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1/24 11:30:58
Name 궤변
File #1 1.JPG (2.90 MB), Download : 14
출처 이원일 유튜브
Subject [유머] 흔한 자영업자의 업장 운영하는 마인드.jpg


자영업 폐업률(87.9%인가 기사에서 봄) 고려하면 저 정도는 준비해야 하는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ord Be Goja
23/11/24 11:37
수정 아이콘
이원일씨 도나쓰도 그냥 그렇던데..
랜슬롯
23/11/24 11:38
수정 아이콘
이번에 관련영상? 으로 승우아빠 영상이 떠서 잠깐 봤는데 개인 사업가들한테 조언해주는 프로그램?을 하더라구요. 다만 첫화라서 그런지 실제는 그냥 직원들하고 컨셉잡고 하는거였는데, 직원들이 요리를 해놓고 승우아빠가 맛을 보고 식당 컨셉이나 요리 맛이나, 가격이나 이윤이나 여러가지 개인 식당에 대한 팁을 주던데, 그때 그 식당 개업하는 직원들이 음식이랑 가격 설명하면서 음식은 최대한 맛을 내기 위해서 이거 이렇게 하고 육수는 저거 쓸거고 이런 재료 써서 맛있게 낼겁니다, 가격은 어느정도 예상하고 있구요.

그말듣고 승우아빠가 어이없다는 듯이 웃으면서 음식은 당연히 맛이있어야하는거구요, 금액이 중요하죠. 당연한거에요 그건. 어떤 금액으로 얼마나 잘 맛을 내느냐, 비싼 재료 쓰면 더 요리값이 올라갈꺼아니에요. 라는 느낌의 말을 하더라구요. 이게, 사회에 나와서 우리가 살면서 깨닫는 사실이지만, 학창시절에는 뭔가 열심히한다, 열심히 해야한다 라고 생각을 하고 거기에 초점을 두지만, 사회에 나와서 하는 일들은 우리가 열심히하는건 당연한거고 거기에 추가로 되는 것들이 훨씬 많더라구요.

지금 저 분도 요리가 맛있는건 기본으로 깔고가고 저렇게 많은 생각들과 우리는 그냥 아무생각없이 지나치는 것들까지 생각을하시니..
참 개인사업하시는 분들 대단하다고 느낍니다 그래서 전.
23/11/24 11:39
수정 아이콘
이 정도 정성이면 되야되는데, 또 자영업 성공이 꼭 그렇게 노력한대로 되지도 않다는게 어렵죠.
及時雨
23/11/24 11:39
수정 아이콘
안 흔하잖아욧
지르콘
23/11/24 11:40
수정 아이콘
승우아빠 유투브에서도 봤는데 이 분 창업 컨설팅 하는 게 좀 나오고 있네요
김유라
23/11/24 11:41
수정 아이콘
볼때마다 주식이랑 비슷한거 같기는 해요 크크크 결국 자영업오 일종의 투자라서 그런가봅니다.


1. 절실한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은 "잘 되겠지" 하는 막연한 생각으로 시작함.

2. 남들이 장사하는거 따라가면 평균 이상은 가는데 (=지수추종) 평균 이상 먹어보려다 낭패봄.

3. 물론 착실하게 연구하고 공부한다고해서, 음식이 맛있다고 해서 반드시 성공을 보장해주지도 않음.
Lord Be Goja
23/11/24 11:47
수정 아이콘
자영업자분들이 사업가로 성공해야지보다는 할수있는게 남은게 없어서 선택한게 워낙 많고..급여받는 분들도 어떻게 하면 인정받는지,어떻게하면 능력이 더 올라가는지 정도야 알지만 그렇게 안하는(못하는)분들이 더 많죠.

