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9/15 13:02:11
Name Lord Be Goja
File #1 스톡.png (377.6 KB), Download : 13
File #2 감당.png (96.0 KB), Download : 4
출처 기글하드웨어 / 유니티 / 초이스탁 /메가크릿등
Link #2 https://gigglehd.com/gg/game/14869430
Subject [게임] 대박 터트린 소규모게임회사들 유니티에서 탈주중





원래 매해 20%~30%씩 증가시키던 지출규모를
비대면시대에 신난다고 너무 펌핑했다가 이제 감당이 안되서
쥐어짜려다가 미래는 확실히 말아먹은거 같네요

정책을 바꿨다는 말이 있어서 공식 블로그를 봤는데 최근 업데이트 기준으로는 알려진 그대로.
( https://blog.unity.com/kr/news/plan-pricing-and-packaging-updates )




정책에 대해 자세한건 아래에 있습니다

https://pgr21.com/free2/7806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9/15 13:06
수정 아이콘
어떻게 저런 사람이 ceo로 잘나가는 건지 단기 매출만 나오고 튀면 장땡 인가봐요
MissNothing
23/09/15 13:07
수정 아이콘
유니티가 흥한 이유를 정반대로;
빠독이
23/09/15 13:09
수정 아이콘
철회한다고 해도 앞으로 언제 무슨 짓을 할지 모르니..
Lord Be Goja
23/09/15 13:12
수정 아이콘
당장 철회하면 진짜 문제죠 1주일도 못보는 사람이 운영하는 회사를 어떻게 믿겠어요.. 파트너사도 다 도망가고 싶어질듯..
이게나라냐/다
23/09/15 18:04
수정 아이콘
철회 해야죠. 그런 자존심 권위 생각하면서 똥고집 부리면 그냥 망할건데
raindraw
23/09/15 13:09
수정 아이콘
전혀 상관없는 제가 보기에는 망할려는 정책 같아 보이는데 전문가이니 뭔가 생각이 있어서 저러는 거겠죠?
사람되고싶다
23/09/15 13:10
수정 아이콘
적당한 대체재가 있을라나요. 언리얼은 중소규모 PJ 돌리기엔 많이 빡세다던데.
-안군-
23/09/15 13:14
수정 아이콘
언리얼은 제대로 된 TA(테크니컬 아티스트)가 없으면 언리얼 특유의 그 퀄리티를 내는게 거의 불가능합니다. 인디개발사들이 그냥 모델링만 가져다가 붙이는 정도로는 유니티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유니티보다도 못한 퀄리티가 나오죠. 게다가 언어도 C++을 쓰기 때문에 프로그래머의 진입장벽도 높은 편이고요.
유니티는로는 적당히 뚜닥뚜닥 만들어도 평타는 치는 퀄리티가 나옵니다. AAA급의 게임 리소스가 들어가게 되면 퍼포먼스가 떨어지고, 최적화도 힘들고, 고급 쉐이더를 쓰기도 어려워지는 문제가 생기는데, 중소규모 회사에서는 어차피 그렇게 만들 일이 없죠.
사람되고싶다
23/09/15 13:22
수정 아이콘
사실 그래서 저렇게 질러버린 거 아닌가 싶어요. 게임 엔진 전체로 따져도 투탑인데 중소형 프로젝트에선 대체 불가능한 수준이니. '응~ 꼬우면 언리얼이나 자체 엔진 만들어 쓰든가~'
장기적으로야 이탈한 층 먹고 딴 엔진이 치고 오겠지만 사실 당장은 답이 없긴 하죠.
-안군-
23/09/15 13:27
수정 아이콘
그것도 있는데, 사실 이미 출시한 유니티 버전에는 저 정책이 적용이 안되고, 새 버전의 유니티 엔진 이후로 저걸 적용하겠다는 식으로 나왔으면 이정도로 들끓지는 않았을겁니다. 이전 버전으로 개발하던 개발사들은 그냥 만들어서 출시하고, 개발을 준비하는 개발사 입장에선 손익을 따져봐서 엔진을 결정하면 될 일이니까요.
