라 남에게 보여주는 삶 때문에 돈이 중요한게 아닌가 싶네요.

만약 주 5일 8시간 근무에 점심을 회사에서 주고 걸어서 10분거리에 200만원에서 300만원만 벌면

살아간다는 의미에서는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지방에서 산다면 월세 30만원에 대충 직접 해먹는다면야 4-50만원이면 충분하고

나머지 전기세나 통신비 내면

대략 100에서 200만원정도 남길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렇게 안되니까 격차게 생기는 것이고 대다수가 그렇게 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어떻게든 돈을 더 많이 벌어서 뭔가 우월감에 누리고 싶어합니다.

서양이 콘솔게임 위주인 반면 리니지같은 Pay to win게임들이 비정상적으로 매출을 올리는 한국을 보면

이게 돈을 추구하는 단적이 예시가 아닐까 싶네요.
João de Deus
23/11/24 23:14
수정 아이콘
다른 가치의 중요성을 언급하는 사람들을 가식 떤다거나 위선적이라고 단정짓는걸 보면 뭐... 답 나오죠

돈이 중요하지 않다는게 아니라 돈만 중요한게 아닌데

새삼 대한민국이 안락사의 길을 걷고 있는 현실이 당연하다고 느껴지네요
착한아이
23/11/24 23:37
수정 아이콘
돈도 중요하지만 건강이요. 자식 키우니 늘 생각해요
23/11/25 02:30
수정 아이콘
댓글만 봐도… 돈 1위 저출산 1위
투전승불
23/11/25 02:40
수정 아이콘
심각한 정신적 퇴행입니다.
55만루홈런
23/11/25 03:06
수정 아이콘
사실 건강이 젤 중요하긴 합니다. 아파봐서 아는건데... 그 건강이 돈으로 치료되는 상황이 된다면 가장 먼저는 돈이겠죠. 점점 의학은 발달되고 그 치료는 돈으로 가는 단계가 가니깐요.
물론 평범한 삶이면 보통 확률 게임으로 적당히 건강하게 살다 죽긴 합니다. 그런 삶을 살게 되면 나 정도면 건강하니 돈이 1위겠네 생각은 들긴 하는...
방구차야
23/11/25 03:35
수정 아이콘
단일민족에 고전적 계층의 구분이 없으니 존엄을 위한 증거물은 돈같은 물적자산이라는 인식이 아닌가합니다. 똑같은 사람이라도 차나 평수, 두르고있는 외형으로 그 급이 다르게 보이는 인식이 있죠.

이전에 위계나 존중은 나이가 더 많은이를 따라가는 경향이 있었는데, 지금 그 연공서열이 붕괴된 상황에서는 나를 포장하는건 무엇이냐가 위계의 배경이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나이 내려놓고 똑같이 생긴 사람들끼리 누가 갑이되고 을이되냐 하는 계층분리에서 결국 돈이나 자산이 기준이라 판단하고 매달리게 되는거죠.

국가나 사회경제가 상위권인건 전반적인 만족의 조건은 아닙니다. 핵심은 그 상향된 배경 내에서 너와 나의 서열(계층)이 물적기준으로 정해지고 나뉘는게 핵심이죠. 흔히 용 먹이 되는 가붕개 역할은 내 대에서 끝내고 싶다는 마인드와도 연결되고요

가족을 갖는다는건 자산의 배분과 선택지의 제한이 따라오기에, 혼자라도 그런 상대적 존엄을 지키기위해 아이나 가족의 확장은 포기하는 선택을 하는거고, 맞벌이로 빠른 자산을 함께 모을수 있으면 딩크로 가는거고, 그것마저 공유하기 싫다면 더 상향된 배우자의 가능성을 보기위해 늙은 싱글 미개봉 상태로 남는걸테고요.