한국은 내가 창업하면 성공하겠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은 나라입니다.(전에 슈카월드에서 보니 일본의 절반수준임)나이브한 마인드로 창업하는게 아니라 어쩔수없이 하는분이 많아요.
Jedi Woon
23/11/24 16:05
수정 아이콘
주식은 지수추종 ETF 를 하면 최소한 시장 상황에 따라가서 이익이 생길 수 있는데, 자영업을 도처에 함정 투성이와 지뢰밭이 깔려 있죠.
장사의 신 유튜브를 보면 기본 마인드가 안 된 사람부터 요령 없어서 고생하는 사람까지 정말 수두룩 하던데 창업할 돈으로 ETF 에 넣어두면 최소한 쪽박 찰 일은 없을 거란 생각이 드네요.
가만히 손을 잡으
23/11/24 11:43
수정 아이콘
이분은 이쪽에서도 또 탑티어라.
롯데리아
23/11/24 11:44
수정 아이콘
저런 분도 빵집 한식집 말아먹었다는거?
인민 프로듀서
23/11/24 11:45
수정 아이콘
남의 지갑 선뜻 열게 만드는게 보통일이 아니죠.
가성비충
23/11/24 11:47
수정 아이콘
역시 말아먹어봐서... 크크..
시라노 번스타인
23/11/24 11:48
수정 아이콘
장사란 것이 실력과 경력과는 별개로 망하기도 하고 흥하기도 합니다만,
저런 분석력이 있어야 흥해도 흥한 이유를 알고 망해도 망한 이유를 분석할 수 있다는 게 큰 차이죠.
생각보다 그 차이가 꽤 크더라구요.
23/11/24 11:52
수정 아이콘
뭐 저런다고 다 성공하는건 아니지만
장사할려면 진짜 최소한의 준비는 필요하죠
츠라빈스카야
23/11/24 11:55
수정 아이콘
몇 달 전에 을지로 롯백 갔더니 지하 식당가에 매장 오픈하면서 왔는지 우연히 직접 봤는데, 냉장고를 부탁해 때 귀엽고 웃는 상만 보고 생각하던 모습보다 덩치가 엄청 크더군요. 키 180 중후반에 체중은 100근처는 돼보였음...
사나없이사나마나
23/11/24 12:02
수정 아이콘
...? 다른 사람을 잘못 보신 거 아닐까요? 인터넷에도 키 173으로 나오고 화면상으로도 커보이는 느낌이 전혀 없는데...
츠라빈스카야
23/11/24 12:06
수정 아이콘
키가 크긴 커보였는데 헛것을 봤나...;
23/11/24 12:35
수정 아이콘
사실 보고 느끼는건 상황에따라 정말 달라보일수 있습니다.
보셨을때 근처에 다 작은사람만 있었다던지.. 크크
안창살
23/11/24 19:49
수정 아이콘
실제로 몇번 봤는데 진짜 덩치 엄청 큽니다.
츠라빈스카야
23/11/24 19:59
수정 아이콘
그죠? 제가 잘못 본 거 아니죠?
돔페리뇽
23/11/24 11:57
수정 아이콘
백종원도 그렇고...
결국 경험이 짱입니다.
다들 말아먹으면서 배우는거에요 ㅠㅠ
23/11/24 12:22
수정 아이콘
정용진씨의 경험치통은 고고히 차오른다...
23/11/24 16:01
수정 아이콘
경험 : EXP
밑천 : HP
레벨업 하면 풀피 되는데 꼭 직전에 죽음 ㅠ or 레벨업 하고 풀피 돼서 파밍 생략하고 다음 사냥터로 갔다가 죽음 ㅠ
23/11/24 12:06
수정 아이콘
저한텐 먹히지 않는 가게겠지만 저런 고민이 필요하겠죠. 근데 요즘은 저렇게 해도 시장이 너무 안좋아서 안되는집도 많을거같아서 안타깝네요
부스트 글라이드
23/11/24 12:09
수정 아이콘
컨설팅은 성공케이스도 중요하겠지만 실패케이스 사례를 기본으로 깔고가야해요. 장사에서 기본기는 실패 케이스에서 더 크게 작용하니
23/11/24 12:41
수정 아이콘
수업료 비싸게 주고 배운거죠.
저렇게 했어도 방송을 통한 인지도가 없었으면 성공을 보장할 수 없었을 겁니다, 한남동에서.
23/11/24 12:47
수정 아이콘
자영업자 뿐 아니라, 일반 회사원도 저정도 생각하고 일하는 사람은 성공합니다.
그리고 불필요한 사족 하나 달자면, 저렇게 생각하고, 실천하면서, 노력하는 사람들도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실패할 수도 있다는 거죠. 당연한 것이겠지만, 저렇게 노력하지 않았는데도, 성공하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습니다. 운이 좋아서, 누군가 도와줘서, 수저를 물고 태어나서, 어쩌다가 등등등 말이죠.