문제는, 저게 현 버전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이미 출시되어 있는 모든 버전에 다 적용하겠다고 한거죠. 유니티 엔진에는 유저수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 통계를 내는 기능이 이미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미 출시된 버전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그걸 Unity AD 등의 광고 플랫폼에서도 사용하죠. 그걸 저딴식으로 써먹겠다는 겁니다. 살해협박 받을만 해요;;
Lord Be Goja
23/09/15 13:36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렇게 했다간
우리는 언리얼로 게임만들만큼 대단한걸 보여주려는건 아니지만
새로운 유니티의 새로운 기능을 꼭 써야 만들수 있는 게임을 개발하고 싶어!
싶을만한 회사는 없을거같아요
그러면 다들 구버전만 써서 저 어마어마한 연구비를 들인 신버전의 매출이 0에 수렴해버리지 않을까요..
-안군-
23/09/15 13:42
수정 아이콘
그런 생각을 분명히 유니티 내부적으로도 했을거고, 그래서 그 결과가 저런 정책인거겠죠.
그것보다도, 이미 구축된 생태계에서 단물을 쪽쪽 빨아먹고 싶은 생각이 더 컸을 것 같지만..
23/09/15 14:25
수정 아이콘
적당한지는 모르겠지만 예전에 Godot(https://godotengine.org) 이란 녀석을 좀 다뤄봤었습니다.
벌써 3년 가량 지나서 그동안 유니티도 godot도 많이 바뀌었겠고 두 엔진모두 찍먹만 한 수준이라 틀린 부분은 많을 수 있습니다.

유니티와 굉장히 인터페이스가 흡사하고 엔진코드가 오픈되어 있습니다. (C++)
게임 로직을 구현할 때 자체 스크립트 언어인 gdscript(python과 유사)를 지원합니다.
씬을 저장하면 바이너리가 아니라 tscn이라는 readable한 텍스트로 저장해줘서 불편하긴 하지만 git으로 diff를 보면서 리뷰가 가능합니다.
-안군-
23/09/15 13:11
수정 아이콘
이건 뇌피셜이긴 한데, 미국 회사들에서 간간히 나타나는 현상이, 저렇게 주가가 폭락하고 나면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이 분노해서 ceo를 갈아치우고, 주가 펌핑을 위한 방책으로 회사의 수익구조 개선을 요구하게 되죠. 그리고 그 ceo에게 옵션 형태로 주식을 왕창 안겨줍니다. 그러면 그 ceo는 주주들의 요청도 충족시키고, 자기 주식 가치도 올려서 엑싯할 생각으로 무지막지한 구조조정과 수익구조 개선을 단행하죠. 요즈음 유니티의 행보가 딱 그래보이고요.
23/09/15 13:12
수정 아이콘
이 난리의 장본인의 10년전 발언

"배틀필드를 6시간째 하는 플레이어에게 탄약이 떨어졌을 때 1달러에 재장전할 수 있게 한다면 아주 잘 팔릴 것이다. 10, 20, 30, 50시간이 지나 플레이어가 게임에 완전히 몰입한 상황이라면 이것은 폭리를 취하는 게 아니라 소비자의 몰입도에 걸맞는 가격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훌륭한 수익 모델이며 업계의 미래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3/09/15 13:34
수정 아이콘
와...사이코패스군요..
드러나다
23/09/15 13:42
수정 아이콘
화장실이 급한 사람에게 돈을 받고 출입증을 팔겠다는 거네요?
23/09/15 13:53
수정 아이콘
와.. 저렇게 유명한 사람을 데려다 쓰는 이유도 있겠죠? 유니티 망하지마...
영양만점치킨
23/09/15 14:29
수정 아이콘
배필에서 저러다가는 망하는거 아닌가요. 리니지같은 종류의 게임에서야 가능해도 fps에서 탄약은 핵심일텐데...
비뢰신
23/09/15 13:13
수정 아이콘
제정신이 아니네 탈주가 답이죠
앞으로 정말 뭔짓거리를 할지 모르는데
겟타 엠페러
23/09/15 13:17
수정 아이콘
신뢰할수 없는 사람과 같이 일할수가 없는법이죠
그래서 비지니스 할때 문제 안일으키려고 그렇게들 돈을 들이고 노력을 하는건데...
