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1/23 17:21:00
Name 묻고 더블로 가!
출처 펨코
Subject [LOL] 올해 1-1-1-3을 달성한 징동의 현재 인기를 알아보도록 하자


1QGK4XT.jpg


7MxvmHH.jpg


Y6HGM11.jpg


iKZXklG.jpg


o5DGZSq.jpg


그만 알아보도록 하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코리엠
23/11/23 17:22
수정 아이콘
진짜 IG가 LPL에 미친 영향이 너무 크네요.
인기짱
Liberalist
23/11/23 17:23
수정 아이콘
하... 징동은 인기가 없어도 너무 없기는 하네요. 웨이보는 저것만 봐서는 인기가 거의 갤주팀 수준인 것 같고;;
23/11/23 17:23
수정 아이콘
닝 인기는 진짜... 미 친 개
23/11/23 17:23
수정 아이콘
다 알아본거 아닌가요
23/11/23 18:2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
핫포비진
23/11/23 17:24
수정 아이콘
18IG가 진짜 몇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그냥 압도적이네요
23/11/23 17:25
수정 아이콘
와 룰러 인기가 진짜 적네요...
앨마봄미뽕와
23/11/23 17:26
수정 아이콘
카나비, 룰러 조차도 인기가.. 선수들 좀 힘빠지긴 하겠네요.
23/11/23 17:28
수정 아이콘
중국 첫롤드컵 우승+모든팀 다 뚜까패고 우승+한국에서 우승 등등 여러개 합쳐진거 아닌가 싶네요.
ig랑 edg인기가 엄청나네요.

이거 넘는 방법: 롤드컵에서 티원 다전제에서 이기고 우승
참 쉽죠?
23/11/23 17:30
수정 아이콘
옆동네 후속글 보니까 결국 바오란도 1위로 올라왔습니다 크크크크크크크크
ioi(아이오아이)
23/11/23 17:33
수정 아이콘
롤드컵 우승을 못했는데 1113 했다고 인기가 많아지면 그게 더 신기하다고 생각

당장 젠지가 스프링 섬머 우승했다고 성공한 시즌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얼마나 있다고
담배상품권
23/11/23 17:48
수정 아이콘
냉정하게 보면 실패한 시즌이죠.
Capernaum
23/11/23 17:34
수정 아이콘
WBG 중국 인기 멤버 총집합 이었군요

근데 3대0 후덜덜
지니쏠
23/11/23 17:44
수정 아이콘
원래 인기있는 멤버가 아니라 더샤이팀+결승 빨 인것 같아요. 페이커팀 선수들이 늘 인기 상위권이듯…
Bronx Bombers
23/11/23 17:46
수정 아이콘
샤오후랑 크리스피는 더샤이정도까진 아니더라도 원래 인기 많았어요.
웨이보가 이번에 4시드로 와서 그렇지 선수들은 원래 LPL 내에서 손에 꼽는 스타들이라
무냐고
23/11/23 18:17
수정 아이콘
크리스피는 잘생겨서 인기 많았고
샤오후는 원래 위에 루키 도인비 스카웃 깔고 가지 않았나요?
Bronx Bombers
23/11/23 18:21
수정 아이콘
루키는 확실히 샤오후보다 인기 많았고요. 도인비는 서양은 몰라도 중국 내에서는 인기 BJ 보는 느낌으로 인기가 많은거지 이런 종류의 투표에서 순위가 높은 적이 별로 없었을 겁니다.