제가 살아오면서 비율로 따지면, 궁리하고, 노력하고, 실천해서 성공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음에도 성공하는 사람이 7:3 정도 되더군요. 그리고 반대의 경우 저렇게 했는데도 실패하는 사람과 저렇게 하지 않아서 실패하는 사람의 비율은 1:9 정도 되더라고요.
무슨 말이냐면, 성공은 모르겠는데, 망하는 건 잘되더라고요.

진짜 마지막으로 이건 재미있던 건데, 노력하지 않고 성공한 다음에 그걸 지키기 위해서 저렇게 노력했다가 망한 사람도 있습니다. 이걸 보면 보면 으잉? 할 수도 있는데요. 정말 그런 사람들도 많이 봤습니다. 그래서 세상은 복불복일지도 모릅니다.
23/11/24 16:43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걸 다섯글자로 줄이면 "확률적 사고"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노력은 성공할 확률을 높여주는 것이지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고 노력을 하지 않는 것도 실패할 확률을 높여주는 것이지 실패를 보장하는 게 아니구요. 다만 우리네 인생이란게 한 번 사는 인생이기 때문에 100번중 99번 성공하고 1번 실패할 확률이라도 내가 그 1번에 걸리면 복불복 소리가 입에서 나오게 되죠 크크..
No.99 AaronJudge
23/11/24 16:47
수정 아이콘
와…..
그렇군요……
23/11/24 12:48
수정 아이콘
저정도로 치밀하게 준비해야 성공확률 5~10%쯤은 올라가지 않을까..

예전에 이대쪽 프로젝트할때 이분 빵집있대서 가봤는데 방송은 푸근한 푸우느낌이었는데 실제로는 뭔가 포스가 있더군요.
23/11/24 12:48
수정 아이콘
반대로 생각하면 저정도 준비를 해도 사업을 확실하게 성공한다고 보장 할 수 없는데

준비 하나도 없이 맨땅에 헤딩하는 자영업자들이 얼마나 무모한지 알 수 있죠
무딜링호흡머신
23/11/24 12:54
수정 아이콘
장사의신 봐도 진짜 노력많이 하고 맛있고 싼데도 망하기 직전인 집 있죠

공부하라는 이유가

물론 공부도 노력과 성취가 무조건 정비례하는건 아닙니다만, 다른 분야에 비하면 그래도 정직한 편이라 그렇습니다.

소수의 천재들, 재능러들 보내고 나면
이겨야한다vs딸깍 같은 상황은 안나옴
그래도 하는 만큼 부근은 갑니다
바람의바람
23/11/24 13:2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요즘은 그냥 마케팅이 90퍼 이상 같아요
저같이 가성비 좋아하는 사람이 찾는 맛집은 진짜
박리다매하지 않음 적자고

