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9/17 19:42:09
Name 아수날
출처 fmkorea
Subject [유머] 산을 빠르게 깎을수있다면 부산의 경제는 더 발전했따?
image.png 산을 빠르게 깎는 기술 있었으면 부산의 경제가 발달했음?



부산에 은근 산이 많이 있나요? (진짜모름)




image.png 산을 빠르게 깎는 기술 있었으면 부산의 경제가 발달했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9/17 19:44
수정 아이콘
네 부산지하철 전철길만 땅이고 나머진 산이라고 봐도 무방할정도입니다...
23/09/17 19:44
수정 아이콘
산이 많이 있는 곳이 아니라 도시 자체가 산인 도시죠
꼬마산적
23/09/17 19:44
수정 아이콘
산은 모르겟고
터널은 겁나 길고 많음
사람되고싶다
23/09/17 19:45
수정 아이콘
부산은 사실 커지면 안되는 도시인데 피난민들이 확 몰려오더니...
디쿠아스점안액
23/09/17 19:47
수정 아이콘
이게 맞죠... 도저히 도시가 커질 입지가 아닙니다...
No.99 AaronJudge
23/09/17 21:53
수정 아이콘
사실 지형 자체가 막 엄청 커질 그게 아니었는데 크크
23/09/17 19:46
수정 아이콘
뭐 서울도 일본 도쿄에 비하면 평지는 작죠. 크크크
23/09/17 19:47
수정 아이콘
기장 생긴것만봐도 어메이징 하죠 크크크크
저는 거기가 그렇게까지 발전할지 몰랐음
이오니
23/09/17 19:47
수정 아이콘
울 어무니가 자취방 잡아줄 때 한 번 같이 간 후....
졸업할 때 까지 안오시더라구요.
남행자
23/09/17 19:48
수정 아이콘
부산의 산이 山이죠
자가타이칸
23/09/17 19:48
수정 아이콘
부산 한자가 富山 아닌가요? 산부자..
23/09/17 20:00
수정 아이콘
도끼 부 씁니다.
자가타이칸
23/09/17 20:06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산이 워낙 많아서...
ItTakesTwo
23/09/17 21:00
수정 아이콘
아마 도끼 부 가 아니라 가마솥 부 일겁니다.
부산포 옛 터에서 바로 보이는 증산이란 산이 가마솥 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가마솥 부 쓰는 걸로 압니다.
23/09/17 21:29
수정 아이콘
헉 선생님 말씀이 맞습니다. 부산 40년 사는데 왜 전 갑툭튀해서 헛소리했을까요? 헉헉
23/09/17 19:51
수정 아이콘
부산 자체가 산이 많아서 부산이라는 이름이 생긴 동네인거라
부스트 글라이드
23/09/17 19:51
수정 아이콘
부산 위성사진 보시면 진짜 답 안나옵니다. 산이 정말 많고, 이미 다 개발된 상태고 지을곳이 없어요.
인프라 놓기에도 다른지역보다 더 돈이 많아나가고 효율적이지도 못해요.
23/09/17 19:51
수정 아이콘
저기만이 아니라..우리나라 자체가 산 빠르게 깍아낼 수 있는 기술 있으면 쓸 곳 천지죠..
비뢰신
23/09/17 19:52
수정 아이콘
터널 개많음 ㅜㅜ
꿀꽈배기
23/09/17 19:52
수정 아이콘
서울도 산을 좀...
아밀다
23/09/17 19:54
수정 아이콘
우공이부산
숙성고양이
23/09/17 19:57
수정 아이콘
강원도보면 싹 밀어버리고 싶긴 합니다.
김티모
23/09/17 19:58
수정 아이콘
부산이 전국 도시중에 도로율 꼴지를 몇십년째 유지중입니다. 그때 라디오로 들었었는데 관계자가 나와서 개탄을 하는게
부산은 건물을 싸그리 다 밀고 도로로 만들어도 산 때문에 정체 해결이 힘들다고 하더군요 크크크
23/09/17 20:00
수정 아이콘
부산이 지형적 구조가 저곳뿐만이 아니라서 부산권 성장을 위한 투자에 대해 회의적이기도 합니다. 제가보기엔 지금 부산도 감내할수있는 면적에 비해 과밀이라고 생각되서 인구감소가 필요하려면 했지 여기서 더 키우는건 무리수같다고 봐서 말이죠.
구름달
23/09/17 20: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래서 현재 부산에서 주력으로 개발되는 곳은 모두 외곽지역 입니다. 강서구 명지부터 기장 등 바닷가 근처 평지죠. 약한 지반으로 개발이 힘들었던 것도 건축기술 발달로 극복되고 있구요.
D.레오
23/09/17 20:06
수정 아이콘
왠만한 학교도 죄다 산에 있습니다.
23/09/17 20:07
수정 아이콘
어릴 때 부산 처음 갔을때 제일 임팩트 컸던게 가파른 산,언덕 지형에 20층 넘는 아파트 박혀 있는 곳이 여러 군데 있던거 였는데
그래서 그런가 아직도 부산하면 해운대랑 저게 제일 먼저 떠오르네요.
다시마두장
23/09/18 05:49
수정 아이콘
저도 서른 넘어서 처음 부산을 갔는데 느낀게 딱 이거였습니다.
이국적이라는 인상을 받을 정도였어요 크크
아기공룡씽씽카
23/09/17 20:10
수정 아이콘
제가 수도권에만 살다가 작년에 부산으로 이직했는데 산 진짜 많습니다.