LCK T1 젠지처럼 LPL 근본팀이라 하면 EDG RNG 이 두 팀인데 스카웃은 EDG의 프랜차이즈 스타임에도 생각보다 인기가 별로였던게(그래도 루키 다음급으로 쳐줄만 합니다) 스토브리그때 매년 와리가리하는걸 중국팬들이 더 체감하고 있어서......반면 샤오후는 어찌 됐건 그런 면에서는 잡음이 없어서 RNG팬들이 샤오후 개인팬으로 많이 건너갔어요.
무냐고
23/11/23 18: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냥 본인 생각 아니신가요..
21년 22년 모두 샤오후는 미드 3위안에 없었네요
-------------
앗 수정합니다.
나 리쉬안하오는 21년에 탑 3위였네요 크크
Bronx Bombers
23/11/23 18:28
수정 아이콘
21은 샤오후가 탑이었고 탑에서 3위였구요(4위랑 3배차이인가 그랬음). 22는 4위였는데 그 다음순위인 야가오보다 표가 2배 이상 많았을 겁니다. 적어도 원래 인기 없었는데 올해 잘해서 반짝 올라온 선수는 아닙니다. 뭐 우지 은퇴 전에는 그닥 인기도 별로였던 선수는 맞습니다만 그 뒤로는 뭐.....
무냐고
23/11/23 18:38
수정 아이콘
22년에 2배 차이난다는 야가오와의 차이가 3위와의 표차이랑 비슷한거 같더군요.
커리어가 있는데 아예 노베이스는 아니어도 이번 2위는 결승 반짝효과 맞죠..
포커페쑤
23/11/23 17:36
수정 아이콘
바이퍼는 인기좀 있지않았나요? 저게 있었으면 몇위했을라나요
아이군
23/11/23 17:38
수정 아이콘
이겼으면....
닉네임을바꾸다
23/11/23 17:38
수정 아이콘
3세트 토스가 실패했다면...
몽키매직
23/11/23 17:40
수정 아이콘
IG 우승의 충격이 엄청나긴 했나봅니다.
뿔뿔이 흩어져도 최애 1팀으로 모여있네...
Zakk WyldE
23/11/23 17:44
수정 아이콘
이스탄불의 기적을 보고 팬이 되었으니
이해가 되네요.
23/11/23 17:47
수정 아이콘
한국이든 중국이든 월즈망겜...
봄바람은살랑살랑
23/11/23 17:48
수정 아이콘
근대 저래도 msi 정도 때 이미 선수들 연봉은 다 메웠다고 하니, 18ig 시절엔 수입이 어느정도였을지 궁금하네요;
23/11/23 17:59
수정 아이콘
성적과 인기가 항상 정비례하는건 아니니까요.
승률대폭상승!
23/11/23 18:08
수정 아이콘
아니근데 blg도 한국 1시드 탈락시켰는데 순위권에 별로 없는
Bronx Bombers
23/11/23 18:10
수정 아이콘
포지션별로 3위 안에 드는 선수가 셋인데 저 정도면 나쁘지 않은 평가라 봅니다
애시당초 BLG에는 프랜차이즈라고 부를만한 선수가 없었는데 올해 한 해 대 LCK전 5전제 전승이라 많이 올라온거죠
다레니안
23/11/23 18:22
수정 아이콘
와... 만일 징동이 결승가고, 징동이 웨이보 잡고 우승했으면 중국 분위기 소위 말해 곱-창 났곘네요. 크크크크크크크크크
세상을보고올게
23/11/23 18:49
수정 아이콘
더 샤이가 압도적이네요
이유가 뭔가요?
마감은 지키자
23/11/23 19:19
수정 아이콘
18IG의 핵심 멤버+인게임 퍼포먼스+중국 탑풀을 변화시킨 선수 등의 이유일 겁니다.
23/11/23 20:47
수정 아이콘
우리도 전성기 너구리 그리워하는거랑 비슷합니다.
트리거
23/11/23 19:40
수정 아이콘
이번에 웨이보가 우승햇다면 더샤이 인기 하늘 뚫었겠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540 [LOL] 씨맥 근황.jpg [1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0008 23/12/24 10008
492532 [LOL] GUMA is just better [5] 네야8833 23/12/23 8833
492516 [LOL] 고스트의 프로생활 은인 [11] Leeka8988 23/12/23 8988
492492 [LOL] 르블랑이 되어버린 페이커 [4] 제가LA에있을때8918 23/12/23 8918
492483 [LOL] 강찬밥이 정리한 본인의 커리어 [7] Leeka11129 23/12/22 11129
492482 [LOL] [이구동성] 젠G? 박G? [7] Leeka8917 23/12/22 8917
492481 [LOL] 3년째 중국만 특혜받은 MSI [6] Leeka10884 23/12/22 10884
492470 [LOL] 페이커, 롤드컵 우승 기념 스킨을 아리가 아닌 오리아나로 선택 [28] 매번같은8810 23/12/22 8810
492449 [LOL] 대놓고 정치활동해도 욕 안먹는 프로게이머 [14] Leeka9604 23/12/22 9604
492421 [LOL] 쵸비가 유일하게 사건 사고를 겪지 않은 프런트 [21] 飛鳥馬時10782 23/12/21 10782
492417 [LOL] 구마유시...뻥쟁이...(2024 개막전...) [9] Janzisuka9297 23/12/21 9297
492416 [LOL] LCK가 2부리그인 이유 [23] Leeka10528 23/12/21 10528
492414 [LOL] 한국 vs 중국 국제대회 Bo5 다전제 상대전적 정리 [16] Leeka9304 23/12/21 9304
492411 [LOL] 롤 프로팀 공중파 뉴스 또 입성 [15] Leeka9369 23/12/21 9369
492407 [LOL] 네이버 이스포츠 롤 최상단 뉴스 [28] 카루오스9961 23/12/21 9961
492368 [LOL] 젠지가 말한 "영토의 무결성"을 이미지로 보게 되면.jpg [25] 매번같은11555 23/12/21 11555
492363 [LOL] DRX : "이겨야한다" [38] 무딜링호흡머신11842 23/12/20 11842
492356 [LOL] 2023 자낳대 시즌2 경매 결과 [25] 길갈9603 23/12/20 9603
492344 [LOL] 대만 롤갤 반응.jpg [16] 블랙보리10952 23/12/20 10952
492327 [LOL] 2023 알콜장전(feat.스맵) [4] 길갈11135 23/12/20 11135
492267 [LOL] 전 T1 선수-스트리머 운타라 근황 [21] MurghMakhani9957 23/12/19 9957
492158 [LOL] 중계방이 되어버린 데프트방송 [6] 제가LA에있을때11019 23/12/17 11019
492148 [LOL] 지난 월즈 결승 후 인상적이었던 장면... [6] 진산월(陳山月)9880 23/12/16 98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