그냥 인스타 감성 혹은 방송 출연해서 인지도 올리면
말도 안되는 가격에 팔아도 줄서서 먹는 맛집이 되니
똑같이 성공했어도 마진이 장난 아니게 차이나죠
23/11/24 13:44
수정 아이콘
노력은 당연히 해야 하는거고...
엄청나게 연구하고 노력해도 망하는 집이 수두룩한 단계까지 지금 와있죠.
23/11/24 13:44
수정 아이콘
시작은 그래도 이정도면 되지 않나 싶은데 참 어려워보이긴합니다 크크
인스타 방송 이것만으로도 된다는게 크크
스물다섯대째뺨
23/11/24 14:16
수정 아이콘
자영업하면서 부푼 가슴 안고 이거저거 계획하고 경우의 수 생각해둬도 일단 손님이 와야 보여줄 수 있다는 냉정한 현실을 겪을수도 있고, 대~충 해도 대~충 만족하는 손님들 덕분에 그럭저럭 먹고살만한 경우도 많고, 손님이란 정말 어렵고 힘든거 같습니다.
23/11/24 15:15
수정 아이콘
저렇게해도 성공 확률이 높지 않다는걸 사람들은 인정하지 않죠.
제가 자영업자를 꿈도 안꾸는 이유입니다.
트리거
23/11/24 16:01
수정 아이콘
요식업 기준 소규모 자영업자는 이거만 지키면 막 잘되는건 몰라도 망하진 않아요.
1. 맛
2. 위생
3. 친절함
4. [마케팅]
이제 여기서 플러스 알파로 인테리어나 이원일쉐프가 말한것같은 디테일이 들어가는거죠.
Jedi Woon
23/11/24 16:07
수정 아이콘
백종원의 장사의 신을 보면 장사, 특히 음식장사가 정말 힘들고 어렵구나라고 느껴집니다.
수완이 필요하고 좋아야 하는데, 이걸 갖췄다고 100% 성공하는게 아니다보니 정말 장사 쉽게 할게 아니다고 느끼죠.
Starry night
23/11/24 16:12
수정 아이콘
저렇게까지 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드시는 분들은 자영업 하시면 안됩니다.
저런 고민이 기본이고, 거기에 나만의 특별한 무언가가 있어야 살아남아요.
23/11/24 16:21
수정 아이콘
자영업은 잘 팔 줄 알아야죠.
남에게서 돈을 받아내는 걸 어색해 하면 안 되요.
뭘 해 줄려고 하지 말고 어떻게 하면 거부감 없이 돈을 내게 하는가 그게 제일 중요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1014 [기타] (얏후) 새술은 새부대에 담아야지. [14] 캬라14567 23/11/26 14567
491013 [기타] 대민 업무가 힘든 이유 [24] 닉넴길이제한8자14912 23/11/26 14912
491011 [유머] 일본 유명 여배우 야마기시 아이카 은퇴. [14] 캬라15788 23/11/26 15788
491010 [기타] 응, 환경부 지침~ [22] BTS16150 23/11/26 16150
491009 [연예인] 고려거란전 양규역 배우 의외의 과거.JPG [19] insane11746 23/11/26 11746
491008 [LOL] 페이커 대 룰러 탁구 대결 [3] 반니스텔루이9998 23/11/26 9998
491007 [음식] 얼큰한 칵테일 [4] 카미트리아12127 23/11/26 12127
491006 [LOL] 갑자기 아리 팬아트 공모를 진행하는 라이엇 [15] 버스탈땐안전벨트10293 23/11/26 10293
491005 [기타] 대놓고 페미 인증한 웹툰 작가.jpg [6] insane15124 23/11/26 15124
491004 [게임] 이쯤에서 다시 보는 림버스 컴퍼니 명대사 Schna8755 23/11/26 8755
491003 [유머] 미국 팁문화 근황 [8] 우주전쟁14790 23/11/26 14790
490998 [기타] 블랙프라이데이 [내용삭제] [32] 퀀텀리프14393 23/11/26 14393
490997 [기타] 12/12 사태때 장군들의 현장육성 [2] coolasice10239 23/11/26 10239
490996 [LOL] CSO를 구인중인 DRX [10] Pzfusilier9468 23/11/26 9468
490995 [기타]  고려거란전쟁) 흥화진 전투 스틸컷 [5] insane10536 23/11/26 10536
490994 [방송] 고려거란전쟁)거란군을 맞이하는 양규 [8] 카루오스10395 23/11/26 10395
490993 [방송] 고려거란전쟁)고려 거란의 동원령 [3] 카루오스8669 23/11/26 8669
490992 [기타] 검증된 쾌변을 위한 자세 [7] 니체11222 23/11/26 11222
490991 [방송] [데이터]고려거란전쟁)부월을 하사받고 출전하는 강조 [12] 카루오스10552 23/11/26 10552
490990 [방송] 오늘 고려거란전쟁(5회)이 짧게 느껴졌던 이유 [6] 로켓9676 23/11/25 9676
490988 [동물&귀욤] 완전 순한 거대 뚱냥이.jpg [4] insane10047 23/11/25 10047
490987 [방송] 또 사고낸 KBS 스트리밍 [2] SAS Tony Parker 12078 23/11/25 12078
490986 [방송] 고려거란전쟁)오늘 마지막 장면 [39] 카루오스13362 23/11/25 133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