여기서 처음에 방 구하는데 홍보문구에 [평지] 이렇게 써있는거 보고 뭔 소린가 했는데 와보니까 알겠더라고요.

대학들도 다 산 따라 올라가면서 건물이 있고, 역 근처 큰 길에서 한 블록만 안쪽으로 들어가면 언덕길입니다.
그리고 아파트들도 태반이 산 따라 올라가면서 지어놓았더라고요.
블래스트 도저
23/09/17 20:16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평지가 좀 보이는 서쪽은 공항이 떡 막고 수문장 하고 있는데다 삼각주라 지반도 약해서
김해공항 이전한다고 개발이 잘 될지도 의문
TWICE NC
23/09/17 20:21
수정 아이콘
1층 가려면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야 하는 아파트들도 군데군데 있다는...
麴窮盡膵死而後已
23/09/17 20:26
수정 아이콘
괜히 브역대신[평]초가 아니죠 크크크
부산도 이제는 노인과 바다 이미지라,, 젊은 분들 얼마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세피롱
23/09/17 20:28
수정 아이콘
원래 과거 전통적인 의미에서 부산은 지금 부산 바닷가 근처
부산포 지역이었구요.
거기서 내륙으로 들어오는 곳에 동래 라고 다른 행정구역이
존재 했었는데 구한말 개화기 시절에 일본이 부산포를
조차지역으로 꿀꺽 삼키곤 그걸 중심으로 동래까지 집어 삼켜서
지금 부산의 행정구역 토대가 만들어 진 경우라서요.
고을과 고을 사이에 원래 산이 첩첩이 있던 곳을 다 뭉뚱그려
하나의 도시로 만들다보니 말이 하나의 도시지 그 안에는
산이 잔뜩 있을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인거죠.
23/09/17 20:31
수정 아이콘
중학교때 부산에서 새해 일출보겠다가 뒷산에 올라서 보니 부산사람들은 산골짜기에서 사는 모습이더라구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3/09/17 20:33
수정 아이콘
서울에 깎고 싶은 산 참 많을텐데 산 싸고 빠르게 깎는 기술 나오면 머 부터 깎을까요 크크크
파프리카
23/09/17 20:36
수정 아이콘
덕분에 운전 스킬은 발전했습니다?
티타임
23/09/17 20:36
수정 아이콘
저건 별거 아니죠. 부산은 도저히 깎을수가 없는 산들이 수두룩하죠
ComeAgain
23/09/17 20:48
수정 아이콘
산을 싸고 빠르게 깎을 수 있으면
부산 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에 큰 도움이었겠죠
ItTakesTwo
23/09/17 20: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부산이 괜히 대도시 치고 도로망이 똥인 이유죠ㅡ.ㅡ
윗 분 말씀대로 지하철 제외하곤 사실상 다 경사로라고 보시면 되고 다만 최근 개발되고 있는 서부산권의 명지나 대저 쪽은 평지이긴 합니다. 즉, 저기 빼곤 다 산이라 보시면 됩니다 ㅡ.ㅡ
23/09/17 21:30
수정 아이콘
아파트 단지 올리는 비용보다 지하 까는 토목 비용이 더 많이 든다는 소리도 있죠.
라울리스타
23/09/17 21:38
수정 아이콘
인천은 부산과 정반대로 간척으로 인한 평지 무한 확장 중...계양산을 제외하고는 죄다 동네 언덕 수준이고 평지만 가득
간척지는 땅 보상해줄 필요도 없어서 공항, 항구, 산업단지, 신도시를 빠르고 싸게 공급 가능

그러나 무한 멀티의 부작용은 원도심 쇠퇴화의 가속화였지요...

이렇게 보면 지역 발전의 힘은 지형도 아닌, 국가에서 대놓고 밀어주는 강남과 얼마나 가깝냐...이거 하나 뿐인 듯 싶습니다.
23/09/17 21:41
수정 아이콘
산이 불쌍하다고 느끼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네요. 크크크크
부산 정말 산이 많더라구요. 그냥 뭐랄까.. 도로가 굉장히 비효율적이랄까.
지도로만 봤을때는 실감을 못했는데 직접 가보니 음.. 풍경이 뭔가 깔끔하지 못한 느낌? 여기에 산이?? 근데 여기에 도로와 아파트가..?
리클라이너
23/09/17 22:01
수정 아이콘
이런 상황인데 큰 평지인 강서구는 그린벨트로 오랫동안 묶여 있었고.... 애효 정말....
wersdfhr
23/09/17 22:26
수정 아이콘
살면서 가본 부산이 김해공항이랑 벡스코 딱 둘뿐이라 몰랐는데