유니티는 그 반대로만 골라서 했네요
23/09/15 13:25
수정 아이콘
CEO는 당장의 그래프 보여주고 돈챙겨서 튀면 그만이니까요 떠난 후 기업이 망하든 시장이 붕괴하든 알 거 없음이죠
-안군-
23/09/15 13:29
수정 아이콘
어찌보면 전문경영자 체제의 단점이라 할 수 있겠죠.
오너사장이면 어차피 자기 인생과 함께할 회사라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회사를 경영하려 들텐데, 월급사장들은 옵션으로 받은 주식 펌핑해서 한몫 챙기고 엑싯하면 그만이니...
23/09/15 13:49
수정 아이콘
일반직원들도 마찬가지죠...돈벌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돈못버는 방향으로 의견 제시하거나 계획을 세울수 있는사람이 얼마나 될까요....ㅜㅜ
코우사카 호노카
23/09/15 13:21
수정 아이콘
이거 알고있던 높으신분들은 주식 미리 팔고 튀었다는 소문이 있던데...
밥과글
23/09/15 13:22
수정 아이콘
연구개발비가 전 해 매출액이랑 비슷하네요..제정신인가 크크크
김티모
23/09/15 13:23
수정 아이콘
근근히 버티고있던 연식 오래된 모바일게임 상당수는 이 정책으로 수명이 더 짧아지겠네요.
소전이나 벽람 한섭같은거 수익 많이 안 나도 꿋꿋하게 버티고 있었는데 싹 정리당할듯.
엘든링
23/09/15 13:24
수정 아이콘
과연 실크송의 운명은..
23/09/15 13:30
수정 아이콘
???: 좋아 발매를 미룰 구실이 생겼어
승률대폭상승!
23/09/15 13:25
수정 아이콘
망겜들 진짜 망하게 생김
Lord Be Goja
23/09/15 13:27
수정 아이콘
괜찮은게 진짜 망겜은 다시 다운로드 될일이 적어서.. (업데이트x 신규유저X)
23/09/15 13:29
수정 아이콘
그 게임 하던 유저가 아이폰 12에서 아이폰 15로 기변후 설치해도 다시 다운로드로 체크되서 비용이 나갑니다....
Lord Be Goja
23/09/15 13:31
수정 아이콘
건당 가격은 그렇게까지 비싸지 않아서 그정도 수요는 감당할만할겁니다
(가장 비싼 월간 10만 이하 기준 0.15달러)
그리고 연 매출이 USD1,000,000이하면 비용이 없어요
23/09/15 13:29
수정 아이콘
규모도 다르고 내용도 좀 다르지만 올해 초에 이거랑 거의 완벽하게 동일한 일이 TRPG 업계에서도 있었죠.
D&D를 내는 WotC에서는 20여 년 전에 자사의 핵심 메카닉을 D20 OGL(Open Gaming Lisence)이라는 이름으로 공개해서 다른 회사들이 해당 규칙을 이용해서 D&D용 보조 서적을 만들거나 오리지널 TRPG를 만들 수 있도록 했었는데, 올해 초에 그걸 새로운 방식으로 바꾸고 D20을 이용한 규칙을 내면 수익을 챙겨가겠다, VTT(온라인으로 TRPG를 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해서도 이래이래 제한을 하겠다는 등 욕심 그득한 라이선스 규정 업데이트를 하겠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하지만 게임의 '규칙'은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이 아니고, D&D 자체도 이런저런 다른 게임들에서 사용한 규칙들을 가져온 부분이 많은 게임이라, '애초에 법원 가서 이긴다는 보장도 없는 거 대인배인 양 풀어 놓자'는 발상으로 만들었던 게 D20이거든요. 당연히 반발이 터져나오고 WotC의 구독 서비스인 D&D 비욘드의 탈퇴자가 쏟아지고, 업계 2위인 Paizo의 주력 RPG인 패스파인더 RPG 2판은 며칠 만에 몇달치 판매량을 경신하는 등 Paizo 좋은 일만 많이 했습니다.