나의 존엄은 가족과 함께할때 온다고 믿는다면 사회적 계층어디에 위치했는지는 크게 매달리지 않을겁니다. 그러나 도시를 떠나 무소유의 삶을 살려하지 않는 이상, 도시화에 따른 필수 생활비는 상향되어있고 몸은 가족을 이루었어도 마음은 사회적 계층을 유지하는데 기울어져 있으면, 흔히보는 회사나 일에 올인해 가족보기 힘든 부모되는게 대다수의 삶이겠죠
Jignificance
23/11/25 06:41
수정 아이콘
군사정권 시절의 권위주의를 없앤다는게 권위가 일정 필요하던 직업들에 대한 존경마저 다 말살시키고 남는건 돈밖에 없게 된 것도 크지요. 그 와중에 최상위 재벌가 제외하면 계층이 아직 공고화되지 않아서 계층을 드러낼 수단이 돈밖에 없기도 하고 대중들은 그런 것을 좇으니까요.
도들도들
23/11/25 15:51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하면 집단적으로 심각한 마음의 병을 가진 사회라고 생각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1063 [게임] 와이드 모니터의 희망편과 절망편 [33] 묻고 더블로 가!12090 23/11/27 12090
491061 [유머] 낭만 있었던 오락실 게임.jpg [34] 김치찌개14832 23/11/27 14832
491060 [유머] 군필들만 아는 물건.jpg [21] 김치찌개12300 23/11/27 12300
491059 [유머] 월급 250 vs 800 [41] 김치찌개13644 23/11/27 13644
491058 [유머] 27만명이 투표했는데 50대50으로 갈린 문제.jpg [25] 김치찌개13353 23/11/27 13353
491057 [유머] 무인도에 갇힌 당신 4가지 물건으로 버터야 한다면?.jpg [18] 김치찌개10590 23/11/27 10590
491056 [기타] 영화에 PPL넣고 얻어맞는 광고주 [2] 톰슨가젤연탄구이11633 23/11/27 11633
491055 [방송] 오늘 온 넷상에서 난리난 그 손가락 [30] 물맛이좋아요15911 23/11/26 15911
491054 [방송] 고거전)현재까지 강감찬의 아치에너미.jpg [14] Thirsha12213 23/11/26 12213
491053 [유머] “그 손모양”이 허가된 유일한 여성.jpg [12] 궤변16169 23/11/26 16169
491052 [유머] 변치 않는 우정 [5] 메롱약오르징까꿍10923 23/11/26 10923
491051 [기타] 알뜰폰 근황 [9] 닉넴길이제한8자14257 23/11/26 14257
491050 [기타] 고려거란전쟁 신스틸러.jpg [15] Thirsha12894 23/11/26 12894
491049 [서브컬쳐] 정통무협_근황.jpg(약후) [14] roqur12377 23/11/26 12377
491048 [서브컬쳐] [최애의 아이] 2기 2024년 방영 예정 [14] 호시노 아이9339 23/11/26 9339
491047 [기타] 털리는 미국 나이키 매장... [72] 우주전쟁17666 23/11/26 17666
491044 [유머] 사나 예쁘다고 했다가 마눌에게 걸림 [36] 메롱약오르징까꿍16290 23/11/26 16290
491043 [동물&귀욤] 마취로 정신없는 환자로 사심채우는 의사 [1] 메롱약오르징까꿍10270 23/11/26 10270
491042 [기타] 갓 올라온 마사토끼님 단편만화 [11] Cand12158 23/11/26 12158
491041 [유머] 마왕이 용사와 결혼한.manhwa [8] 메롱약오르징까꿍11994 23/11/26 11994
491040 [유머] 나한테 넣어 싸게 해줄게 [6] 메롱약오르징까꿍14523 23/11/26 14523
491038 [방송] 현재까지 비평가 200여명이 평가한 2023년 나폴레옹 평가 [25] 된장까스11821 23/11/26 11821
491037 [LOL] 위기를 느낀 라이엇 [20] Leeka12210 23/11/26 122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