산 엄청 많더라고요;;;
플리트비체
23/09/17 22:32
수정 아이콘
수도권 용인서울고속도로조차 체감상 절반이 터널이더라구요 이런걸로 평지대비 아쉽게 날아가는 돈이 얼마나 클지 ㅠ
구라리오
23/09/17 22: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백양산, 금정산......
부산 북구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서 그런지 저 산들보면서 자랐습니다.
웃긴건 다른 동네 가서 저 산 이름이 뭐야? 해도 백양산이라고 해서 산은 다 백양산인줄 알았습니다.
23/09/17 22:48
수정 아이콘
바닷가인데 산이 많다는게 좀 아이러니한듯. 이런곳이 다른 나라에도 많나?
자리끼
23/09/18 10:14
수정 아이콘
강원도 바닷가는 다 그래요..
23/09/17 22:51
수정 아이콘
부산은 솔직히 그 지형이면 아무리 높게쳐줘도 100만이 적정선인 지역인데 2도시라서 380만까지 간게 과포화수준이었죠
wish buRn
23/09/17 23:40
수정 아이콘
동래군 부산부였는데,
부산이 전체 지역명으로 바뀌었다네요.

서울이 북한산시,관악시가 된격이라나
23/09/18 00:03
수정 아이콘
바다/해수욕장 이미지 때문에 간과하시는 분이 많은데, 부산의 70%는 산입니다.

부산 살먄 눈 뜨면 바다 보냐는 소리 할 때마다 답답해요.
23/09/18 09:32
수정 아이콘
금련산 황령산만 보면 날려버리고 싶었죠
고오스
23/09/18 10:07
수정 아이콘
부산 지하철 노선 지도를 보세요

노선에서 멀리 떨어진 대부분의 지역이 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강서구 제외)
바카스
23/09/18 11:26
수정 아이콘
빙하기 오면 큰일날 도시
성배hollyship
23/09/18 12:44
수정 아이콘
부산지도 그리는 법..
손가락 쫙 벌린 손을 턱 내려놓습니다.
손가락 끝쪽으로 반호를 그립니다.
네.. 완성입니다.
23/09/18 14:22
수정 아이콘
학교랑 아파트 자체가 산에 다 있습니다.
허벅지 튼튼해지고 진짜 차 고장나면 죽음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7285 [유머] 한탕하자는 부모님.x [30] 졸업12148 23/09/23 12148
487284 [서브컬쳐] 삼촌들이 보던 판타지 소설이 웹툰으로 [51] 졸업9139 23/09/23 9139
487283 [LOL] 월즈 한정판 월즈 티버 인형/월즈 티모 피겨 출시 [3] Valorant5974 23/09/23 5974
487282 [기타] 아이폰15 프로맥스 힘줘서 구부리는 영상 [10] Valorant8425 23/09/23 8425
487281 [게임] 국내에서 어떤 게임이 더 인기 많았나 불탄 논쟁 [313] 프로불편러15989 23/09/23 15989
487280 [유머] 운전할때 힘든점.. [38] 데마이닝10600 23/09/23 10600
487279 [유머] 유엔 설립 초기 당시 강대국들의 기싸움 [5] Myoi Mina 8961 23/09/23 8961
487278 [기타] X, 혁신적인 리브랜딩에 첫 걸음 [10] Lord Be Goja8115 23/09/23 8115
487277 [유머] 32만명이 투표한 가장 좋아하는 97년생 인플루언서 [15] Myoi Mina 11463 23/09/23 11463
487276 [유머] 폼페이 유적에서 발견된 낙서 [13] 길갈9994 23/09/23 9994
487274 [게임] 우리와는 사고방식 자체가 다릅니다 [19] 묻고 더블로 가!11601 23/09/23 11601
487273 [유머] 가라 피카츄! [4] 공기청정기7904 23/09/23 7904
487272 [유머] 플스 5를 숨기려는 이유 [9] 쎌라비11568 23/09/23 11568
487271 [기타] 한 달에 1000곳씩 문 닫는다는 업종 [46] 쎌라비14708 23/09/23 14708
487270 [기타] 회사 별 추석 떡값 [35] 닉넴길이제한8자11903 23/09/23 11903
487269 [유머] 나도 모르게 상품을 결제한 네이버.jpg [9] VictoryFood12447 23/09/23 12447
487268 [서브컬쳐] 재미있어진 저스티스리그 [19] 인민 프로듀서8846 23/09/23 8846
487267 [유머] 전설의 CGV 캠핑 패키지 [14] 달은다시차오른다10915 23/09/23 10915
487266 [유머] 일본 만화 근황 [19] 퍼블레인11275 23/09/23 11275
487265 [유머] 발을 씻다.manhwa [7] 메롱약오르징까꿍7453 23/09/23 7453
487263 [유머] 고양이는 가까이서 보면 귀엽고 [22] OneCircleEast9587 23/09/23 9587
487262 [기타] 신규 공무원 면직 증가에 13년만에 파격 조치 [121] 닉넴길이제한8자19054 23/09/23 19054
487261 [유머] 올드보이 거짓 스포당해서 거짓감옥에서 살아온 펨코인 [24] Myoi Mina 11390 23/09/23 113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