반발이 많아지자 WotC는 계획 취소하고 물러났지만 아마 내년쯤 나올 D&D의 새 판본에서는 이전보다 독점성이 강한 라이선스로 바꿀 게 거의 확실해 보이고(특히 VTT를 자기 플랫폼으로 제한할 생각은 확고해 보입니다), 발더스 게이트 3도 대박 나고 해서 유니티랑은 다르게 '뭐 소소한 해프닝이었지' 할 것 같긴 합니다…. 애초에 업계에서 D&D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높은 데다가 지금 나오고 있는 5판은 역대 어떤 판본보다도 잘 나갔던 판본이라….
고세구
23/09/15 14:11
수정 아이콘
슬더스 제작사도 이 본문엔 강경하고 강렬한 어조라고 돼 있는 성명문에 대놓고 F워드 박고는 슬더스 차기작은 유니티로 안 낸다고 선언했더라구요
23/09/15 14:32
수정 아이콘
유니티 CEO 얼마전 지식백과 나와서 그럴싸하게 인터뷰 하더니 바로 뒤통수 때려버리네요
23/09/15 14:38
수정 아이콘
근데 궁금한 게 라이선스도 일종의 계약인데 소급 적용이 말이 되나요? 소송 당할 것 같은데
Lord Be Goja
23/09/15 14:41
수정 아이콘
동채널에 나왔던 제이윌슨만 봐도
남의 일이 되면 청자들이 듣고 싶은말 해주는건 쉽죠.
그런데 자기일로 그렇게 쉽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89769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31913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34385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20805
501579 [게임] 스포) 엘든 링 DLC 게임 플레이 영상 김티모475 24/06/16 475
501578 [기타] 배달비 0원 되고 자영업자 수익 근황 [10] VictoryFood1706 24/06/16 1706
501577 [LOL] 오늘 LCS 개막전이자 데뷔전을 뛴 쿼드가 푼 썰 [8] 아롱이다롱이1193 24/06/16 1193
501576 [기타] 중식집 사장이 꼽은 최악의 손님 [32] 톰슨가젤연탄구이3788 24/06/16 3788
501575 [기타] 공부 안하면 발생하는 일... [8] 닉넴길이제한8자5859 24/06/16 5859
501574 [기타] 전설적인 사냥꾼 짐 코벳 jpg [14] Myoi Mina 6722 24/06/16 6722
501573 [유머] 일본에서 가장 롤러코스터가 많은 놀이공원 [6] 김삼관5621 24/06/16 5621
501572 [LOL] 이제 서포터만 남은 스태틱 이슈 [12] Leeka5804 24/06/15 5804
501571 [기타] 친자확인 프로그램 10트 [20] 톰슨가젤연탄구이8151 24/06/15 8151
501570 [서브컬쳐] 에반게리온 요약 (10분, 실사판) [15] Mouse_pad4139 24/06/15 4139
501569 [기타] 민에 대책이 있다면 [17] Lord Be Goja5074 24/06/15 5074
501568 [서브컬쳐] 늙은이들 허리 펴지게 만드는 애니 리메이크 루머 [26] 롤격발매기원5346 24/06/15 5346
501567 [유머] 테일러 스위프트 콘서트에 온 어느 팬 [3] 길갈4427 24/06/15 4427
501566 [게임] 명조 콜라보 이벤트 [9] 쿨럭2951 24/06/15 2951
501565 [유머] 유희왕 세계에서 폭력보다 무서운 것 .mp4 [7] Myoi Mina 3792 24/06/15 3792
501562 [유머] MCU 블레이드 근황.jpg [18] 캬라10112 24/06/15 10112
501561 [유머] 푸른 눈의 한국인 [28] 길갈10598 24/06/15 10598
501560 [유머] 요즘 대부분의 학교에서 사라진 현수막.jpg [43] 北海道10587 24/06/15 10587
501559 [유머] 짬뽕과 짬뽕밥 논란 [59] 프로불편러9470 24/06/15 94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